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13:51:21

암마수

1. 소개2. 작암마수3. 빙암마수4. 설명

1. 소개

유희왕 1세대 유니온 몬스터 중에 하나로써 서로서로에게 장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다만 능력치가 낮아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

2. 작암마수

파일:external/www.jakarade.com/EE1-JP07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유니온=, 효과=,
한글판명칭=작암마수,
일어판명칭=灼岩魔獣,
영어판명칭=Burning Beast,
속성=화염,
레벨=4,
공격력=1500,
수비력=1000,
종족=화염족,
효과1=1턴에 1번만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자신의 "빙암마수"에 장착\, 또는 장착을 해제하고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장착 카드 취급이 되어있을 때만\, 장착 몬스터가 상대 플레이어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경우\, 필드 위에서 앞면 표시의 마법 또는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한다.(1장의 몬스터가 장착할 수 있는 유니온은 1장까지. 장착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될 경우는\,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3. 빙암마수

파일:external/www.media-world.jp/000000124848.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유니온=, 효과=,
한글판명칭=빙암마수,
일어판명칭=氷岩魔獣,
영어판명칭=Freezing Beast,
속성=물,
레벨=4,
공격력=1500,
수비력=1000,
종족=물족,
효과1=1턴에 1번만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자신의 "작암마수"에 장착\, 또는 장착을 해제하고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장착 카드 취급이 되어 있을 때만\, 장착 몬스터가 상대 플레이어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경우\, 필드 위에서 뒷면 표시의 마법 또는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한다.(1장의 몬스터가 장착할 수 있는 유니온은 1장까지. 장착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될 경우는\,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4. 설명

유니온이 장착된 상태에서 전투 데미지를 입히면 앞면 표시의 마함 또는 뒷면 표시의 마함을 파괴할 수 있다.

빙암마수의 장착 효과인 뒷면 표시 마법/함정 견제는 대개 속공 마법이나 함정을 견제하기 위해 사용할 텐데 이 둘은 전투 데미지를 주기 전에 발동해서 빙암마수를 무용지물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정말 어렵게 전투 데미지를 줬다고 해도 대상 지정이기 때문에 지정된 카드를 발동해서 회피할 수 있으며, 세트된 지속 함정이 대상이 되더라도 그대로 발동해서 앞면 표시가 되면 파괴가 불발된다.

그나마 견제 대상이 앞면 표시 마법/함정 카드인 작암마수는 스킬 드레인이나 카이저 콜로세움같은 강력한 영속류를 견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암마수들을 후열 견제에 이용하기에는 많은 하자가 있다. 암마수들은 서치 수단도 부족한데 일반 소환권을 2회나 소모해야 효과를 제대로 사용할 수 있다. 더 빨리 암마수 조합을 갖추기 위해 유니온 서포트 카드를 써도 아드 2+a를 온전히 암마수 콤보를 위해 갖다 바쳐야 한다.

그리고 효과도 빈약하기 그지없다. 이 카드가 나올 때도 싸이크론같이 견제 범위가 마함 전체인 상위 호환 카드들이 있었다. 20년 이상 지난 현재는 트윈트위스터부터 해피의 깃털까지 후열 견제 카드들은 차고 넘쳤으며, 정말 미친 척하고 자신의 마함을 부수려고 해도 카드군으로 쉽게 연동되고 아드까지 벌어주는 황금경 엘드리치 흑마녀 디아벨스타가 있다.

게다가 파괴 효과가 전투 데미지와 연동되기 때문에 한번 격발시키기도 굉장히 어렵다. 온갖 견제를 다 맞기 때문에 배틀 페이즈조차 쉽지 않으며 1500이라는 낮은 공격력 때문에 설령 배틀 페이즈에 돌입했다 하더라도 데미지를 주기 어렵다.

성능 외적인 문제로 종족과 속성이 전부 달라 유니온 캐리어로 자기 짝을 붙일수 없는 안습한 상황이 펼쳐지기도 했다. 다행히 이 부분은 유니온 캐리어가 금지되고, 유니온 몬스터의 효과에 의한 장착 마법 카드 취급으로서 유니온 몬스터를 장착시키는 유니온 파일럿이 나오며 해결되었다.

유니온 서포트 카드인 콤비네이션 어택 일러스트에 둘이 합쳐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