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23:45:32

시적 리얼리즘


영화 장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1BDC2><colcolor=#fff>
스타일
SF 영화, 공연 실황 영화, 공포 영화, 느와르, 다큐멘터리 영화, 드라마, 로드 무비, 모험물, 뮤지컬, 미스터리, 법정물, 수사물, 스릴러, 슬로우 시네마, 액션 영화, 사극, 일상물, 전기 영화, 코미디( 블랙 코미디, 로맨틱 코미디, 슬랩스틱), 첩보물, 판타지
사조 네오 리얼리즘, 누벨바그, 뉴 할리우드, 대만 뉴웨이브, 스파게티 웨스턴, 시적 리얼리즘, 표현주의, 도그마 95, 소비에트 몽타주, 프리 시네마, 폴란드 학파, 제3영화, 멈블코어, 시네마 뒤 룩, 홍콩 뉴웨이브, 뉴 퀴어 시네마, 뉴 저먼 시네마
포맷
/프로덕션
3D, 독립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 흑백 영화
}}}}}}}}} ||


1. 개요2. 등장 배경
2.1. 대공황2.2. 고몽과 파테의 몰락
3. 특징
3.1. 숙명론적인 이야기3.2. 양식화된 미장센
4. 주요 영화인

1. 개요

1930년대[1]에 등장한 프랑스의 영화 사조. 시적 사실주의라고 말하기도 한다. 영문으로는 'Poetic Realism'.
사실 용어 자체가 직관적이지 않다.[2] 왜냐하면 '시적'이라는 접두사가 '리얼리즘'과 모순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시대의 영화들이 현실(리얼리즘)을 어떤 정서와 함께 드러냈는지(시적)로 접근한다면 조금이나마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등장 배경

2.1. 대공황

시적 리얼리즘의 주요 등장 배경은 바로 대공황이다. 프랑스가 다른 국가에 비해 타격을 덜 받았어도 어려웠던 건 매한가지. 대공황 때문에 낙관적인 미래를 기대할 수 없으니, 암울한 분위기가 프랑스에 짙어졌다.

2.2. 고몽과 파테의 몰락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프랑스 영화계의 주축을 이루었던 대형 영화사 고몽과 파테가 해체되었다. 그러면서 소형 영화사들이 만들어졌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 덕분에 시적 리얼리즘이라고 불리는 영화들이 나타났다. 왜냐하면 이 소형 영화사들이 신인 감독들을 기용하면서 그들에게 제작 자율성을 줬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인 감독들이 조금 더 자유롭게 영화들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3. 특징

3.1. 숙명론적인 이야기

위에서 언급한 대공황으로 삶이 피폐해지자, 사람들 사이에선 비관적이고 염세적인 정서가 물씬 풍기게 된다. 그래서 시적 리얼리즘 영화들의 이야기는 대체로 숙명론적이다. 주인공은 지금보다 더 나은 미래를 희망하고 이야기는 낙관적인 분위기로 흘러가지만, 종국엔 주인공의 희망이 좌절되거나 더 나아가선 죽음까지 마주한다. 이처럼 시적 리얼리즘에선 그 당시 프랑스의 사회적인 분위기가 반영된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3.2. 양식화된 미장센

초현실주의 영화들이나 표현주의 영화들처럼 극단적이진 않지만, 미장센이 어느 정도 양식화되어있다. 전반적으로 실내 혹은 세트에서 촬영되었으며, 빛의 콘트라스트가 잘 드러나고, 부드러운 트래킹 쇼트도 돋보인다.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듯한 다큐멘터리스러운 영화들보단, 현실을 변주했다는 영화들이라는 점에서 시적 리얼리즘은 특징지어질 수 있다.[3]

4. 주요 영화인

대표적인 영화감독으로는 장 르누아르, 장 비고, 마르셀 카르네, 줄리앙 뒤비비에, 장 그레미용 등이 있다. 또한 배우로는 장 가방이 영화 속에서 자주 등장한다.
[1] 대공황의 시작에서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 [2] 당장 누벨바그(New Wave), 네오 리얼리즘(Neo Realism), 뉴 아메리칸 시네마(New American Cinema)와 같은 용어와 비교했을 때에도 차이가 느껴진다. [3] 똑같이 '리얼리즘'라는 단어가 들어간 이탈리아 네오 리얼리즘 영화들과 비교했을 때 시각적인 특징이 다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