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3:04:19

아이슬란드어/문법



1. 개요2. 명사3. 관사4. 대명사
4.1. 인칭대명사
4.1.1. 재귀대명사4.1.2. 소유대명사4.1.3. 지시대명사
4.2. 부정대명사
5. 수사6. 형용사7. 동사
7.1. 시제

1. 개요

아이슬란드어의 문법에 관한 문서이다.

아이슬란드어의 문법은 매우 복잡하다. 그리고 독일어의 문법과 비슷한 구석이 많다. 명사 격의 개수와, 강변화와 약변화 명사가 있는 것까지도 비슷하다. 명사는 격과 수와 성에 따라 굴절하고 형용사는 격, 수, 성과 강변화(불규칙)·약변화(규칙) 여부에 따라 굴절한다.

관사는 정관사만이 존재한다. 단독으로 나올 때도 있지만 보통은 다른 북게르만어군 언어와 같이 명사의 굴절로 나타난다. 동사 시제, 서법, 화자, 수와 태[1]에 따라 변화한다. 태에는 능동, 수동, 중동(medial)이 있다. 시제는 기본적으로 현재와 과거 딱 두 개만 있지만, 기본 시제가 적은 만큼 온갖 보조 구문들이 딸려온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문법은 그야말로 수박 겉핥기이다. 자세한 건 직접 찾아보는 것이 낫다.

2. 명사

아이슬란드어에는 주격, 대격(직접 목적격), 여격(간접 목적격), 속격(소유격) 등 네 가지 이 존재한다. 은 남성/여성/중성, 수는 단수/복수로 나뉜다.[2] 굴절의 종류는 크게 강변화와 약변화로 나뉘고, 이 안에서도 여럿으로 나뉜다. 이들에 따라 명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는 아래 표를 보자.
남성 여성 중성
단수 주격 hattur borg glas gler
대격 hatt borg glas gler
여격 hatti borg glasi gleri
속격 hatts borgar glass glers
복수 주격 hattar borgir glös gler
대격 hatta borgir glös gler
여격 höttum borgum glösum glerjum
속격 hatta borga glasa glerja

명사의 성은 낱말의 끝을 보면 어느 정도 때려 맞힐 수 있다.
  • 남성: 주로 -ur, -i, -ll, -nn으로 끝난다.
  • 여성: 주로 -a, -ing, -un으로 끝난다.
  • 중성: 위 두 경우가 아닐 때.

3. 관사

아이슬란드어에는 부정관사가 없다! 명사의 기본형이 그대로 부정형이다. 정관사는 명사의 굴절로 나타난다. 아래는 세 성에 따른 관사를 정리한 표다. 물론 여느 언어와 마찬가지로 예외가 있으니 유의할 것.
부정형(indefinite) 한정형(definite)
남성 여성 중성 남성 여성 중성
단수 복수 단수 복수 단수 복수 단수 복수 단수 복수 단수 복수
-ur -ar - -ir - - -urinn -arnir -in -irnar -ið -in
-i -inn
-ll -a -ur -llinn -an -urnar
-nn -nninn

예시:
  • 남성: hvalur ('a' 고래) → hvalurinn ('the' 고래)
  • 여성: klukka ('a' 시계) → klukkan ('the' 시계)
  • 중성: heimilisfang ('a' 주소) → heimilisfang ('the' 주소)

영어의 'the'와 같이 독립적으로 쓰이는 관사에는 'hinn'이 있다. 다만 시적 허용과 같이 주로 시 같은 데 혹은 어딘가에 포인트를 줄 때 쓰이는 편.

4. 대명사

4.1. 인칭대명사

1인칭 2인칭 3인칭
남성 여성 중성
단수 주격 ég þú hann hún það
대격 mig þig hana
여격 mér þér honum henni því
속격 mín þín hans hennar þess
복수 주격 við þið þeir þær þau
대격 okkur ykkur þá
여격 þeim
속격 okkar ykkar þeirra

아이슬란드어는 영어로 치면 'they'에 해당하는 낱말이 에 따라 따로 있다. 독일어와는 달리 혼성 집단[3]일 경우에는 중성이 쓰인다.

영어와 마찬가지로 대명사는 동사 앞에 온다.
Ég heiti Anna: 내 이름은 안나다.[4]

굴절하는 언어답게 어순을 바꾸어도 말이 된다. 물론 말이 되기는 하는 거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SVO 어순을 따른다.
Anna heiti ég: 안나가 내 이름이다. (어순 그대로 쓰자면 “안나다, 내 이름은.”)

