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1:33:30

오다 우지하루

파일:1280px-Oda_Ujiharu.jpg

1. 소개2. 불사조의 혈통3. 불사조와 같이4. 말년5. 평가6. 기타 창작물에서

1. 소개

小田 氏治
1534 (천문 3년).02.24~1602 (게이쵸 6년).11.13[1]

센고쿠 시대 다이묘. 칸토 오다(小田) 가 당주. 사타케 요시아키, 요시시게 부자, 우에스기 켄신 등의 강적을 상대로 패전과 부흥을 반복하는 등, 가히 불사조와 같은 인생을 산 인물로 유명하며, 거성을 수차례 빼앗기고 45전 18승 27패라는 초라한 전적으로 전국 최약의 다이묘라는 오명도 존재한다.

한자를 보면 알겠지만 오다 노부나가 등 오와리 국의 오다 가문과는 다른 가문이다.[2]

두 아들은 전사, 병사로 죽고 딸은 유키 히데야스의 첩실이 되지만 우지하루가 1602년에 사망한 뒤로는 그의 딸도 몇년 뒤에 병사하고 차남의 손자는 1638년 미노에서 병사하는 바람에 칸토 오다가는 멸문하게 된다.[3]

2018년 6월, 역사비화 히스토리아에서 오다 우지하루에 대해 다루었다.

2. 불사조의 혈통

오다 씨를 중흥시킨 오다 마사하루의 아들로 태어났다. 오다 씨는 우츠노미야 씨의 방계 혈족으로, 칸토에서 재지 호족으로 세력을 키웠다.

마사하루의 아버지는 아시카가 마사토모로 전해지며, 그는 무로마치 막부의 호리고에 쿠보였다. 마사토모에게는 아들이 마사하루를 빼면 셋 있었는데, 첫째는 소행 불량으로 폐적되었다가 반란을 일으켜 힘으로 쿠보직을 차지하였다가 이세 소즈이에게 토벌당하게 되는 아시카가 챠챠마루, 둘째는 아시카가 요시즈미, 셋째는 챠챠마루에게 살해당한 쥰도지였다.

이중 둘째인 아시카가 요시즈미는 메이오 정변을 일으킨 호소카와 마사모토에 의하여 무로마치 막부의 11대 쇼군으로 옹립된 자였다. 즉, 우지하루는 아시카가 요시하루의 사촌이자 아시카가 요시테루, 요시아키 형제의 당숙이 된다.

본성은 후지와라씨로써 후지와라 미치나가를 선조로 하는 것 외에도 우츠노미야씨의 일문 중 하나인 하치타치가 (八田知家)를 시조로 하는 관동의 명족 오다의 방계로 알려져있다. 관동 히타치의 다이묘인 오다 가문의 15대에 이르러서 오다의 마지막 당주가 되었으며. 나중에 오다 도모하루 (小田友治), 오다 모리하루 (小田守治)를 낳는다.

히타치의 사타케 요시아키와 요시아키·요시시게 부자, 시모사의 유키 마사카츠와 하루토모 부자, 에치고의 우에스기 켄신과 싸우고 사가미의 호조 우지야스, 우지마사 부자와 손을 잡고 조상 대대로의 땅을 방위하는 데 힘썼다. 그후 30년 이상에 이르는 본성인 오다성 쟁탈전 등 거듭되는 합전에서 자주 승리를 거두지만 우에스기씨나 호조씨의 원조가 약해져 고립되자 사타케씨의 격렬한 공격에 노출되었다. 만년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소유를 몰수당하고 다이묘인 오다 가문은 소멸했지만 후에 유키 히데야스를 섬겼다.

후세에도 전쟁에 약한 전국 무장의 대표격으로서 구전되고 있다.

3. 불사조와 같이

1548년 가독을 상속, 다이묘가 되었다. 당시 오다 가문은 카와고에 야전에서 우에스기와 고가 공방 아시카가 가문을 도왔다가 패하였고 인근의 사타케, 유키 등의 성장으로 가세가 기울어 가는 상황에 있었다.

