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00:06

서연(1986)

서연
SEOYEON
파일:external/ca5351431071d5702785d0660162835eb6cdcc74b54a9ee4129d1e20ee854f23.jpg
<colcolor=#fbe7de> 이름 서연 (SEO YEON)
본명 <colbgcolor=#fff,#191919>남미현 (Nam Mihyeon)
출생 1986년 4월 11일 ([age(1986-04-11)]세)
인천직할시 남구(현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65cm, 43kg, 235mm, A형[1]
가족 오빠
종교 무종교
학력 백학초등학교 (졸업)
관교여자중학교 (졸업)
현대고등학교 (졸업 / 방송문화예술과)
동덕여자대학교 (졸업 / 실용음악학과 학사)
직업 가수
별명 제2의 보아[2]
데뷔 2003년 Stars in your Heart
소속사 ES프로덕션

1. 개요2. 활동3. 음반4. 음악성 및 가창력5.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가수.

2. 활동



2003년 듀스 여름안에서 리메이크한 곡을 타이틀로 내세우며 데뷔했다.

파란색의 청량감 있는 배색 및 헤어, 무대 의상, 인기 휴양지 사이판의 마나가하 섬에서 촬영된 해외 로케 뮤직비디오 등이 특징이다. 뮤직비디오는 당시 유명 뮤직비디오 감독인 홍픽쳐스의 홍종호 감독이 제작했다.

사실 공식 데뷔곡이자 타이틀곡은 'First Minor'[3]라는 발라드 곡이지만, 계절감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으로 바로 '여름안에서'로 타이틀을 바꿔 활동을 이어나갔다. 활동을 시작하면서 '제2의 보아'로 마케팅하여 주목을 받았지만 보아의 인기와 팬덤이 상당했던 관계로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였다.

1994년에 발표된 남성 듀오 듀스의 '여름안에서'를 여성의 음색으로 더욱 청량하고 아이돌적인 편곡 요소를 살려 대중성으로 호평을 받았다. 가끔 '여름안에서'를 커버할 때 원곡자에 듀스 이름 대신 서연의 이름을 표기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어 듀스 팬들이 심기 불편함을 내세우고 있긴 하지만, 그만큼 리메이크가 잘 되었고 원곡과 리메이크의 발매 시기 차이도 거의 10년인 만큼 2000년대의 서연의 곡을 듣고 자란 세대들에겐 이 곡이 더 익숙하고, 리메이크치고 존재감이 상당한 곡이며 실제로 유튜브의 원곡 영상과 뮤직비디오 조회수 차이도 10만에 불과하다. 일반인들이나 가수들이 커버할 때 '누구의 버전이냐' 구분하는 법은 듀스의 버전으로 커버하면 후렴구를 정박으로 부르지만, 서연의 편곡 버전으로 커버하면 후렴구가 엇박이며 "난 너를 사랑해~"라며 반복하는 부분은 서연 리메이크 버전의 경우 이 부분이 도입부에 있지만 듀스의 원곡은 반대로 최후반부에 있다. 원곡에서는 도입부에 브라스 연주가 흐른다.


걸그룹 소녀시대가 서연 버전의 MR(반주)로 커버 무대를 펼친 적 있다. 보통 여가수들이나 여성 유튜버들이 서연 버전을 커버할 때 MR이 없기에 자체 편곡하는 반면, 소녀시대는 공식적으로 발매되지 않은 서연 버전의 여름안에서 정식 MR을 사용해 커버했다. 2003년 서연의 '여름안에서'의 편곡자인 작곡가 안익수가 당시 보아의 'No.1'의 편곡자이기도 했고, 소녀시대 정규 1집의 'Ooh La-La' 등 SM 소속 가수들의 작-편곡을 지속적으로 해왔기에 가능 했던 듯.


정규 1집 리패키지 앨범으로 ' Daydream'이라는 신곡을 추가하여 후속 활동을 이어나갔지만 'Daydream'의 지상파 방송 차트는 39위라는 아쉬운 성적에 그쳤다. 온라인에서 1집 앨범의 Hidden Track[4] 피구왕 통키[5]의 주제가를 플래쉬로 만들어져[6] '여름안에서'만큼 주목을 끌기도 했다.

농심의 히트 상품이었던 스낵 새우깡 CF를 촬영하기도 했다.

이후 같은 해 아무로 나미에의 최고 히트곡 ' CAN YOU CELEBRATE?'를 리메이크해서 발표했고, 별 다른 음반 활동은 하지 않았지만, 뮤직비디오만으로 벅스뮤직 3위, 벨소리닷컴 5위로 월간 수익 1억을 벌어 온라인 수익만으로 제작비를 훌쩍 넘겼다고 한다. 이때 소속사 ES프로덕션에서는 일본 진출까지 추진했지만 경영난 문제로 무산되고 공백기가 시작되었다.

