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1-19 21:31:05

역뮤탈

1. 개요2. 상세3. 기타

1. 개요

스타크래프트 저그 전술로 경기 중후반 상대의 대공 체계[1]가 허술함을 파악하자마자 뮤탈리스크를 빠르게 생산해 상대 본진이나 멀티 등을 공습하는 것. 저그가 지상 병력 위주의 유닛 조합으로 싸우다가 저그의 종족 특성인 유연한 체제 전환 능력을 십분 활용하여 공중 병력을 일거에 대량 생산해 상대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전술이다. 유의할 점은 상대에게 뮤탈 생산과 그 규모를 들키면 효과가 반감되기에 주로 상대가 보기 힘든 후방이나 구석진 곳에 모아놓았다가 몰아쳐야 한다는 것이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사신, 사도 등 초반 견제용 유닛의 추가로 역뮤탈 구사가 많이 부담스러워졌다.

2. 상세

주로 테란전이나 프로토스전에서 각기 다른 목적으로 쓰이며, 뮤링 전술이 일상인 저저전에서는 양쪽 다 뮤탈을 뽑거나, 거기서 게임이 안 끝나고 하이브 단계로 넘어가면 히드라와 이를 지원하는 디파일러로 맞대응해 피해를 줄이기에 좀처럼 쓰이지 않는다.

2.1. 테란전

테란을 상대로의 역뮤탈은 주로 메카닉 테란이나 레이트 메카닉을 간 테란의 대공 병력이 적은 틈을 타 메카닉 병력의 주력인 탱크를 끊어주는 것이 그 목적이다. 사실 메카닉을 간 테란은 탱크와 벌쳐 위주에, 바이오닉이 옆에서 지원하는 형태라 지대공이 취약하기에 과거엔 메카닉 지상군을 막거나 역러쉬를 가는 데 쓰여졌다. 하지만 최근의 메카닉이나 레이트 메카닉은 과거보다 많은 자원을 확보하고 병력 생산을 하고 이 과정에서 남는 미네랄은 터렛으로 치환해 대공과 시야를 확보 및 베슬들을 전선에 배치해 뮤탈을 보자마자 이레디에이트를 걸거나 골리앗, 발키리 등을 증원해 대응하기에 요즘은 방어보다는 공습 목적으로만 쓰여진다.

게다가 도박적인 측면도 있어서, 아무리 4가스를 확보했더라도 러커, 히드라, 디파일러를 계속 생산해 내보내는 것도 빡빡한데 미네랄과 가스를 700~800 이상 뮤탈과 스커지[2] 생산에 할애하는 건 큰 부담이다. 그래도 상대가 대공 병력을 늘리기 전 몰아치면 나름 성과를 낼 수 있기에 이에 성공하면 역전의 발판이 될 수도 있으나, 상대가 능수능란하게 이를 막아낸다면 해당 저그는 상대가 이에 버금가는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한 승산이 없다 보면 된다.

2.2. 프로토스전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L조 1차전 김택용 vs 이영한[3]

역뮤탈을 당하지 않으려면 프로토스는 저그전에서 커세어 관리를 잘해야 한다. 김택용 비수류를 정립한 이후 오버로드 견제 목적의 커세어가 여기저기 들락날락 거리기 때문에 저그는 뮤탈을 모으는 게 부담스럽다. 그래도 상대 프로토스가 커세어를 적게 뽑았거나 히드라나 스커지, 스포어 콜로니에게 상당 수를 잃었다면 이를 기회로 삼아 뮤탈을 모으는 선택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커세어가 없어도 드라군이나 아콘, 그리고 하이 템플러가 있기에 저그 입장에서는 여전히 부담이지만, 뮤짤에 자신이 있다면 별 위협은 되지 않는다.

주로 히드라로 몰아치면서 상대방이 입구에 수비를 중점적으로 두고, 리버를 통해 수비를 견고히 하려할 때 노리고 쓰는 경우가 많다. 본진 수비는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대공 체계는 부실해지기 때문.

황색혁명의 경기양상을 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갈 것이다. 김택용이 앞마당에 배치한 리버를 본진까지 끌고 들어와 두 번째 상륙 병력을 빠르게 밀어내려는 조급함 때문에 리버를 둘 다 잃고 그 여파로 본진까지 함락당하여 언제 경기가 끝나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 되자, 홍진호는 본진을 함락한 직후 생산된 뮤탈리스크를 바로 투입시켜, 리버와 광자포를 잡아내고 본진 상륙군과 추가 지상군을 모조리 투입시켜 쐐기를 박았다. 즉 김택용은 지상군의 전멸과 본진 함락으로 커세어 확보는 물론이고 경기 자체를 끝낼 치명타를 입었고, 홍진호는 대공 방어가 무력화된 틈까지 완벽하게 놓치지 않고 뮤탈을 집어넣어 항복을 받아낸다. 여기서 충분한 숫자의 커세어가 있었으면? 혹은 상륙군을 안전하게 막아냈으면? 홍진호는 정말 힘든 싸움을 해야 했을 것이고 역전패까지도 당했을 수 있었다.

3. 기타

상대의 빈 틈을 노린다는 점이 을 생산해 브루들링을 쏘는 목적과 비슷하다.[4]


[1] 대공 공격이 가능한 유닛이나 방어 포탑 등. [2] 전선 돌파나 공습시 베슬이나 발키리를 요격할 때 쓰인다. [3] 역뮤탈이 통해 경기 양상이 뒤바뀐 가장 잘 알려진 경기일 것이다. 이 경기에서 이영한은 인구수가 93 대 33으로 밀렸을 정도로 절망적이었던 상황에서 역뮤탈로 커세어를 제거한 후 본진과 앞마당을 지속적으로 견제하며 극적인 대역전승을 거둔다. [4] 테란전에서는 요충지에 자리잡은 탱크를, 프로토스 전에선 하이 템플러를 제거하기 위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