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19:01:47

라틴어/불규칙 활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라틴어
1. 개요2. 명사
2.1. 1변화 불규칙 명사2.2. 3변화 불규칙 명사
3. 동사
3.1. 3변화 동사의 불규칙 명령형3.2. sum, fuī, -, esse3.3. possum, potuī, -, posse3.4. eō, iī(īvī), itum, īre3.5. faciō, fēcī, factum, facere3.6. ferō, tulī, lātum, ferre3.7. volō, voluī, -, velle / nōlō, nōluī, -, nōlle / mālō, māluī, -, mālle
4. 형용사

1. 개요

어떤 언어의 불규칙한 단어는 고대에는 규칙이라는 말이 있다.
라틴어 역시 마찬가지로, 상고 라틴어, 혹은 그 이전 조어의 흔적이 반영된 경우가 많다.

2. 명사

2.1. 1변화 불규칙 명사

단수 -ās, -ae, m -ēs, -ae, m -ē, -ēs, f
주격 -ās -ēs
호격
탈격
대격 -ām -ēn
속격 -ae -ēs
여격 -ae
  • 위 표에 제시된 1변화 불규칙 명사들은 대부분 그리스어에서 온 실명사들이다.
  • -ās 곡용, -ēs 곡용, -ē 곡용 모두 단수 여격은 -ae로 끝난다.
  • 세 가지 곡용 모두 복수형은 일반적인 1변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 1변화 일부 명사의 복수 여격과 탈격은 가끔 -īs대신 -ābus로도 쓰이는데, 보통은 뜻이 같은 2변화 명사의 복수 여격과 탈격이 겹침을 막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지면, "신들과 여신들에게"를 쓸 때에 deus, -ī, m. (신)과 dea, -ae, f. (여신)의 복수 여격과 탈격이 같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고자 "Deīs deīsque" 대신에 "Deīs deābusque"로 써도 된다는 것이다.

2.2. 3변화 불규칙 명사

  • 일부 3변화 명사는 복수 대격이 -īs이다.
  • 일부 3변화 명사는 단수 주격이 -e, -al, -ar가 아니면서 단수 탈격이 -ī, 단수 대격이 -im이다.
  • 'canis, -nis(개)'는 단수 주격과 단수 속격의 음절 수가 같고 남성, 여성 명사이지만 복수 속격이 canium이 아니라 canum이다.

3. 동사

3.1. 3변화 동사의 불규칙 명령형

일부 3변화 동사는 능동태 명령법 현재 단수형에서 어미 e가 탈락하여 자음으로 끝난다.

3.2. sum, fuī, -, esse

  • 영어의 be 동사에 해당하는 녀석.
    • 언어학적으로는 계사[1]라고 하면서, 형용사가 서술어로 나올 수 없는 인도유럽어족에서 형용사를 서술어로 써야 할 때 동사 자리에 명목상으로 첨가하는 동사이다. 영어 때문에 너무 익숙해져서 그렇지 형용사를 그대로 서술어로 쓰는 한국어 사용자에게는 어려운 개념이 맞으니, 이걸 설명하거나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서 좌절할 필요가 없다.
  • SUM 동사에는 수동태와 동명사가 없다. [2]


https://youtu.be/6fP-jHYayk0
  • 위 유튜브 주소로 들어가 동영상 중반 부분을 보면 어째서 esse동사가 불규칙 형태가 되었는지 설명되었다.

직설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미래 현재 과거 미래
단수 1인칭 sum eram erō fuī fueram fuerō
2인칭 es erās eris
ere
fuistī fuerās fueris
3인칭 est erat erit fuit fuerat fuerit
복수 1인칭 sumus erāmus erimus fuimus fuerāmus fuerimus
2인칭 estis erātis eritis fuistis fuerātis fueritis
3인칭 sunt erant erunt fuērunt
fuēre
fuerant fuerint

접속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현재 과거
단수 1인칭 sim fuerim essem
forem
fuissem
2인칭 sīs fuerīs essēs
forēs
fuissēs
3인칭 sit fuerit esset
foret
fuisset
복수 1인칭 sīmus fuerīmus essēmus
forēmus
fuissēmus
2인칭 sītis fuerītis essētis
forētis
fuissētis
3인칭 sint fuerint essent
forent
fuissent

