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앱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서비스 중인 애플리케이션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기본 애플리케이션 | |||
갤럭시 스토어 |
갤럭시 웨어러블 |
갤럭시 테마 |
계산기 |
|
날씨 |
내 파일 |
디바이스 케어 |
라디오 |
|
보안 폴더 |
삼성 갤러리 |
삼성 노트 |
삼성 멤버스 |
|
삼성 뮤직 |
삼성 비디오 |
삼성 월렛 |
삼성 이메일 |
|
삼성 캘린더 |
삼성 클라우드 |
삼성 패스 |
삼성 페이 |
|
삼성 키즈 |
삼성 헬스 |
삼성 One UI 홈 |
설정 |
|
시계 |
연락처 |
음성녹음 |
AR 존 |
|
Bixby |
Quick Share |
Samsung Free |
Samsung Global Goals |
|
SmartThings |
PENUP |
Private Share |
||
전화 |
메시지 |
삼성 인터넷 |
카메라 |
|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 ||||
게임런처 |
||||
스토어 애플리케이션 | ||||
갤럭시 원격 서비스 |
게임 플러그인 |
삼성닷컴 |
삼성 레벨 |
|
삼성 맥스 |
삼성 멀티룸 |
삼성 패밀리허브 |
삼성 플로우 |
|
삼성 KNOX |
삼성 TV 플러스 |
스마트 스위치 |
Artecture |
|
Expert RAW |
Galaxy Shop |
Good Guardians |
Good Lock |
|
iWork Converter |
Lux Manager |
S 바로 |
Samsung Portable SSD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서비스 종료된 애플리케이션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갤럭시 뷰 리모트 |
게임 캐스트 |
게임 튜너 |
링크 공유 |
밀크 |
사운드캠프 |
사이드싱크 |
삼성 페이(태국, 멕시코, 러시아) |
|
삼성 페이 미니{{{-3 (한국)}}} |
삼성 Kies |
음성명령 |
음성대화 |
|
챗온 |
S보이스 |
S번역기 |
삼성 Kies(Samsung Kies) |
|
개발사 | Samsung Electronics Co.,Ltd. |
지원범위 | Android 2.1 이상 모든 갤럭시 및 주변기기 |
다운로드 | https://www.samsungsvc.co.kr/download |
1. 개요
휴대기기 관리 프로그램으로, 현재는 스마트 스위치로 대체되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한 때 유저 인터페이스가 아이튠즈의 그것과 아주 흡사하여 카피 논란이 있었다. 앨범 목록이나 메뉴 위치나 기기 연결 시 메뉴 화면이나 그냥 판박이라 봐도 문제가 없을 정도였는데... 쓰는 사람도 적은데다가 아이튠즈는 10버전 이후 UI를 바꿔버려서 이제 별 말은 없는 듯 하다.아이튠즈와 마찬가지로 Kies를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부터 백업, 복원, 동기화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지나치게 무겁고 오류투성이인 탓에 좀 아는 안드로이드 유저라면 꽤나 싫어하는 프로그램이었다.
일단 Kies 초기 버전은 투박한 UI는 둘째치고 프로그램 자체가 거의 못써먹을 정도로 오류 투성이였다. OS 업데이트를 하는데 데이터가 날라갔다, 백업 중에 프로그램이 멈춘다 등의 온갖 버그로 악명이 자자했고, 웬만한 안드 포럼에서도 Kies는 아무도 권장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다.
종종 업데이트는 됐지만, 구 아이튠즈와 유사한 UI에서 거의 발전하지 않았고 여전히 엄청난 발적화를 자랑한다. 온갖 기능을 다 갖춘 아이튠즈처럼 올라운드 프로그램도 아니면서 무겁기는 엄청 무겁다. 동기화, 백업, 복원 등 기초적인 작업들조차도 느리다. 정말로 Kies 몇 번 쓰다 보면 아이튠즈 윈도판이 신적화라고 느껴질 정도다.
이러한 발적화에 대한 비난 여론을 인식했는지 갤럭시 S4 출시 이후로는 아예 Kies3과 Kies Lite라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내놓기에 이른다. 안드로이드 버전 4.3 이상인 기기는 Kies3을 쓸 수 있으며 이전 버전의 운영체제 사용자의 경우 Kies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Kies3에 와서도 썩 최적화가 좋지 못했으며 Kies Lite는 대체 뭐가 라이트하다는 것인지 모를 정도로 일반 Kies와 똑같이 무거웠다.
한편 핸드폰 사후 관리를 담당해야 하는 현장에서는 Kies 사용을 권장은커녕 오히려 기피하는 태도로 나오고 있다. 많은 수의 서비스 센터의 엔지니어들이 'Kies는 오류가 심하니 Kies 말고 그냥 핸드폰 환경설정 메뉴에서 업데이트 하세요'라고 할 정도(...).
굳이 따지자면 Kies 1.0은 기존의 애니콜 PC 매니저+의 연장선
애니콜 PC 매니저 → 애니콜 PC 매니저+ → KIES 1.x/2.x → KIES 2.6[1]→ KIES 3.0 순, 근데 완성도나 안정성은 PC 매니저 플러스가 되기 전 초기 관리 프로그램이 가장 높다(...).
Kies 3.0에 와서는 그나마 나아졌지만 Kies 1.x/2.x의 경우는
잘 모르고 귀찮은 대다수의 일반 유저는 어쩔 수 없이 써야겠지만, 좀 알고
피처폰에선 벨소리를 넣을 수 없으니 New PC Studio를 사용하자. KIES 2.0, 연아의 햅틱 기종으로 MMF 벨소리를 넣을 수 있다.
2. 스마트 스위치
2015년 4월, Kies3의 후속 소프트웨어인 Smart Switch[2]가 공개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Smart Switch는 Kies3과 동일하게 안드로이드 4.3이상의 기기부터 지원한다.[3]이걸로 바뀌면서 기존 아이튠즈 판박이라 듣던 오명은 탈출. 업데이트, 백업, 기기복원 기본적인 기능 제외 전부 없앴다. 경량화해서 좋아하는 유저도 있는 편이다.
[1]
KIES 2.0에서는 폰에 있는 기능만 선택적으로 백업할 수 있었으나(연아의 햅틱 폰의 "My다이어리" 기능 및 시간표 등이 이에 해당되며 "My다이어리" 기능은 NFT 파일로, 시간표 기능은 STT 파일로 백업되었다), KIES 2.6 버전에서는 이 파일(NFT, STT)들을 복원을 못한다.
[2]
안드로이드용 앱은 이미 존재했다.
[3]
데이터이동기능에서 iOS 4.2.1이상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