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16 |
현급행정구 시할구 58, 현급시 26, 현 52 |
|
지난시 성도 济南市
|
|||
칭다오시 青岛市 |
|||
쯔보시 淄博市 |
장뎬구 张店区 쯔촨구 淄川区 저우춘구 周村区 보산구 博山区 린쯔구 临淄区 환타이현 桓台县 가오칭현 高青县 이위안현 沂源县 |
||
짜오좡시 枣庄市 |
쉐청구 薛城区 스중구 市中区 이청구 峄城区 산팅구 山亭区 타이얼좡구 台儿庄区 텅저우시 滕州市 |
||
둥잉시 东营市 |
둥잉구 东营区 허커우구 河口区 컨리구 垦利区 광라오현 广饶县 리진현 利津县 |
||
옌타이시 烟台市 |
|||
웨이팡시 潍坊市 |
|||
지닝시 济宁市 |
|||
타이안시 泰安市 |
|||
웨이하이시 威海市 |
환추이구 环翠区 원덩구 文登区 룽청시 荣成市 루산시 乳山市 |
||
르자오시 日照市 |
둥강구 东港区 란산구 岚山区 우롄현 五莲县 쥐현 莒县 |
||
린이시 临沂市 |
란산구 兰山区 허둥구 河东区 뤄좡구 罗庄区 란링현 兰陵县 탄청현 郯城县 쥐난현 莒南县 이수이현 沂水县 멍인현 蒙阴县 핑이현 平邑县 이난현 沂南县 린수현 临沭县 페이현 费县 |
||
더저우시 德州市 |
|||
랴오청시 聊城市 |
둥창푸구 东昌府区 츠핑구 茌平区 린칭시 临清市 둥어현 东阿县 가오탕현 高唐县 양구현 阳谷县 관현 冠县 선현 莘县 |
||
빈저우시 滨州市 |
빈청구 滨城区 잔화구 沾化区 쩌우핑시 邹平市 후이민현 惠民县 보싱현 博兴县 양신현 阳新县 우디현 无棣县 |
||
허쩌시 菏泽市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0, 128, 255, .2)"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량산과 시가지 남부
1. 개요
梁山영어 Liangshan
산둥성 지닝시의 현. 지닝과 랴오청, 허쩌시와 타이안 사이 황하 남안의 평원에 위치하며 인구는 약 76만명이다. 옛 지명은 범현 (范縣), 수장현 (壽張), 곤산 (昆山) 등이다. 중세 시기 일대는 거야택[1]이란 거대한 호수 및 습지였고, 시가지 한가운데에 우뚝 솟은 량산 (梁山)은 수호전의 배경인 양산박이 있던 곳으로 유명하다. 14세기 황하의 범람 후 한동안 현이 없다가, 1940년 항일 투쟁과 함께 재차 자체 현이 설립되어 현재에 이른다.
주요 명소이자 지명의 기원인 량산은 전한 시기 봉국이던 양나라 (梁)의 군주 유무가 일대에서 사냥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비옥한 토양 덕에 농업이 발달하였고, 차량 제조업도 있다. 중국의 동지에 해당하는 납팔절에 양싸움을 하는 전통이 있다.[2] 그외에 수호전을 활용한 수호문화제도 열리며, 수호전의 도시답게 량산쿵푸라는 전통 무술도 있다. 량산역에는 징주철도 및 징주고속철이 지난다. 시가지 동북쪽을 지나는 대운하를 통한 수운 교통도 있다.
2. 역사
양산박이 있던 량산
상나라 시기 후일 송나라를 세우게 되는 미자계의 봉토였고, 주나라 시기에는 수구 (須句)국에 속했다. 춘추시대에 서부는 진나라의 범읍 (范邑), 북부와 동부는 노나라의 위향 (微乡) 및 중도읍 (中都邑)에 속했다. 전국시대에는 제나라의 범읍에 속했고, 진나라 시기 설군 (薛郡)에 편성되었다. 전한 시기에는 북서쪽에 범현 (范縣)이 설치되어 동군 (東郡)에 속하였다. 후한 시기에는 제음군 (濟陰郡)을 거쳐 동평군 (東平郡)으로 이전되었다. 북위 시기 수장현 (壽張縣)이 북서쪽 10km 지점의 현 수장지진으로 이전되었다.
북제 시기인 556년, 수장현과 범현은 모두 수창현 (須昌縣)에 통폐합되었다. 북주 시기 일대는 제북군 (濟北郡)에 넘어갔고, 수장현이 재설치되었다. 당나라 시기에는 동평군의 후신인 운주 (鄆州)에, 북송 말부터는 동평부 (東平府)에 속했다. 당시 수장현 동남쪽의 현 시가지 일대는 량산을 중심으로 한 거대한 습지였고, 1120년대 도적들의 소굴이자 수호전의 배경인 양산박이라 불렸다. 금나라 시기에는 산동서로 (山東西路)를 거쳐 동평로 (東平路)에 속했다. 1168년, 황하의 대범람으로 수장현은 황하 북안의 현 타이첸현 서쪽으로 이전되었다가 2년 후 성이 재건되자 돌아왔다.
명나라 시기 동평주 (東平州)에 속했고, 1368년 황하의 범람으로 수장현은 현 시가지 서쪽으로 이전되었다가 1380년에 재차 황하 북안의 현 타이첸현 북쪽으로 이전되었다. 이후 량산 일대는 연주부 (兗州府)와 태안부 (泰安府), 조주부 (曹州府)의 경계에 해당되었다. 신해혁명 후에는 동임도 (東臨道), 대남도 (岱南道), 제서도 (濟西道)의 접경지였고 1930년대에는 동평과 함께 산동 제2행정독찰구에 속했다. 중일전쟁기인 1939년 8월, 팔로군은 량산전투에서 6백여 일본군을 매복 공격을 통해 섬멸하였다.
그리고 1940년, 중국 공산당이 일대에 노서구 (鲁西区) 산하 곤산실험구 (昆山实验区)를 설치했고 이는 이듬해 곤산현 (昆山縣) 항일민주정부로 개편되어 기노예구 (冀鲁豫区) 하에 놓였다. 1942년 곤산현은 진기노예변구 (晋冀鲁豫边区)에 소속되었다. 1949년 쿤산현은 신설된 핑위안성 (平原省) 허쩌전구 (菏泽专区)에 소속되었고, 그 직후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량산현 (梁山县)으로 개명하였다. 1952년 핑위안성이 폐지되며 량산현은 산둥성으로 이관되었고, 1958년에는 기존의 허쩌전구에서 지닝전구로 이관되었다가 이듬해 허쩌전구로 돌아갔다. 1990년, 량산현은 지닝시로 이관되어 현재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