4. 말년

사타케 일족과의 마지막 전투에서 패배한 이후 유키 히데야스의 전봉에 따라 양아들 (적남)인 모리하루와 함께 에치젠 아사바로 거처를 옮기게 된다.

그후 서장자인 도모하루도 유키 가문을 섬기고 있었을때인 게이초 6년 (1601년) 11월 13일에 향년 68세로 사망했다. 시신은 일단 에치젠국의 에이헤이지에 묻혔지만 후에 히타치국의 신젠코지로 이장되었다.

분세이 12년 (1829년) 11월 13일에 다카오카 법운사에서 우지하루의 200주기가 거행되었다.

5. 평가

헤이안 시대부터 내려온 명문 칸토 오다 가문이 우지하루 대에 망했고 전적도 패전 수가 승전 수의 두배가 넘는 졸장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인망이 두터웠고[4] 영민에게 사랑받는 인물로 좋은 결말을 맞이한 점이 높이 평가받는다.

그 당시 전국 시대의 영주들은 백성들을 죽지만 않을 정도로 쥐어 짜는 것이 기본이었다. '향촌의 농민들이 죽지도 않고 살지도 않도록 주의해서 쌀을 잘 바치도록 만들어야 한다'라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말했을 정도였다. 그나마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관대한 편으로 기본이 육공사민(세금 60%)이었고, 다이묘들 중에서는 세금을 최대 70%까지 떼어가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임진왜란때 조선에 쳐들어온 일본군들이 자신들 나름대로 자비를 베풀어서 생산량의 절반만 거둬가겠다고 점령한 지역 농민들에게 말하자 격하게 반발하여 의병으로 일어났다는 루머가 있다.[5][6]

그런 시대에서 자기 백성을 죽였다고 다른 사무라이를 쫓아가 항의하는 영주를 모든 신민들이 사랑했다. 신하들은 영주가 나가서 싸우면 지니까 성에 남겨두고 자신들끼리 나가서 성을 탈환해 오기도 했고, 영민들은 영주에게 바칠 수 없다면 쌀을 불질러 버리는 의지를 보여줬다. 영주 본인의 능력은 떨어져도 그의 인품으로 밑의 사람들의 충성심을 고양시켰기 때문에 비록 여러번 패배하고 세력은 줄어들었어도 전국 시대의 마지막까지 살아남았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진정한 의미의 덕장이라 할 수 있다.

6. 기타 창작물에서

파일:오다_우지하루.jpg
노부나가의 야망 대지, 신생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에서는 C급 무장에 불과하지만 이러한 그의 특이한 인생사가 민간에서 유명해짐에 따라 노부나가의 야망 대지에서는 고유 뜻으로 "불사조와 같이"를 부여받게 되었다.


[1] 출생일과 사망일이 기록에 따라서 다른데 출생년도의 경우 교로쿠 4년 (1531년) 3월 12일에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으며 사망일자의 경우에는 11월 13일이 아닌 1월 6일에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2] 오다 노부나가의 오다는 직전(織田)이라는 한자를 쓴다. [3] https://ja.wikipedia.org/wiki/%E5%B0%8F%E7%94%B0%E5%8F%8B%E9%87%8D [4] 적에게도, 아군에게도 존중받았으며 실제로 좌천당했을 당시에도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그래도 가까운 친구' 정도의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5] 참고로 조선 중앙 정부가 가져가는 조세는 원칙적으로는 생산량의 10%였다. 물론 지방을 거쳐서 중앙에 올라가야 하므로 실제로 백성이 내는 양은 더 많았지만 그래도 당시 동아시아에서 일본이 유독 조세가 가혹한 편이었다. [6] 조선에도 병작반수제가 있었지만 이는 조세가 아니라 지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세금이 아니다. 그리고 소작농이 전부 다 소작에만 의존하는 것도 아니었고(자작+소작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었다.) 나중에 가면 지대로 1/3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