부정법
부정사 분사
완료 fuisse 없음
현재 esse 없음[3]
미래 futūrum esse
fore
futūrus
( 1,2변화)

명령법
현재 미래
2인칭 단수 es estō
복수 este estōte
3인칭 단수 없음 estō
복수 suntō

3.3. possum, potuī, -, posse

  • 영어의 can에 해당. 법, 시제, 인칭과 수는 이 조동사가 나타내고 원래 말하려는 동사는 부정법을 쓴다. 라틴어에서의 조동사는 전부 다 이렇다.
    • 오히려 원형 부정사라는 괴악한 것을 취하는 영어와는 달리 이 경우는 직관적으로 '○○하는 것을 ~~한다'라는 의미가 딱 와닿기 때문에, 익숙해지면 이 쪽이 영어의 조동사보다 훨씬 쉽다. 아니 라틴어에선 '조동사'라는 이름으로 따로 되어 있는 문법 사항이 없다. 부정법문이라고 해서 부정사를 동사로 쓰는 문장에선 특기사항이 있긴 한데 이것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수준.
  • possum 동사는 수동태, 동명사, 명령법이 없다.
  • possum 동사의 미완료 시제는 potis라는 3변화 형용사와 esse 동사를 합성한 것이다.
  • 완료 시제는 potere라는 상고 시대의[4] 동사에서 유래한다.

직설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미래 현재 과거 미래
단수 1인칭 possum poteram poterō potuī potueram potuerō
2인칭 potes poterās poteris
potere
potuistī potuerās potueris
3인칭 potest poterat poterit potuit potuerat potuerit
복수 1인칭 possumus poterāmus poterimus potuimus potuerāmus potuerimus
2인칭 potestis poterātis poteritis potuistis potuerātis potueritis
3인칭 possunt poterant poterunt potuērunt
potuēre
potuerant potuerint

접속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현재 과거
단수 1인칭 possim potuerim possem potuissem
2인칭 possīs potuerīs possēs potuissēs
3인칭 possit potuerit posset potuisset
복수 1인칭 possīmus potuerīmus possēmus potuissēmus
2인칭 possītis potuerītis possētis potuissētis
3인칭 possint potuerint possent potuissent

부정법
부정사 분사
완료 potuisse 없음
현재 posse potēns, potentis
( 3변화)

3.4. eō, iī(īvī), itum, īre

  • 단어 자체로는 '가다'라는 뜻. 이 단어는 전치사나 부사와 합성해 수많은 합성어를 만들기 때문에, 불규칙이라도 일단 정말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외울 수밖에 없는 단어.
  • 현재 완료 어간이 i-와 īv- 2가지 형태가 있다. i- 형태가 더 많이 쓰였다는 것 같은데, 이 문서에선 둘 다 예거한다.

능동태 직설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미래 현재 과거 미래
단수 1인칭 ībam ībō
īvī
ieram ierō
2인칭 īs ībās ībis iistī
īvistī
ierās ieris
3인칭 it ībat ībit iit
īvit
ierat ierit
복수 1인칭 īmus ībāmus ībimus iimus ierāmus ierimus
2인칭 ītis ībātis ībitis iistis ierātis ieritis
3인칭 eunt ībant ībunt iērunt
iēre
ierant ierint

능동태 접속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현재 과거
단수 1인칭 eam īrem ierim iissem
2인칭 eās īrēs ierīs iissēs
3인칭 eat īret ierit iisset
복수 1인칭 eāmus īrēmus ierīmus iissēmus
2인칭 eātis īrētis ierītis iissētis
3인칭 eant īrent ierint iissent

수동태 3인칭 단수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미래 현재 과거 미래
직설법 ītur ībātur ībitur 완료 분사 주격 + esse 미완료형
접속법 eātur īrētur 없음 완료 분사 주격 + esse 미완료형 없음

부정법
부정사 분사
능동 수동 능동 수동
완료 iisse itum esse 없음 itus
( 1,2변화)
현재 īre īrī iēns, euntis
( 3변화)
없음
미래 itūrum esse itum īrī itūrus
( 1,2변화)
eundus
( 1,2변화)

