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3:22

레오파르트 1/형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레오파르트 1
1. 개요2. 시제품
2.1. 레오파르트 A형2.2. 레오파르트 B형2.3. 레오파르트 C형
3. 양산형
3.1. 레오파르트 0-시리즈3.2. 레오파르트3.3. 레오파르트 A1
3.3.1. 레오파르트 1A1A13.3.2. 레오파르트 1A1A23.3.3. 레오파르트 1A1A33.3.4. 레오파르트 1A1A4
3.4. 레오파르트 A2
3.4.1. 레오파르트 1A2A13.4.2. 레오파르트 1A2A23.4.3. 레오파르트 1A2A3
3.5. 레오파르트 A3
3.5.1. 레오파르트 1A3A13.5.2. 레오파르트 1A3A23.5.3. 레오파르트 1A3A3
3.6. 레오파르트 A43.7. 레오파르트 1A5
3.7.1. 레오파르트 1A5A1
3.8. 레오파르트 1A6
4. 해외 개량형
4.1. 레오파르트 1A1BE4.2. 레오파르트 1A5BE4.3. 레오파르트 1A3DK4.4. 레오파르트 1A5DK4.5. 레오파르트 1A5NO4.6. 레오파르트 1V4.7. 레오파르트 1A4GR/1A5GR4.8. 레오파르트 C14.9. 레오파르트 C24.10. 레오파르트 AS14.11. 레오파르트 1T4.12. 코케릴 3105 105mm 저반동포 탑재형

1. 개요

레오파르트 1의 형식을 정리한 문서.

2. 시제품

2.1. 레오파르트 A형

최종적으로 채택된 설계안. 포르셰KG를 비롯하여 아틀라스-MaK, 루터-베르케, Jung-Jungenthal가 개발에 참여하였다. 1960년에 B형과 함께 시제품 모델 생산이 허가되었으며, 사진의 차량(포르쉐 넘버 734)이 제작되었다. 초기에는 라인메탈의 90mm 전차포를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이후 105mm L7 주포를 탑재하게 되었다고 한다. 보기륜은 7쌍이다.

곧이어 1961년에는 차체를 약간 수정하고 주포 안정성을 위해 포탑 일부 설계를 수정한 2번째 시제품(포르쉐 넘버 814)이 테스트용으로 26대 제작되었다. 이 설계안이 B그룹을 제치고 1963년에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침고로 이미 1961년에 A그룹의 2차 시제품 기반의 선행 양산분 50대가 확정되어 1963년에 0-series로 발주되었다고 한다[1]. 다만 정확한 장거리 사격을 위해 거리 측정기를 탑재하고 엔진룸 구조를 변경[2]하도록 차체와 포탑[3] 설계 일부는 변경되었다.

2.2. 레오파르트 B형

러스탈, 라인슈탈-하노마크, 라인슈탈-헨셸이 개발에 참여하였다. 사진의 모델은 1차 시제품으로, A형보다 차체가 약간 작으며 보기륜도 6쌍이라 A형과는 외형에서 구분간다. 또한 주무장으로 90mm 주포를 장착했으며, 주조포탑 양옆으로는 거리 측정기가 튀어나왔다. A팀에 비해 첨단 기술이 대폭 적용되어 하노마크 2행정 엔진, 8단 변속기, 차고 조절이 가능한 유기압 현가장치, 유압식 조향 시스템 같은 첨단 장비들이 적용되었으나, 이러한 신기술들로 인한 기술적인 어려움 등의 문제로 1961년 9월까지 시제차 제작이 지연되었다.

이후 1962년 4월에 A그룹과 B그룹의 시제품을 비교하는 시험이 끝난 뒤로, B그룹도 2차 시제차 제작 명령을 받고 설계를 (A그룹보다) 대폭 수정한 2번째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B그룹의 2번째 시제품은 차체가 재설계되면서 A형처럼 보기륜도 7쌍으로 늘어났다.( 출처) 또한 서스펜션도 듀보네라는 방식의 독립 현가 장치로 바뀌었고, 주무장도 105mm L7으로 변경하였다.

원래 B팀은 2차 시제차 6대를 제작하기로 했으나, 이마저도 2대만 제작되었다. 결국 B팀의 설계안은 A팀에게 패배하여 채택되지 못했다. 현재 B팀의 시제차들도 독일의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2.3. 레오파르트 C형

보르크바르트 社가 개발에 참여했다. 무인포탑과 자동 장전 장치를 탑재하고 A그룹 B그룹과는 다르게 생긴 미래지향적인 설계를 추구하였지만 설계 문제 등으로 취소되어 시제차가 제작되지 않았다.

다만 축소 목업까지는 만들어진걸로 보인다. #

3. 양산형

숱한 개량과 추가장비로 인해 늘어만 가는 중량 속에서도 파워팩 자체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3.1. 레오파르트 0-시리즈

1961년에 발주된 A그룹 2차 프로토타입 기반의 선행 생산분. 50대가 생산되었다.

3.2. 레오파르트

처음 생산된 정규 양산분. 1차 생산분에 해당하며, 500대가 생산되어 1965년 9월에서 1966년 7월까지 납품되었다. 이때는 주포에 스태빌라이저(안정기)가 장비되지 않았다.

