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냉 공화국 대통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
[[다호메이 공화국| 다호메이 공화국 ]]
|
||
제1대 | 제2대 | 제3대 | |
허버트 마가 | 소루 미간 아피티 | 크리스토프 소글로 | |
제4대 | (제1대) | 제5대 | |
에밀 데를렝 진수 | 허버트 마가 | 저스틴 아호마데그베 토메틴 | |
제6대 | |||
마티외 케레쿠 | |||
[[베냉 인민공화국| 베냉 인민공화국 ]]
|
|||
(제6대) | |||
마티외 케레쿠 | |||
[[베냉 공화국| 베냉 공화국 ]]
|
|||
(제6대) | 제7대 | (제6대) | |
마티외 케레쿠 | 니세포르 소글로 | 마티외 케레쿠 | |
제8대 | 제9대 | ||
토마스 보니 야이 | 파트리스 탈롱 | }}}}}}}}}}}}}}} |
마티외 케레쿠 Mathieu Kérékou |
|
출생 | 1933년 9월 2일 |
프랑스령 다호메이 쿠아르파 | |
사망 | 2015년 10월 14일 (향년 82세) |
베냉 공화국 코토누 | |
재임 기간 | 제6대 베냉 대통령 |
1972년
10월 26일 ~
1991년
4월 4일1차 집권[1] 1996년 4월 4일 ~ 2006년 4월 6일2차 집권 (총 28년 집권) |
|
서명 | |
국적 |
프랑스1933~1958 다호메이 공화국1958~1975 베냉 인민공화국1975~1990 베냉1990~2015 |
1. 개요
1. 개요
베냉의 前 군인이자 베냉 대통령으로, 베냉을 공산주의로 이끌며 베냉 인민공화국을 건국한 독재자다.특이하게도 견훤마냥 자신이 만든 체제를 자신이 앞장서서 무너뜨렸다는 대기록을 보유한 인물이다.[2][3] 정확히는 국가 파탄과 동구권 붕괴를 지켜보면서 1989년 12월 7일 케레쿠 본인이 앞장서서 마르크스-레닌주의 포기, 정치국 청산, 당 중앙위원회 폐쇄를 알리는 공식 성명을 발표하며 공산주의 체제를 무너뜨렸다. 이 과정에서 케레쿠는 자신의 정권이 저지른 모든 범죄에 대해 완전한 사면을 받게 하는 사면법 제정을 목적으로 정권을 민정에 이양했다. 공산정권 붕괴 후에도 1996~2006년 대통령을 다시 역임했다.
[1]
다호메이 공화국 대통령(1972~1975) +
베냉 인민공화국 대통령(1975~1990) +
베냉 공화국 대통령(1990~1991) 재임 기간 총합
[2]
동시기 아프리카 공산주의 국가들을 보면 체제 붕괴 당시 지도자가 공산정권 수립 후 2~3번째 지도자인 경우가 많다.
장 베델 보카사도
중앙아프리카 제국을 건국(?)하고 3년도 안 되어 제국이 멸망했지만 애초에 쿠데타로 쫓겨난 거라 논외.
[3]
물론 케레쿠는 외세에 빌붙어 최전선에서 자신의 체제를 멸망시키지 않았던 것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베냉의 독립을 주도한 인물도,(오히려 프랑스 군인 출신의 식민부역자였다) 베냉의 초대 대통령도 아니었기에 견훤보다 임팩트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