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4:14:40

소탐대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예시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예시 삭제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유튜브 채널에 대한 내용은 소탐대실(유튜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유래

1. 개요

고사성어
작을 탐낼 잃을
작은 것을 탐내다가 큰 것을 잃는다는 뜻의 사자성어.

비슷한 의미의 속담으로 '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운다'가 있다.[1]

중국어로는 순서를 조금 달리하여 탐소실대(贪小失大) 혹은 인소실대(因小失大)라고 표현한다.

2. 유래

중국 춘추전국시대, 약 기원전 316년. 진(秦)나라 혜왕(惠王)은 이웃 나라인 촉나라(蜀)를 공격하려고 했다. 당시 촉은 별볼일 없는 나라였지만 수백여 년 동안 진나라랑 싸우고 견딜 정도였기에 놔두자면 골치가 아플 게 뻔하고, 강력한 적국인 초나라를 견제하고자 그 가운데 있는 촉을 멸망시키는 게 국익에도 이롭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 한물갔다고 해도 여전히 무작정 군대로 밀어 붙이기는 힘들었다. 검각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길이 너무 험하기 때문에 정복하려면 산을 넘어야 하는데 당연히 체력적으로 한계가 많았고 물자 운송에도 애로사항이 많았다. 그래서 계략을 쓰기로 했는데 바로 촉왕이 욕심 많은 왕이라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혜왕은 신하들로 하여금 의 조각상을 만들고 그 속에 황금 비단을 채워 넣은 뒤 '쇠똥의 금'이라 칭한 후 촉왕에 대한 우호의 예물을 보낸다고 소문을 퍼뜨렸다. 이 소문을 들은 촉왕은 함정일지도 모른다고 반대하던 신하들의 간언을 듣지 않고 진나라 사신을 접견했다.

진나라 사신이 올린 헌상품 목록을 본 촉왕은 눈이 어두워져 백성들을 징발해서 보석의 소를 맞을 길인 잔도를 만들었다.

진나라에서는 헌상품을 보내는 척 군사를 보냈더니 촉왕이란 자는 대문 열고 먼저 나가버렸다. 그것도 문무백관 싸그리 몰고. 당연히 진군은 웃으면서 숨겨든 무기를 꺼내들고 촉왕과 대신들을 모조리 잡았으니 제대로 싸울 틈도 없었고, 진이 15만에 이르는 진군을 대기하여 출동시킨 뒤 나라가 망한 건 물론이며, 촉왕은 유배당해 비참하게 최후를 맞을 때까지 후회했을 것이다.

[1] 왜 하필 빈대냐면 진짜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도무지 빈대가 박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술 더 떠서 "집이 타도 빈대 죽으니 좋다"라는 속담까지 있을 정도니... 빈대의 거의 유일한 약점이 이라 정말로 집을 불태울 각오가 아니면 잡기가 힘들다. 이외에는 방사능이 있으나 그건 사용자도 피폭되는 매우 파괴적인 물질이라서 그만큼 빈대는 극히 짜증나면서도 흉악한 생명력을 가진 해충으로 지금도 악명이 높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