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3:03:24

쇠녹일 용에서 넘어옴
쇠녹일 용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8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ヨウ
일본어 훈독
と-かす, と-ける
표준 중국어
ró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鎔은 '쇠녹일 용'이라는 한자로, '쇠를 녹이다', '주조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39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金十金口(CJCR)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쇠 금)과 소리를 나타내는 (얼굴 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 의미는 ' 거푸집'이었으나, 의미의 확장으로 '쇠를 녹이다', '주조하다', 한 번 더 나아가 '모범', '본보기' 등의 의미로도 쓰인다.
비유적으로 사람의 인성을 쇠를 녹이듯 잘 빚어서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즉 도야(陶冶)의 의미로도 쓰이고, 이 덕에 항렬로도 많이 쓰인다.

중화권과 일본에서는 이 글자가 잘 안 쓰인다. 중국 대륙에서는 (녹일 용)이 이 글자를 대체하며, 간체자인 镕은 인명, 지명 따위에서만 쓰인다. 번체자권에서도 보통 熔이 鎔보다 더 널리 쓰인다. 본래 鎔은 중화권에서는 사장될 운명이었으나, 주룽지 총리 덕분에 간체자까지 받으며 용케 살아났다.
일본에서는 상용한자 중에는 (녹을 용)이, 혹은 더 적은 빈도로 비상용한자 중에는 熔이 이 글자를 대체한다.[1]

참고로, 熔은 만들어진 지 백 년도 채 안 된 한자로, 근대에 melt라는 단어를 번역하기 위해 만들어진 한자이다. 鎔(=熔)이 의미하는 바는 melt, 즉 금속 등의 고체가 높은 열을 받아 액체로 변하는 현상(융해)이고, 溶이 의미하는 바는 dissolve, 즉 고체(용질)가 액체(용매)에 녹는 현상(용해)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다만, 인명 등 고유명사까지는 건드리지 않는다. 그래서 삼성전자 총수인 이재용은 일본에서도 李在鎔 그대로 표기한다. [2] 기업인, 노라조 출신 가수 두 사람 다 이렇게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