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필드 마법 카드.2. 설명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마종동, 일어판명칭=<ruby>魔鍾洞<rp>(</rp><rt>ましょうどう</rt><rp>)</rp></ruby>, 영어판명칭=Mystic Mine,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수가 자신 필드의 몬스터보다 많을 경우\, 상대는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며\, 공격 선언도 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수가 상대 필드의 몬스터보다 많을 경우\, 자신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며\, 공격 선언도 할 수 없다.,
효과3=③: 자신 / 상대의 엔드 페이즈에\, 서로 필드의 몬스터의 수가 같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파괴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일러스트에선 어떤 동굴에 침입한 전사나 모험가들 앞에 마석술사 크루드가 나타나 움직임을 봉인하고 있다. 크루드나 능력흡수석의 근원이 이 카드인 듯히다.
상대보다 많은 몬스터가 필드에 있는 플레이어의 몬스터 효과 발동 및 공격 선언을 봉쇄하는 효과와, 엔드 페이즈에 서로 필드의 몬스터 수가 같을 경우에 자괴하는 효과를 가진 필드 마법이다. ①과 ②의 효과 모두 자신과 상대 중 몬스터 수가 많은 플레이어에게 제한을 걸어주는 효과로, 공격 선언과 몬스터 효과 발동이 제한돼서 대량전개를 통한 공격이 불가능해지며, 전개, 제거 등도 곤란해지기에 대량전개를 통한 제압이나 원턴킬에 대한 카운터로서 작용하게 된다. 무효 계열이 아닌 룰에 간섭하는 발동 불가 계열이기에 완전 내성 몬스터도 영향을 받는다. 또한 릴리스 발동만 하는 식으로 몬스터를 치울 수도 없으며, 마법,함정에 대한 대비책이 없는 덱은 이 카드만으로 모든 흐름이 봉쇄되는 일도 흔했다.
자신에게도 제약이 걸리므로 가급적 몬스터 수가 적은 상태가 되도록 혼자서 높은 제압력을 가진 카드나 섬도희 등의 소수 정예로 싸우는 덱에 이용하는 게 좋다. 몬스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는 비전투 계열 덱이라면 자신이 받는 영향도 경미해지며, 상대 전개를 견제할 수 있으므로 상성이 좋다.
2.1. 성능
특수 소환을 봉쇄하고 서로의 전개력을 둔화시키는 메타비트 계열의 덱에도 검토해 볼 만하지만, 몬스터가 1장씩 남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③의 효과로 자괴하기 쉬운 게 난점. 서로의 필드의 몬스터가 0인 경우라도 같은 수로 간주돼 파괴된다.다만, 링크 몬스터의 소재로 삼는 것으로 몬스터의 수를 줄이기 쉬운 게 허점이다. 그리고 수가 같아지면 제약이 없어지는 데다, ③의 효과로 엔드 페이즈에 자괴해서 제한이 풀리기에 몬스터의 수를 증감시키는 프리체인 카드를 어느 정도 병용하는 게 좋다. 구체적으론 상대 몬스터를 늘리는 방해꾼 트리오나 스스로 필드에서 벗어나는 악마양 릴리스 등이 후보가 되겠다.
얼핏 보면 락 지향의 카드지만, 후공을 반격하는 카드로도 우수하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는 물론 패 유발 몬스터의 효과도 막을 수 있어 초동의 플레이를 견제하기 힘들어진다. 당연히 그대로 몬스터를 계속 전개하면 다음 자신 몬스터 효과를 쓰기가 힘들어지므로, 그 전에 자신이 파괴할지, 상대 몬스터의 수보다 많지 않게 유지할지는 연구가 필요하다.
엑조디아를 쓰는 락 덱에도 활약할 여지는 있으며, 메타버스를 이용해 상대 턴에 상대가 몬스터를 소환하면 발동하는 식으로 쓸 수 있다. 특히 요즘 환경에선 몬스터 위주의 견제가 주력이다보니 마법 / 함정 견제 카드가 많이 안 쓰인단 점에서 이점이 생긴다. 거기에 엑조디아 덱은 몬스터가 안 쓰이다 보니 상대 턴에 소환에 맞춰 메타버스로 발동한 마종동은 자괴될 확률이 거의 없다. 또는 종언의 카운트 다운 덱에서 해피의 깃털 같은 마법 / 함정 파괴 카드들을 막아줄 카드와 함께 채용하는 것도 좋다. 몬스터를 거의 안 쓰는 체인 번 덱 또한 이 카드와 호궁합.
③의 자괴 디메리트가 자신을 "파괴"하는 효과이므로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 등으로 파괴를 막을 수 있으며, Sin 덱 자체가 전개력이 뛰어난 편이 아니라 효과의 상성이 좋아 투입을 고려할 수 있다.