그 후 2007년 4년 만의 공백 끝에 작곡가 황성제와 다시 의기투합한 썸머송 'The Way To Paradise'를 발매하고 음반 프로모션 활동을 짧게 했었다. 이후 2010년까지는 음악 방송에는 안 나와도 '꼭꼭 숨어라' 등 간간히 음원을 발매하긴 했으나, 이것이 가수로서의 마지막 활동이 되었다. 상기한 여름안에서, 피구왕 통키, Can You Celebrate? 외에도 원곡이 유명했던 R.ef의 이별공식(2008), 젝스키스의 커플(2010) 등을 추가로 리메이크 디지털 싱글로 발매해 '리메이크'의 장인이 되었다.

가장 마지막으로 알려졌던 최근 흔적은 모 보컬 트레이닝 학원의 부원장으로 재직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2020년 하반기 들어 코로나19 여파인지 해당 학원의 홈페이지가 사라졌으며, 건물 업체 정보에 폐업이라고 표기돼 그녀의 근황을 알 길이 다시 사라졌다.

3. 음반

1집 앨범 판매량은 1만 5천장 내외에 머물면서 리패키지 앨범을 포함한 1집 활동은 전체적인 성적으로는 150위의 기록이지만 당시 싸이, 리쌍, 이정 같은 히트곡을 낸 가수들의 판매량이 4만 장인 점을 고려하면 신인 여성 솔로 가수로는 선방했다는 평가다.

4. 음악성 및 가창력


캡션

제 2의 보아 타이틀을 달고 나왔던 가수들 중에서는 꽤 뛰어난 실력을 보유했다. 안무도 당시 기준으로는 꽤 격한 편이었고, 라이브도 안정적.

5. 여담

  •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서연은 본래 작사, 작곡에 재능이 있는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재능이 충분한 가수였다. 1집 앨범 수록곡인 이 느낌 그대로, Sweet July은 직접 작사를 하였으며 심지어 Stars in your heart라는 곡은 작사 뿐만 아니라 작곡 까지 했었다. 하지만 소속사에서 리메이크곡인 여름안에서가 흥행했다는 이유로 서연의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재능을 적극적으로 밀어주기보다 아무로 나미에의 Can you celebrate의 번안 버전을 시작으로[7] 이별공식 (원곡: R.ef), 커플(원곡: 젝스키스) 등의 리메이크곡 활동만 시켜 일부 네티즌들이 서연을 여자 조영남이라는 멸칭으로 부르기도 해 팬들이 굉장히 안타까워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서연을 소속사의 잘못된 매니지먼트 때문에 빛을 못 본 케이스로 보고 있다.
  •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오로리라는 멤버와 함께 마리네이드라는 인디밴드로 활동했다. 이 당시에는 Nammi라는 예명으로 작사 및 보컬을 담당했다.

[1] 과거에는 B형으로 알려졌다가, 본인이 A형이라고 밝혔다. [2] 대중 사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대중적으로도 매우 유명한 별명. ES매니지먼트에서 전면으로 내세운 수식어이기도 하며, 실제 동시대 활동 여성 솔로 가수라는 점과 86년생으로 동갑인 나이 그리고 보아의 음반 프로듀서 상당수가 제작에 참여하면서 자연스럽게 해당 수식어가 형성됨. [3] 당시 히트 작곡가였던 황성제가 작곡했다. 보아의 아틀란티스 소녀, 이수영의 훨릴리 등을 작곡했으며, 이소은의 오래오래 편곡. [4] 공식적인 마지막 곡 13번 트랙 'Stars In Your Heart'가 끝난 후 '끝난 줄 알았지~? 다시 간다~'라는 서연의 멘트로 나오는 히든 트랙인 피구왕 통키가 리패키지 앨범에선 정식 트랙으로 15번에 수록되며 스트리밍 사이트인 벅스뮤직에서 입소문을 타고 20위 권을 기록하기도 했다. 리패키지 타이틀이었던 'Day Dream'은 17번에 수록 [5] 간혹 서연 버전이 90년대 SBS에서 방영된 오프닝의 원곡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는데, 원조 한국판 오프닝은 1990년 '한 여름 밤의 꿈'이란 곡으로 강변가요제 대상을 수상했던 가수 권성연이 불렀다. 국산 애니메이션인 영심이의 오프닝 #과 엔딩곡 '알고 싶어요'도 이 가수가 불렀다. 서연은 2003년 자신의 데뷔 앨범 수록곡으로 리메이크 한 것 이다. [6] 바로 원사운드가 만들었다. [7] 여담으로 리메이크 버전도 서연이 직접 개사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