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09:25:59

용성전(한국)

용성전에서 넘어옴
파일:baduk_test3.png 폐지된 바둑 기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국제 종합 기전 토요타덴소배 ·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 BC카드배 · 신아오배 · 중환배 · 천부배 · 바이링배
제한 기전 NEC배 · 이민배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CCTV 하세배 · 월드바둑챔피언십 · 한중일 용성전 · TWT배 · 봉황고성배 · 오카게배 · 글로비스배
국가별 단체전 진로배 · 롯데배 한중 대항전 · 중일 슈퍼 대항전 · 정관장배
여자 기전 보해배 · 흥창배 · 원양부동산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호반배 · 궁륭산병성배
한국 종합 기전 국수전 · 왕위전 · 기성전 · 패왕전 · 십단전 · 최고위전 · 국기전 · KT배 마스터스 · 배달왕전 · olleh배 · 렛츠런파크배 · YK건기배 · 용성전
여자 기전 EBS배 · 여류명인전 · 여류십단전
속기전 KBS 바둑왕전 · MBC 제왕전 · SBS 속기챔프
단체전 퓨처스리그
일본 종합 기전 NEC배
제한 기전 마스터스컵
중국 종합 기전 리코배 · 루리배
대만 종합 기전 왕좌전
아시안 게임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기타 Milly 몽백합 이세돌-구리 10번기 ·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 바둑의 미래 서밋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
용성전
韓國 龍星戰 / Korea Ryusei
<colbgcolor=#dcdcdc,#26282c> 주관 재단법인 한국기원
주최 일본 바둑장기채널
후원 일본 바둑장기채널
중계 일본 바둑장기채널, 한국 바둑TV
상금 우승 3000만원, 준우승 1200만원. #
대회방식 본선 16강 토너먼트 단판 승부, 결승 3번기 승부.(6기 ~)
대국규정 각자 3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
계가 한국룰 덤 6.5집
최근 우승자 신진서 九단 ( 제6기 한국 용성전)
최다 우승자 신진서 九단 (4회, 현재 4연패 中)
1. 개요2. 상세3. 대회 진행4. 역대 우승자

[clearfix]

1. 개요

한국기원에서 주관하지만, 주최자는 일본 기업인 바둑 기전.[1] 우승자에게는 한중일 용성전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2. 상세

용성전은 일본의 바둑장기채널 일본 중국에서 같은 이름으로 시행하던 기전으로 2018년부터 한국에서도 개최되었다. 한국에서 용성전이 개최되게 된 배경과 과정에 대해서 한국의 한 언론은 '일본 바둑장기채널은 한국에서 용성전을 시행하기 위해 2010년부터 추진해왔으나 번번이 한일관계의 민감성 때문에 무산되었지만 한국기원이 더 이상 일본 바둑장기채널의 요청을 거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하고 2018년에 대회 창설을 허락했다.' #고 보도하기도 했지만, 2018년 3월 22일에 한국기원에서 열린 제1기 용성전 기자회견에서 용성전의 후원사인 일본 바둑장기채널의 오카모토 고세이 사장이 "일본 바둑장기채널 사장이 된 6년 전부터 한국에서 용성전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약 1년 전에 유창혁 한국기원 사무총장님과 대화하면서 한국에서 용성전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약 1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이 대회를 개최할 수 있어 한국기원에 감사하다."고 개최 배경과 과정에 대해 직접 밝힘으로써 일본 바둑장기채널이 실제로 한국 용성전 개최를 추진한 기간은 1년 남짓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개최 이유에 대해서는 "일본 팬들은 수준 높은 기전을 보고 싶어 하기 때문에 실력이 높은 한국 기사들의 대국을 일본에 소개하고 싶었고 중국에서도 하므로 한국에서도 해야 하는게 맞다."고 밝혔다. #

바둑TV는 한국 용성전 본선 16강 토너먼트를 기본적으로 녹화해서 중계하지만, 결승전은 예외적으로 생방송으로 중계한다. 일본 바둑장기채널은 바둑TV가 한국에서 방송한 프로그램을 번역해서 방송한다.

크라운해태배, YK건기배[2], 한국바둑리그[3]와 함께 피셔방식을 채택하는 기전이다. 1기부터 4기까지는 각자 20분에 착수시 20초 추가하는 피셔방식으로 진행했으나 5기 대회부터는 각자 30분에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으로 진행한다.

3. 대회 진행

4. 역대 우승자

회차 연도 우승 전적 준우승 비고
1회 2018년 김지석 九단 2:1 강동윤 九단
2회 2019년 박정환 九단 2:0 신진서 九단
3회 2020년 신진서 九단 2:0 박정환 九단
4회 2021년 신진서 九단 2:1 박정환 九단 신진서, 대회 사상 첫 연속 우승
5회 2022년 신진서 九단 2:0 강동윤 九단 신진서, 대회 사상 첫 3연패
6회 2023년 신진서 九단 2:0 박건호 七단[4] 신진서, 대회 사상 첫 4연패


[1] 일본 기업이 후원하는 첫 한국 바둑 기전이다. [2] 2기 부터 각자 10분, 추가시간 40초 피셔로 변경 [3] 22-23 시즌에 세 가지(40분, 20분, 1분) 기본시간, 추가시간 20초 피셔 도입 [4] 박건호는 종합기전 준우승으로 특별 승단 규정에 따라 八단으로 승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