몬스터의 수가 적을수록 좋다는 점에서 슈팅 퀘이사 드래곤이나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처럼 혼자서 높은 견제력을 자랑하는 몬스터와도 상성이 좋다. 하지만 자신의 효과 발동도 막으니 몬스터 1장만 남은 상태라도 상대 몬스터가 없으면 그 견제력마저 봉인되기에 양날의 검이다.
유사한 대량 전개 방지 카드는 카이저 콜로세움도 있다. 해당 카드는 상대의 필드 전개 전에 발동해서 수를 제한시키지만, 이쪽은 상대가 대량 전개한 뒤에 써도 유효하다.
몬스터 위주로 흘러가는 환경에서 아예 이 카드를 대처하지 못하는 덱들도 존재하며 대처가 가능한 덱들도 함정 카드를 대량으로 넣어 이 카드를 보호할 수 있었기에 결국 이 카드를 중심으로 한 지뢰 덱이 구축됐으며, 락으로 행동을 봉인하는 사이 마법 / 함정 카드로 효과 데미지를 줘서 승리하는 전술을 주류로 환경에 일정한 성과를 보였다. 그 중에서도 파동 캐논은 1장으로 8000 번이 가능해서, 덱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남는 공간에 이 카드를 서치하는 카드나 제거에서 보호해주는 카드를 채용할 수 있어 상성이 좋았다. 이 카드를 첫 턴에 활용하기 위해 메타버스나 종언의 땅 등도 채용했다.
게임을 지나치게 오래 끈다는 점, 봉쇄가 간단함에도 제거 조건을 플레이어 자신이 조절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이 카드가 OCG에서 2019년 7월에 준제한, 2019년 10월엔 제한이 되어 상술한 덱 자체는 구축이 힘들어졌다. 하지만 종언의 땅이 여전히 무제한으로 풀려있었고 궁합이 좋은 함정 덱 또는 섬도희가 이 카드를 깔고 하야테로 직접 공격하는 전술을 사용하거나 트라이브리게이드가 강세일 땐 메타 카드로서 대부분의 덱이 높은 투입율을 보였던 관계로 결국 2021년 10월에 금지가 되었다.
TCG권에서 은거의 대부를 활용한 마종동 번 덱이 리우데자네이루 챔피언십 2022와 WCS 온두라스 지역예선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막상 이후 갱신된 22년 10월 금제에서는 아무런 제재도 받지 않았는데 애초에 마종동 덱이 티어덱도 아니었고 이렇게 우승한 게 예외적인 경우라 그런 듯 하다. 하지만 발금령이나 루닉을 통해 자괴하는 효과마저 회피할 수 있다는 점이 대두되어[1] 결국 동해 12월부터 TCG에서도 금지 카드로 지정되었고, 모든 룰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처음부터 금지 카드로 수록되었다.
2.2. 기타
2023년 11월, TCG 마이너 갤러리에서 풀파워 덱들끼리[2] 싸우는 대회를 진행했는데, 마종동을 3장 넣은 마종동 락덱이 준우승을 차지해버렸다. 그 때 마종동의 위력이 어느 정도였다면 그 이시즈 티아라멘츠와 크샤트리라가 아무 것도 못 하고 2:0으로 마종동의 파워에 무너져 버렸다. 다만 결승전에서는 십이수 덱이 태평양 같은 덱 스페이스를 활용해 채용한 드라코백 때문에 마종동이 바운스되면서 2:1로 석패.2.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19-04-17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DANE-KR064 | 다크 네오스톰 |
2019-01-12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DANE-JP064 | ダーク・ネオストーム |
2019-05-03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DANE-EN064 | DARK NEOSTORM |
2020-08-28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MP20-EN080 | 2020 TIN OF LOST MEMORIES |
2021-11-19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MGED-EN047 | MAXIMUM GOLD: EL DORADO |
[1]
주로 루닉으로 부스팅을 한 뒤,
후긴 1장을 남기고 마종동을 발동하는 식인데, 상대가 몬스터 1장만 소환해 엔드 페이즈에 마종동의 자괴 효과가 발동해도 후긴의 지속효과로 회피할 수 있으며, 발금령의 경우 상대에게 락을 거는 ①의 효과는 지속 효과이므로 계속 유지되지만 마종동을 자괴시키는 디메리트인 ③의 효과는 유발 효과이므로 발금령으로 마종동을 선언 시, 효과 ③의 발동이 이 듀얼 중 영구적으로 봉쇄, 자괴하지 않게 된다.
[2]
무금제 대회는 아니고, 당시 덱들의 전성기 기준 금제를 적용하되, 전성기 이후 출시된 카드는
2023년 10월 금제를 따르는 것으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