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1 15:44:33

마니와 시라사기

1. 개요2. 작중 행적3. 마니와 이야기에서

1. 개요

마니와 닌자군의 12두령
벌레 조 짐승 조 물고기 조 새 조 독 조
마니와 카마키리 마니와 카와우소 마니와 우미가메 마니와 호오 마니와 도쿠헤비
마니와 테후테후 마니와 케후켄 마니와 쿠이자메 마니와 시라사기 마니와 도쿠츠루
마니와 미츠바치 마니와 코모리 마니와 펭귄 마니와 오시도리 마니와 도쿠후구
마니와 도쿠아리
마니와 도쿠구모
파일:external/img.yaplog.jp/1784.jpg
真庭白鷺(まにわ しらさぎ)
.크큭큭. 만지기야이 운러끄부 도것 는오어들 게하당당 로으문 가자닌[해석]
。っくっくっく。よどけだしなはいしかずはものてっるいはらかまふすとうどうどがゃじんに

라이트 노벨 칼 이야기》, 《마니와 이야기》의 등장인물. 성우 하타노 와타루.

마니와 닌자군의 열 두 두령 중의 한 명. 통칭 거꾸로 말하는 시라사기. 모티브는 백로다.

사용하는 기술은 '인법 역린찾기'.

2. 작중 행적

특이하게도 말을 거꾸로 한다. 예를 들어 '닌자가 방문을 당당히 넘어들어가다니'를 '니다가어들어넘 히당당 을문방 가자닌' 이런 식으로. 거꾸로라는 컨셉 때문인지 얼굴을 뒤집어서 본다면 다크서클 부분이 눈썹처럼 보인다.

닌자군 두령 중 어느 누구도 시라사기와 싸우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묘사될 정도로 강하지만, 칼 이야기의 2번째 권인 참도 나마쿠라편의 서장에서 주인공 일행들보다 먼저 우네리 긴카쿠가 가진 참도를 뺏으러 왔다가 영섬에 그냥 썰려 상대의 다다미를 더럽혀 귀찮게 하는 위업을 달성했다.[2] 긴카쿠에게 당하고 두토막나서 상체만 땅에 '거꾸로' 처박히게 되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제대로 말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시체는 성 바깥의 사구에 버려졌으며, 이후 성으로 찾아온 주인공 일행들에게 자신들이 대적할 상대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게 하는 전투력 측정기로써의 역할을 한다. 원작에선 겨우 알아 볼 정도로 부패한 시체지만 TVA에선 시청자들을 배려했는지 그냥 시체로 나왔다.

인법 역린 찾기의 경우 전투에 적합하며 마니와 닌자군의 동료들이 그가 적이 아닌 것을 다행이라고 여길 정도로 무서운 인법이라고 나오나 정작 원작에서는 워낙 빨리 죽어 감상할 기회가 없다. 초대 마니와 닌자군을 다룬 마니와 이야기에서도 '초대 시라사기는 창을 들고 다니지만, 싸울때는 안 쓰고 역린찾기로 쓰러뜨린다'는게 묘사의 전부라서 역린 찾기가 정확히 어떤 인법인지는 나오지 않았다. 때문에 케후켄은 시라사기의 평소 언행을 근거로 교묘한 행동이나 말, 상황으로 상대방을 동요시키거나 약점을 드러내게 하여 궁극적으론 자멸하게 하는 기술이라고 추정했다.

3. 마니와 이야기에서

마니와 이야기에서는 초대 마니와 시라사기가 등장하는데, 본편에서의 설움을 풀기라도 하는지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여기서의 별칭은 '장창의 시라사기'. 길이가 8척 4촌(2미터 52센티미터)이나 되는 장창을 들고 다녀서 붙은 이름인데, 정작 창을 들고다니기만 하지 실제 사용하지는 않는다. 사용하는 인법은 인법 역린찾기.
칼 이야기처럼 말을 거꾸로 하는 대신 발음이 독특하다는 설정이 있는데, 소설에서는 발음이 같은 한자를 마구잡이로 뒤바꿔 쓰는 식[3]으로 표현했다.

임무 달성률은 100%에 달하지만 항상 문제만 일으켜서 주변에 사람이 아무도 없고, 마을 구석의 움막에서 칩거하는 것을 열두 두령 심사로 케후켄이 찾게 된다. 만난 순간부터 케후켄을 놀리면서 열받게하고, 홀짝을 준비하기 위해 80년만에 주사위를 잡은 케후켄에게 야바위를 치는 등 케후켄을 머리 끝까지 화나게 만들어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결국 시험에 통과하여 두령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케후켄에게 "사람을 화나게 만드는 천재"라는 말을 들었다고.

후손과 달리 비중이 늘어서인지 2차 창작에도 나오는데, 시라사기가 맹한 눈에 까불거리는 이미지로 나오는데 비해, 초대는 장발에 장창을 들고 눈을 매섭게 뜬 차가운 이미지로 그려진다. # 패션 역시 후손과 달리 붕대로 입을 가린 모습.


[해석] 닌자가 문으로 당당하게 들어오는 것도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큭큭크. [2] 인술을 발동하려 방문을 넘어서는 순간 썰렸다. 절대 거꾸로 말하는 말투를 묘사하기 귀찮아서 일찍 죽인거 아닙니다라는 작가해설이 첨부되었다. [3] 동음이의어 다쟈레와 비슷한데, ( 오레)를 (훈독으로 '오레'라 발음)라고 하는 건 기본이고, '있을 수 있다'(ありえる, 아리에루)를 ' 타천사'라고 표기하고 ' 아리엘'이라 읽는 등 시대를 초월한 단어선정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