4.1.1. 재귀대명사

아이슬란드어에는 독일어의 'sich'와 같은 재귀대명사가 존재한다. 재귀대명사의 주격은 없다.[5]
대격 sig
여격 sér
속격 sín

재귀대명사는 성과 수를 구분하지 않는다.

4.1.2. 소유대명사

일인칭 이인칭 삼인칭
단수 주격 minn mín mitt þinn þín þitt sinn sín sitt
대격 minn mína mitt þinn þína þitt sinn sína sitt
여격 mínum minni mínu þínum þinni þínu sínum sinni sínu
속격 míns minnar míns þíns þinnar þíns síns sinnar síns
복수 주격 mínir mínar mín þínir þínar þín sínir sínar sín
대격 mína mínar mín þína þínar þín sína sínar sín
여격 mínum þínum sínum
속격 minna þinna sinna

4.1.3. 지시대명사

this that the other
단수 주격 þessi þessi þetta það hinn hin hitt
대격 þennan þessa þetta þann þá það hinn hina hitt
여격 þessum þessari þessu þeim þeirri því hinum hinni hinu
속격 þessa þessarar þessa þess þeirrar þess hins hinnar hins
복수 주격 þessir þessar þessi þeir þær þau hinir hinar hin
대격 þessa þessar þessi þá þær þau hina hinar hin
여격 þessum þeim hinum
속격 þessara þeirra hinna

4.2. 부정대명사

열몇 개가 있으나 대충 변화 형태를 보기 위해 'enginn'(영어의 'nobody')을 예로 들자.
enginn 남성 여성 중성
단수 주격 enginn engin ekkert
대격 engan enga ekkert
여격 engum engri engu
속격 einskis engrar einskis
복수 주격 engir engar engin
대격 enga engar engin
여격 engum
속격 engra

5. 수사

1에서 4까지의 수는 격과 성에 따라 굴절한다.
1 남성 여성 중성 2 남성 여성 중성
주격 einn ein eitt 주격 tveir tvær tvö
대격 einn eina eitt 대격 tvo tvær tvö
여격 einum einni einu 여격 tveimur
속격 eins einnar eins 속격 tveggja
3 남성 여성 중성 4 남성 여성 중성
주격 þrír þrjár þrjú 주격 fjórir fjórar fjögur
대격 þrjá þrjár þrjú 대격 fjóra fjórar fjögur
여격 þremur 여격 fjórum
속격 þriggja 속격 fjögurra

나머지는 굴절하지 않는다. 다만 명사로 쓰일 때는 굴절한다.
5 fimm 20 tuttugu
6 sex[6] 21 tuttugu og einn
7 sjö 30 þrjátíu
8 átta 40 fjörutíu
9 níu 50 fimmtíu
10 tíu 60 sextíu
11 ellefu 70 sjötíu
12 tólf 80 áttatíu
13 þrettán 90 níutíu
14 fjórtán 100 (eitt) hundrað
15 fimmtán 1,000 (eitt) þúsund
16 sextán 1,000,000 (ein) milljón[7]
17 sautján 1,000,000,000 (einn) milljarður[8]
18 átján 1,000,000,000,000 (ein) billjón[9]
19 nítján 0 núll[10]

hundrað, þúsund, núll은 중성, milljón 시리즈(milljón, billjón, trilljón, …)는 여성, milljarður는 남성이다.

보다시피 영어를 제외한 다른 유럽 쪽 언어와 같이 billion = million × million이다. trillion은 million × billion.

6. 형용사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과 수를 따라가야 한다. 거기에다 강변화·약변화도 맞춰야 한다. 'rauður'(붉은)로 형용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자.
강변화 남성 여성 중성 남성 여성 중성
단수 주격 rauður rauð rautt 복수 rauðir rauðar rauð
대격 rauðan rauða rautt rauða rauðar rauð
여격 rauðum rauðri rauðu rauðum rauðum rauðum
속격 rauðs rauðrar rauðs rauðra rauðra rauðra
약변화 남성 여성 중성 모든 성
단수 주격 rauði rauða rauða 복수 rauðu
대·여·속격 rauða rauðu

비교급과 최상급도 다뤄보자. 비교급은 명사의 격과 강·약변화를 따지지 않는다. 하지만 최상급은 또 따진다.
비교급 남·여성 중성 모든 성
단수 모든 격 rauðari rauðara 복수 rauðari