3.3. 레오파르트 A1

캐딜락 게이지사의 포탑 안정화 장치를 장비한 모델. 기동간 사격이 가능하다. 차체 측면에 사이드 스커트를 장착하고 주포에도 햇빛이 포신 상부를 가열하면서 유발되는 포신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써멀 재킷( 서멀 슬리브)이 장비되었다. 캐터필러도 미국식의 더블핀 방식 대신 싱글핀 방식이 장비되었다. 2차~4차 생산분에 해당한다.

3.3.1. 레오파르트 1A1A1

1A1에 블룸 & 포스사가 개발한 포탑 증가장갑이 장착된 형식. 포방패에도 장갑판이 추가되었다. 1974년에서 1977년 사이에 A1까지의 거의 모든 레오파르트 차량들이 최소한 A1A1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3.3.2. 레오파르트 1A1A2

PZB-200 야간투시장비로 야간전 능력을 향상시킨 형식.

3.3.3. 레오파르트 1A1A3

SEM80/90 전자식 무전기가 설치된 형식.

3.3.4. 레오파르트 1A1A4

1A1A2에 SEM-80/90 무전기를 장착한 형식.

3.4. 레오파르트 A2

1972년 4월부터 1973년 5월까지 232대가 생산되어 독일 연방군 II군단의 M48A2를 대체했다. 승무원 및 장비, 새로이 도입된 주포안정화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기존보다 포탑장갑이 소폭 두꺼워 젔다. 이외에 궤도가 D640A로 교체되고 견인용 로프가 5m에서 3m로 줄어들게 되었다. 겉보기에는 A1과 비교해서 포탑에도 큰 차이가 없어보이지만, 정면에서 포탑 거리 측정기의 렌즈 커버 모양를 봤을때 더 길쭉하면 A1 까지의 모델, 원에 가까운 모양이면 A2이다[4].

3.4.1. 레오파르트 1A2A1

PZB-200이 장착된 형식. 5차 생산분의 첫 232대가 A2 사양으로 제작되었다.

3.4.2. 레오파르트 1A2A2

SEM80/90이 장착된 형식.

3.4.3. 레오파르트 1A2A3

1A2에 근대화 개수가 모두 된 형식.

3.5. 레오파르트 A3

포탑이 기존의 둥근 주조 포탑에서 새롭게 설계된 각진 용접 포탑으로 바뀌었다. 포탑이 크기도 기존보다 더 커졌기 때문에 포탑의 내부 공간도 약 1.2m^3 증가했다. 이 용접식 포탑의 장갑판으로는 레이어 형태로 가공된 RHA와 함께 SHS가 공간장갑 형태로 배치되었으며, SHS는 RHA 비해 약 25%의 방어력 향상을 이끌었다. 또한 TRP-2A 전차장용 독립식 관측장비( 잠망경)가 추가되었고 용접식 포방패가 처음 도입되었다. 5차 생산분 중에서 나중에 나온 110대가 A3 사양으로 제작되었다.

3.5.1. 레오파르트 1A3A1

PZB-200이 장착된 형식.

3.5.2. 레오파르트 1A3A2

SEM80/90이 장착된 형식.

3.5.3. 레오파르트 1A3A3

1A3의 근대화 개수형.(A1/A2 개수 모두 적용)

3.6. 레오파르트 A4

사격통제장치가 기계식 탄도계산기에서 전자식 컴퓨터로 교체되어 명중률이 향상되었고, 정확한 조준을 위해 EMES-12A1 사격통제 및 조준 장비를 도입했다. 또한 전차장용 독립식 관측장비가 야간관측이 가능한 PERI R12로 교체되었다. 이 개량으로 인해 적재탄수가 55발로 감소했다. 레오파르트 1A3와 동일한 용접포탑을 사용해서 외형이 거의 똑같지만, 전차장 탑승 부위의 관측장비가 원통형인 TRP-2A 잠망경(페리스코프)이면 A3, PERI R12[5]면 A4이다. 250대의 6차 생산분이 A4 사양으로 제작이 되어서 1974년부터 조달되었다.

3.7. 레오파르트 1A5

1986년에서 1992년 사이에 구형 1A1A1 차량들을 대상으로 현대화 개수가 행해진 사양의 레오파르트 1. 사격통제장치 컴퓨터가 레오파르트 2에 적용된 EMES-15에 기반한 크루프-아틀라스 일렉트로닉 EMES-18로 교체되었고 동시에 포수 조준경도 열상 야간투시경 레이저 거리 측정기 기능을 내장한 것으로 바뀌었다[6]. 또 이쯤 105mm용 APFSDS 탄인 DM-23과 DM-33이 도입되었고 포탑 외부에 렉산(Lexan)볼트 고정식 추가장갑이 장착되었으며, 화생방(NBC)보호 강화를 위한 개량도 행해졌다. 포탑 내부도 재설계되면서 탄약고 배치의 변경으로 거주성이 늘어났다. 현재 운용 중인 레오파르트 1은 대부분이 이 사양이다. 1987년에 1호차가 조달되었고, 개량된 1339대의 레오파르트 1A1A1 중 독일 연방군 소속차량은 1,225대 였다.

