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한 화음 밖의 화음 주요 구성음이 아닌 음. 아닐 비+화성음을 사용하여 화성이 아닌 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첫마디에 C코드, 두번째 마디에 G7코드가 있는 상태에서 오른손 악보에 각각 첫 번째 마디에 도레미솔, 두 번째 마디에 솔시도레가 있다면 첫 번째 마디는 레, 두 번째 마디는 도가 비화성음이다.2. 역할
비화성음은 화음을 이루는 화성음들 사이를 수식해주며 음악을 다채롭게 한다. 기본 구성음만 사용해서 선율을 짜면, 음악이 밋밋하게 들릴 수 있기 때문에 비화성음이 첨가되는 것이다. [1]예를 들어 '봄이 오면' 이란 곡의 선율을 살펴보자.
B♭B♭E♭F GA♭GE♭ B♭A♭GE♭ F
첫 4마디이다.
- 첫 마디-E♭(E♭, G, B♭)+F(비화성음)
- 두번째 마디-E♭(위에 음이름이 있으니 생략)+A♭(비화성음)
- 세번째 마디 E♭+A♭(비화성음)
-
네번째 마디는 구성음이므로(B♭)
3. 종류
3.1. 경과음
Passing Tone / P.T. or P.화성음이 3도 이상 떨어진 다른 화성음을 향해 순차진행할 때(위 예시에서, 소프라노 성부 '미-레-도'에서 '레'에 해당) 그 사이에 생기는 비화성음. 물론 새로운 화성음으로 도달했을 때 화음이 달라져도 상관없다. 약박에 쓰이는 것이 일반적인 용법이며, 여러 번 연속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위 예시는 연속으로 쓰이는 경우다.
3.2. 보조음
Neighboring Tone / N.T. or N.위 사진은 아랫보조음의 예시다.
다른 이름으로 이웃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화성음이 순차진행을 통해 비화성음에 도달한 후 다시 이전의 음으로 돌아올 때 사용되는(C코드 위 '도-시-도'에서 '시'에 해당) 비화성음이다. 물론 원래의 음으로 돌아왔을 때 화음이 달라져도 상관없다. 화성음 위의 음인 윗보조음, 화성음 아래 음인 아랫보조음 두 종류가 있다. 쉬운 예로 할아버지의 시계 첫 소절에서 보조음이 쓰이며 선율적 뼈대를 수식한다.
3.3. 계류음
Suspension / Sus.이전 화음의 한 음이 지금의 화음에서 시간차를 두고 움직일 때 발생하는 비화성음. C - G 진행에서 C의 화성음인 '도'가 G코드가 나올 때도 그대로 지속되다가 뒤늦게 G코드의 화성음으로 이동하는 경우이다. 서스포(sus4) 화음이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보통 순차 하행으로 해결되며, 계류되는 음과 베이스 음과의 음정 관계에 따라 4-3, 7-6, 9-8 등으로 부른다. 보통 9-8은 해결되는 음이 다른 성부에 미리 나와있어 일부 화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베이스가 계류되는 경우도 있다.
3.4. 전타음
Appoggiatura / App.쉽게 말해 이전 화음에서의 예비가 없는 계류음이다. [2] 화음의 시작부터 비화성음이 등장한 후 순차진행으로 해결된다. 쉬운 예로, 바이브의 '그 남자 그 여자' 중 "모든걸 다 주니까 떠난다는 그 여자"에서 '다'가 전타음에 해당한다. 계류음과 마찬가지로 보통 하행 해결된다. 시각에 따라 화음이 바뀔 때 강박에 오는 경과음을 전타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3.5. 선행음
Anticipation / Ant.계류음과는 반대로 화음이 바뀔 때 바뀌는 화음의 화성음 중의 하나가 미리 나와서 불협화를 이룬 뒤 나머지 성부들이 뒤늦게 바뀌어 협화를 이루는 것이다. 이때 미리 나오는 음을 선행음(또는 앞선음)이라고 한다. 이는 대게 여린박에서 나타나며 선율적인 해결 때문에 보통 종지에서 많이 쓰인다.
3.6. 이탈음
Escape Tone / Esc. or E.T.두 종류가 있다. 화성음에서 비화성음으로 순차진행한 후 반대 방향으로 도약하여 해결되는 것과[3], 화성음에서 비화성음으로 도약진행한 후 반대 방향으로 순차진행하여 해결되는 것. 후자는 Cambiata라고도 부른다.
3.7. 변이음 (이중보조음)
Changing Tone / C.T.쉽게 말해 동일한 두 화성음 사이에서 한 음의 보조음 두 개가 연달아 나온 후 해결되는 경우이다. C코드 위 '도-시-레-도' 혹은 '도-레-시-도'에서 가운데 두 음이 변이음이다. 이것 역시 해결되는 음에서의 화음이 변화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모차르트의 K.545 론도의 단조 부분에서 이 변이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같은 몇몇 학교에서는 D.N(Double Neighboring tone) 이나 N.GR(Neighboring group)로 배우기도 한다.
3.8. 지속음 (페달음)
Pedal Point, Organ point / p.p.다른 성부에서 화음이 바뀌는 것에 관계없이 한 성부를 한 음으로 지속시키는 것이다. 보통 베이스 성부에서 나타나고, 간혹 소프라노에 나타나기도 한다. 대개 으뜸음이나 딸림음이 잘 쓰이며 적어도 두 마디 정도는 지속되어야 효과를 낼 수 있다.
[1]
물론 이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르다.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나 '젓가락 행진곡'처럼 화성음만 사용된 곡들도 얼마든지 있다. 단, 예시의 두 곡은 규모가 작거나, 음악 외적인 '비유'의 요소로 흥미를 주는 등 특수한 경우에 해당한다.
[2]
실제로 독일에서는 계류음과 전타음을 같은 명사에 수식어로만 구분해서 사용한다.
[3]
순차진행으로 해결하면 이는 결과적으로 보조음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