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유럽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
중국 |
베트남 |
|
팔레스타인 |
이탈리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서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이스라엘 |
요르단 |
||||
레바논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시리아 |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유럽 | ||||||||
러시아 |
영국 |
아일랜드 |
바티칸 |
튀르키예 |
||||
스웨덴 |
||||||||
아프리카 | ||||||||
수단 |
이집트 |
리비아 |
알제리 |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미국 |
칠레 |
호주 |
뉴질랜드 |
|||||
다자관계 |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 |
바티칸 | 팔레스타인 |
1. 개요
바티칸과 팔레스타인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2. 역사적 관계, 상호 교류
바티칸은 팔레스타인의 국가 인정을 일찍 한 나라중 하나이다.바티칸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공식적인 국가 대 국가로의 외교 관계 수립은 2015년부터 시작되었다. #, # 그러나 바티칸과 팔레스타인 측 사이의 직접적인 교류는 라틴 총대주교 문서에서 보듯 천 년 이상 지속된 관계이기도 하다.
예루살렘, 팔레스타인에 소재한 수많은 성지, 팔레스타인인 인구 중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톨릭 신도 인구, 그리고 중동 평화 중재에 매우 큰 사명감과 책임감을 지고 있기 때문에 바티칸 측은 팔레스타인과의 관계에서 공을 들이고 있다. 팔레스타인 입장에서도 비록 직접적인 힘은 별로 없어도, 정신적으로나마 관계를 지속해주는 교황청은 그야말로 단비같은 존재이다.[1]
2.1. 21세기
2.1.1. 2000년대
2000년에는 PLO의 수장이었던 야세르 아라파트는 요한 바오로 2세와 만나기도 했다.2000년 7월, 팔레스타인이 가진 동예루살렘 일대에 특별 국제지위를 가져야한다고 교황청이 주장했다. #
2000년 8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바티칸의 제안을 거부했다. #
2001년 12월 교황청은 이스라엘 정부가 야세르 아라파트의 성탄미사 참석을 금지시킨 것을 비난했다. #
2.1.2. 2010년대
2012년 11월 바티칸 프란치스코 교황이 팔레스타인을 공식적으로 국가로 인정했으며 이스라엘은 외교부 성명을 통해 즉시 반발했다.2013년 팔레스타인이 자치정부에서 국가로 변경되면서 바티칸과 같이 유이하게 옵서버 지위를 가진 국가가 되었다. #
2014년 5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팔레스타인을 방문했다. #, #, #
2015년에도 바티칸은 팔레스타인을 나라로 인정했으며 국가지위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 #
그리고 팔레스타인 수반이 바티칸을 접견했다. #
두 나라 간의 교류가 존재하는 편이다.
2016년 양자 간 포괄적 조약을 맺었다. #
3. 대사관, 교통 교류
바티칸에 팔레스타인 대사관이 설립되어 있으며 2017년부터 설립되었다. #, #바티칸 측은 해외순방 및 해외 출장 업무 관련해서 항상 알리탈리아, ITA를 이용하고 있다. #
4. 관련 문서
[1]
물론 그렇다고 전세계 모든 천주교 신자들이 팔레스타인에게 동정심을 보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수장인 교황이 일관적으로 서방의 편에 서지 않는 것 만으로도 큰 버팀목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