최상급은 어근(여기서는 rauð-) 뒤에 ast/ust가 낑겨있는 형태다.
강변화 남성 여성 중성 남성 여성 중성
단수 주격 rauðastur rauðust rauðast 복수 rauðastir rauðastar rauðust
대격 rauðastan rauðasta rauðast rauðasta rauðastar rauðust
여격 rauðustum rauðastri rauðustu rauðustum rauðustum rauðustum
속격 rauðasts rauðastrar rauðasts rauðastra rauðastra rauðastra
약변화 남성 여성 중성 모든 성
단수 주격 rauðasti rauðasta rauðasta 복수 rauðustu
대·여·속격 rauðasta rauðustu

7. 동사

동사의 화법에는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 가정법의 네 가지가 있다. 다른 굴절어처럼 동사는 뒤따라오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를 결정한다.

예시:
  • 'safna(모으다)' 뒤에는 여격이 온다.

    • 아) Ég er að safna peningum til þess að geta keypt jólagjöf handa mömmu.
      영) I am saving money to be able to buy a Christmas gift for Mum.
      한) 나는 어머니의 성탄절 선물을 살 돈을 모으고 있다. (peningum은 peningur의 여격 복수형이다)
  • 'sakna(그리워하다)' 뒤에는 속격이 온다.

    • 아) Ég sakna þín
      영) I miss you/thee

동사의 원형 대부분은 a로 끝난다. 예외로는 slá, flá와 같이 á로 끝나는 것이 있고, 조동사 munu와 skulu, þvo, ske가 있다. 이 조동사 두 개가 중요한데, 앞서 썼듯 기본 시제가 빈약하기 때문에 이들을 이곳저곳에 써먹는다. 약변화 동사에는 크게 삼인칭 단수 현재형으로 변화하였을때의 어미에서 딴 -ar, -ir, -ur의 세 모임이 있다. 강변화 동사와 불규칙 동사(조동사, ri- 동사, 'valda')는 이와는 관계가 없다. 예시로는 tala(말하다), vera, 약변화 동사 몇 개를 살펴보자.
단수 복수
인칭 ég
I
þú
you
hann·hún·það
he·she·it
við
we
þið
you
þeir·þær·þau
they
tala tala talar talar tölum tal tala
vera(영어의 'to be'. 강변화 동사이면서 불규칙 동사이다)의 동사변화와 비교해보자.
vera er
am
ert
are
er
is
erum
are
eruð
are
eru
are
-i 동사 Læra(배우다)와도 비교해보자.
læra læri lærir lærir lærum lær læra
-ur 동사 velja(선택하다)와 비교해보자.
velja vel velur velur veljum velj velja

굵은 글씨에서 보듯 단수형은 다 다르지만 복수형은 같다! 동사의 변화형은 원형만 봐서는 맞힐 수 없으니 어느 동사가 어느 모임에 속하는지 외우는 수밖에 없다.

7.1. 시제

엄밀히 말해 아이슬란드어의 시제는 단순 현재단순 과거 딱 두 가지뿐이다. 다른 시제는 조동사를 조합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현재진행형은 다음과 같이 만든다.
vera + að + 동사 원형
아) Ég er að læra
영) I am learning

다만 이러한 구성은 추상적인 것을 나타내는 데에만 쓰이고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낼 때에는 쓰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 앉는다'를 쓸 때에는 'ég sit'과 같이 단순 현재형을 쓴다.

이렇게 나타낼 수 있는 시제는 다음과 같다.
  • 조건
  • 미래
  • 과거
    • 과거 진행
    • 과거 완료
    • 과거 가정
  • 현재
    • 현재 진행
    • 현재 완료
    • 현재 가정


[1] 수동태나 능동태 따위 [2] 고 노르드어 시절에는 단수와 복수에 양수(兩數)까지도 있었다. [3] 사람, 사물 전부 포함. 문법적 성을 의미하는 것임. [4] 'heiti'는 'heita'의 일인칭 단수형이다. 사족으로 'heiti'라는 명사는 이름을 뜻한다. [5] 사실 당연한 게, 문장 내에서 무언가 반복 언급될 때 쓰이는 게 재귀대명사이니 일반적으로 제일 먼저 언급되는 주격은 재귀대명사에는 필요 없다. [6] /sɛks/로 읽어도 되고 /sɛxs/로 읽어도 된다 [7] /ˈmɪl.jouːn/으로 읽는다. 이들 입장에서는 외래어 [8] /ˈmɪl.jar.ðʏr/로 읽는다. [9] /ˈpɪl.jouːn/으로 읽는다. [10] /nulː/로 읽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