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23:33:16

신세계백화점 스타필드 하남점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신세계백화점/점포
, 스타필드 하남
,
,
,
,

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svg 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 흰색.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백화점
강남점 경기점 김해점
마산점 본점
스타필드 하남점 의정부점
수서점 (2029년 예정)
송도점 (미정)
팩토리스토어
가산점 강남점 고양점 광양점
기장점 대구점 대전점 센텀점
수원점 시흥점 안성점 양주점
여주점 파주점
스타일마켓
대전점
쇼핑몰
센텀시티 몰
프리미엄아울렛
여주점 파주점 부산점 시흥점
제주센터
1. 순서는 공식 홈페이지 기재 기준
2. 프리미엄아울렛은 신세계사이먼 기준
3. 개점 예정점은 개점순 기준
}}}}}}}}} ||

<colcolor=#fff> 신세계백화점 스타필드 하남점 (2016)
파일:스타필드 하남점(신세계백화점) 야간.jpg
<colbgcolor=#A7A7A7> 개점일 2016년 9월 9일
주소 경기도 하남시 미사대로 750 ( 신장동)
휴무일 없음
주변역 파일:Seoulmetro5_icon.svg 하남검단산역[1]
영업시간
[ 펼치기 · 접기 ]
정상영업 10:30 ~ 20:00
연장영업 10:30 ~ 21:00
식당가영업 (월~목요일) 10:30 ~ 20:00
식당가영업 (금,토,일,공휴일) 10:30 ~ 21:00
소유 신세계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층별 안내4. 매장 구성5. 매출6. 여담7. 경쟁 점포

[clearfix]

1. 개요

경기도 하남시 신장동 스타필드 하남 내에 위치한 신세계백화점의 지점.

2. 상세

영업면적 13,612평으로, 2016년 9월 9일 스타필드 하남의 개점과 함께 문을 열었다. 스타필드 하남 자체는 백화점이 아니라 복합 쇼핑몰 개념의 점포로, 스타필드의 옆에 '신세계백화점 스타필드 하남점'이 입점한 형태다. 경방 타임스퀘어 신세계백화점 타임스퀘어점의 관계와 비슷하다. 폐점 시간은 평일/주말 모두 21시로, 신세계백화점 중에 유일하게 21시에 문을 닫는다. 아무래도 스타필드 쇼핑몰과의 연계 때문인 듯.

3. 층별 안내

||<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3F4245,#BEA36B><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3F4245><colcolor=#fff><width=20%> 3F || 남성 · 스포츠 · 진/스트리트 캐주얼 ||
2F 해외유명브랜드 · 화장품 · 골프 · 패션잡화
1F 여성 · 란제리 · 리틀신세계(아동/유아)
B1 식품 · 생활

4. 매장 구성

백화점만 보면 MD 구성이 다소 부족해보일 수 있다. 신세계백화점 스타필드 하남점이 스타필드 하남의 부속 매장 개념으로 건설되어서 그렇다. 신세계백화점 스타필드 하남점 내에는 백화점에만 입점하는 브랜드들 위주로 MD 구성이 이루어졌고, 그 외의 브랜드들은 스타필드 하남의 본 건물에 입주했다.

명품 또한 신세계백화점 내에만 있는것이 아니라 스타필드와 나눠서 입점했는데, 스타필드에 입점된 브랜드가 좀 더 많다.[2] 강남을 타겟으로 한다지만 어쨌든 경기도에 위치한 매장임에도 루이 비통, 몽클레르, 구찌, 프라다, 펜디, 셀린느, 토즈, 보테가 베네타, 생 로랑, 조르지오 아르마니, 티파니, 불가리, 오메가 등의 주요 명품 브랜드가 다수 입점해 있으며, 명품 브랜드들이나 해외 패션 브랜드들은 신세계백화점 VIP 선정 실적에 반영도 된다.[3]

준수한 라인업에 그동안 강동구와 하남시 상권을 독점하다시피한 현대백화점 천호점이 매출이 상당부분 하락했다.

5. 매출

<rowcolor=#fff> 연도 순위 연 매출 신장률
<colbgcolor=#A7A7A7><colcolor=#fff> 2022년 45위 2,655억 원 11.2%
2023년 45위 2,687억 원 -0.7%

스타필드 하남 내의 한 테넌트이기 때문에 신세계백화점 스타필드 하남점만의 매출을 따지는 게 큰 의미는 없지만, 백화점 자체의 매출은 잘 나오는 편은 아니다. 아무래도 루이 비통 등의 핵심 명품과 여러 브랜드들이 백화점이 아닌 스타필드 하남 쪽에 입점해있고, 이 브랜드들의 실적은 신세계백화점이 아닌 스타필드의 매출로 집계된다는 것이 큰 원인이다. 대신 스타필드 하남은 연매출 1조가 넘는, 국내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자랑하는 쇼핑몰로 자리잡았다.

그래도 백화점 자체 매출이 3,000억 원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은 다소 아쉬운 결과라는 평가도 나온다. 실제로 신세계는 이후 스타필드를 지을 때 더이상 신세계백화점을 입점시키지 않고 있다.[4]

6. 여담

  • 경쟁 백화점의 VIP 고객들을 끌어오려는 마케팅 차원에서 롯데백화점 MVG 고객과 현대백화점 클럽 자스민 고객을 스타필드 하남점의 VIP 고객으로 대우해서 VIP 라운지 이용과 발렛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도 했었다.

7. 경쟁 점포


[1] 바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고 직선거리로 약 600m정도 떨어져 있다. [2] 그래도 보테가 베네타, 셀린느, 몽클레르, 오메가 등 일부 명품 브랜드들은 백화점에 입점했다. [3] 명품 브랜드 한정이며, 이외 일반 브랜드는 스타필드 하남의 구매내역으로 잡힐 뿐, 백화점 구매 내역에 반영되지 않는다. [4] 스타필드 하남 다음에 지어진 스타필드 고양의 경우, 초기에는 하남처럼 신세계백화점이 입점한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결국 신세계 팩토리스토어 정도만 입점하는 데에 그쳤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4 ( 이전 역사)
문서의 r362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