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종기 (馬鍾基, 1939년 1월 17일 ~ ) ([age(1939-01-17)]세)
1. 개요
시인, 의사서울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의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 석사, 박사
미국 오하이오 톨레도 아동병원 방사선과 과장 및 부원장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아동병원 방사선과 과장 및 초대 부원장
동 대학 의과대학 소아과 임상 정교수, 방사선 동위원소 실장, 의과대학 방사선과 조교수 역임.
문학잡지 '의학과 문학' 편집장
문학동인 '평균율' 동인
2. 생애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전직 의사. 대한민국 최초의 동화작가 마해송과 현대무용가 박외선의 사이에서 도쿄에서 태어났다.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재학 중 시인 박두진의 추천을 받아 1959년 "현대문학"에 시 '해부학교실' 로 등단했다. 1963년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군의관으로 임관하여 1966년까지 공군에서 복무했다.
군의관 시절에 문학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2가지 사건이 있었다. 먼저 김수영 시인으로부터 '문단에 섞이지 말고, 문학에 의학을 잘 접목시켜 보라' 는 조언을 받은 것.[1]
그리고 1965년에 한일협정 반대 입장[2]을 표명하여, 공군 장교인데도 불구하고 군사 정권의 심한 고문과 함께 수감생활을 하게 된다. 수감생활 도중 아버지 마해송은 아들을 걱정하며 술만 마시게 되고, 이듬해 1966년 뇌질환으로 아버지가 작고하게 된다.
고문의 후유증을 겪었던 그는 제대한 후 힘들었던 고초에 대한 시를 쓰고, 대한민국을 떠나 미국 오하이오주로 건너갔다. 신문기자였던 동생도 해직 이후 형을 따라 오하이오주로 이주하여 같이 살게 되지만, 이 시기에 동생도 총기사고로 인해 세상을 떠나게 된다.
도미한 그는 진단 방사선과 수련을 마치고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의과대학 교수 생활을 하며 시를 발표하게 된다. 도미 후 그의 시 세계는 귀소본능과 그리움이 주축이 되며, 그의 취미라 할 수 있는 음악, 미술, 무용 등을 모티브로 창작을 이어 나갔다. 이러한 성향은 같은 평균율 동인인 무용 평론가 김영태와 삼인 시집 평균율에서 연결되기도 했다.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도스토예프스키의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라는 구절처럼 아름다움을 쓰고, 따스한 시어를 이용하여 고단한 이들에게 단단한 기둥이 될 시를 쓰는 것이 시인으로서 본인의 목표라고 하였다.
2002년에 의사 생활에서 은퇴하고, 현재는 문단 활동만 하고 있다.
3. 작품 목록
3.1. 시집
<조용한 개선>, 1960<두 번째 겨울>, 1965
<평균율1>(공동시집), 1968
<평균율2>(공동시집), 1972
<변경의 꽃>, 1976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 1980
<모여서 사는 것이 어디 갈대들뿐이랴>, 1986
<그 나라 하늘빛>, 1991
<이슬의 눈>, 1997
<마종기 시전집>, 1999
<새들의 꿈에서는 나무 냄새가 난다>, 2002
<보이는 것을 바라는 것은 희망이 아니므로>, 2004
<우리는 서로 부르고 있는 것일까>, 2006
<하늘의 맨살>, 2010
<마흔두 개의 초록>, 2015
<천사의 탄식>, 2020
3.2. 산문집
<별, 아직 끝나지 않은 기쁨>, 2003<아주 사적인, 긴 만남>, 2009
<당신을 부르며 살았다>, 2010
<아름다움, 그 숨은 숨결>, 2021
4. 수상 경력
1961년 제1회 연세문학상1976년 한국문학작가상
1989년 미주문학상
1997년 이산문학상
1997년 편운문학상
2003년 동서문학상
2009년 현대문학상 : 파타고니아의 양.
2011년 박두진문학상
5. 여담
그의 시는 대개 쉬운 단어를 통한 밝은 분위기를 풍긴다. 그러한 밝은 분위기를 보이면서도 그리움이나 비애를 표현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생명공학 박사학위를 갖고 있는 가수 루시드폴이 마종기의 열렬한 팬이라고 하며, 곡들 중에서는 마종기의 시에서 모티브를 따 온 게 있다고 한다.
가수 루시드폴과 마종기 시인이 2년 간 주고받은 교감의 기록 편지를 모아 만든 책인 아주 사적인, 긴 만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