3.7.1. 레오파르트 1A5A1

SEM80/90이 장착된 형식.[7]

3.8. 레오파르트 1A6

1986년 독일연방기술도입국의 <Panzerabwehrkampfwagen> 프로젝트의 하나로 시작되었다. 전차90'(Panzerkampfwagen 90')연구에 따라 두 대의 실험차량인 VT-2와 VT-5가 제작되었으며 두 차량 모두 라인메탈 44구경장 120mm 활강포로 무장했다. VT-2는 포탑상부에 적외선신호 감소용 장갑재를 달았고 VT-5는 전차장용 PERI를 달았다. 이러한 추가적인 개량에 따라 VT-2와 VT-5의 중량은 각각 4.6톤과 3.5톤 증가했다. 참고로 A6포탑은 신형포탑이 아니라 기존 포탑에 증가장갑재를 덧 씌운 것이다[8]. 이 사양은 1987년에 시제차 단계에서 취소되었다.

4. 해외 개량형

4.1. 레오파르트 1A1BE

벨기에군이 도입 후 동축 및 전차장 기관총이 FN MAG로 바뀌고 오른쪽에 작은 보관함 두 개, 왼쪽에 대형보관함 1개가 추가된 형태.

4.2. 레오파르트 1A5BE

레오파르트 1BE에 SABCA 사격통제장치를 도입한 사양. 독일 연방군의 1A5와는 차이가 큰 전차이다.

4.3. 레오파르트 1A3DK

독일 연방군으로부터 덴마크군이 중고로 도입한 1A3. 왼쪽에 작은 보관함 두 개가 추가되었다.

4.4. 레오파르트 1A5DK

이름은 A5지만 독일 연방군의 1A5와는 차이가 크다. 1A5DK는 1A3DK에 EMES-18 사격통제장치를 탑재한 전차이다.

4.5. 레오파르트 1A5NO

노르웨이군의 1A5. 1A5의 포제어를 유압에서 전자식으로 교체했다.

4.6. 레오파르트 1V

네덜란드군이 도입 후 개량을 적용한 사양.

4.7. 레오파르트 1A4GR/1A5GR

그리스군이 도입한 사양.

4.8. 레오파르트 C1

레오파르트 1A3에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포함된 SABCA FCS를 장착한 캐나다군 제식 사양. 이후 대대적인 장갑 보강과 열영상조준기 장착을 행하였다. 1999년 코소보 사태당시 여섯 대의 레오파르트 C1 전차가 독일 IDB의 MEXAS 증가장갑킷을 장착한 레오파르트 C1 MEXAS[9]사양으로 개수되어 KFOR 미션에 참가했다.

4.9. 레오파르트 C2

레오파르트 C1을 A5급으로 개량한 전차. EMES-18 사격통제장치 등이 도입되었다. 아프가니스탄에 캐나다군 소속으로 파병되고, 2007년 7월에 일부 차량이 C1과 마찬가지로 MEXAS 증가형 복합장갑을 장착한 C2 MEXAS (혹은 C2A1)사양으로 개수되었다.

4.10. 레오파르트 AS1

C1과 마찬가지로 1A3에 SABCA FCS를 장착한 호주군 사양이다.

4.11. 레오파르트 1T

튀르키예군의 레오파르트 1A5에 현대화 개수를 한 전차. 볼칸 사격통제장치가 도입되었다.

4.12. 코케릴 3105 105mm 저반동포 탑재형

코케릴의 코케릴 3105 105mm 저반동포를 탑재한 현대화 사양.

2022년 6월에 코케릴의 자회사 CMI 디펜스사에서 시험결과 명중률이 향상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24년까지 채택내지 채택예정인 국가는 없는것으로 보이며, 정식제식번호도 주어지지 않은것으로 보인다. #

[1] 선행 양산분은 대부분 독일 연방군 연구소에서 테스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2] 엔진룸이 확장되어 차체 뒷부분이 약간 높아지고 라디에이터 몇개를 차체 상부로 옮겼다. [3] 거리 측정기 탑재로 높이가 약간 높아졌고, 측면에 거리 측정기 렌즈 커버가 튀어나왔다. [4] Michael Jerchel and Peter Sarson, 2012, Leopard 1 Main Battle Tank 1965–95, p.13 [5] A3의 잠망경보다 크기가 크고 주변에 장비 보호용 가드 레일이 둘러졌다 [6] 새로운 포수 조준경은 포탑 지붕에 상자 형태로 설치되었고, 포탑 측면에 있던 기존의 거리 측정기는 제거되었다. [7] 왜 A5에도 SEM-80/90 장착개수가 이뤄졌는지 의문이 든 사람들을 위해 말하지만, SEM-80/90은 1986년에 개발된 무전기다. [8] 그렇기에 종종 A5사양 증가장갑판에 120mm를 달아놓은 사진도 보인다. [9] Modular Expandable Armor System의 약자로 1994년 독일 IBD Deisenroth Engineering이 개발한 세라믹 복합장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