목적 분사
대격 itum
탈격 itū

동명사
대격 eundum
속격 eundī
여격
탈격
eundō

능동태 명령법
현재 미래
2인칭 단수 ī ītō
복수 īte ītōte
3인칭 단수 없음 ītō
복수 euntō

3.5. faciō, fēcī, factum, facere

  • '만들다'란 뜻이면서, 이 단어 역시 전치사 혹은 부사와 합성해 아주 수많은 합성어를 만든다. 영어에서 -fect나 -fact로 끝나는 수많은 단어들이 바로 이 녀석과 그 합성어들의 잔재이니, 영문학도라도 이 동사만은 알아두는 것이 좋다.
    • 하지만 짜증나는 게 하나 있는데, 이 녀석은 전치사와 합성했을 때와 부사와 합성했을 때 수동형의 형태가 달라진다.
  • 능동형으로 보면 3-2 활용으로 완벽한 규칙 활용인데 이 목록에 둔 이유는 따로 있다. 이 동사 자체나, 부사와 합성한 형태의 단어는, fīō라는 다른 동사의 능동형을 수동형으로 갖는다. 다만 수동태 완료 시제는 다른 동사와 마찬가지로 완료 분사에 esse의 그 시제 미완료형을 결합한 형태를 쓴다.

능동태 직설법
  • 합성 형태에서는 어간의 a가 i로 바뀐다. 즉, 어간이 fac-에서 fic-으로 바뀐다.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미래 현재 과거 미래
단수 1인칭 faciō faciēbam faciam fēcī fēceram fēcerō
2인칭 facis faciēbās faciēs fēcistī fēcerās fēceris
3인칭 facit faciēbat faciet fēcit fēcerat fēcerit
복수 1인칭 facimus faciēbāmus faciēmus fēcimus fēcerāmus fēcerimus
2인칭 facitis faciēbātis faciētis fēcistis fēcerātis fēceritis
3인칭 faciunt faciēbant facient fēcērunt
fēcēre
fēcerant fēcerint

능동태 접속법
  • 합성 형태에서는 어간의 a가 i로 바뀐다. 즉, 어간이 fac-에서 fic-으로 바뀐다.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현재 과거
단수 1인칭 faciam facerem fēcerim fēcissem
2인칭 faciās facerēs fēcerīs fēcissēs
3인칭 faciat faceret fēcerit fēcisset
복수 1인칭 faciāmus facerēmus fēcerīmus fēcissēmus
2인칭 faciātis facerētis fēcerītis fēcissētis
3인칭 faciant facerent fēcerint fēcissent

수동태 직설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미래 현재 과거 미래
단수 1인칭 fīō fīēbam fīam 완료 분사 주격 + esse 미완료형
2인칭 fīs fīēbās fīēs
3인칭 fit fīēbat fīet
복수 1인칭 fīmus fīēbāmus fīēmus
2인칭 fītis fīēbātis fīētis
3인칭 fīunt fīēbant fīent

수동태 접속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현재 과거
단수 1인칭 fīam fierem 완료 분사 주격 + esse 미완료형
2인칭 fīās fierēs
3인칭 fīat fieret
복수 1인칭 fīāmus fierēmus
2인칭 fīātis fierētis
3인칭 fīant fierent

전치사 합성 형태의 수동태 직설법
  • 형태상으로는 faciō 동사의 규칙 수동태이다. 위에서 말한 대로, 이 동사는 전치사나 부사와 합성되면 모음 어간의 a가 i로 바뀐다.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미래 현재 과거 미래
단수 1인칭 ficior ficiēbar ficiar 완료 분사 주격 + esse 미완료형
2인칭 ficeris ficiēbāris ficiēris
3인칭 ficitur ficiēbātur ficiētur
복수 1인칭 ficimur ficiēbāmur ficiēmur
2인칭 ficiminī ficiēbāminī ficiēminī
3인칭 ficiuntur ficiēbantur ficientur

전치사 합성 형태의 수동태 접속법
  • 형태상으로는 faciō 동사의 규칙 수동태이다. 위에서 말한 대로, 이 동사는 전치사나 부사와 합성되면 모음 어간의 a가 i로 바뀐다.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현재 과거
단수 1인칭 ficiar ficerer 완료 분사 주격 + esse 미완료형
2인칭 ficiāris ficerēris
3인칭 ficiātur ficerētur
복수 1인칭 ficiāmur ficerēmur
2인칭 ficiāminī ficerēminī
3인칭 ficiantur ficerentur

부정법
부정사 분사
능동 수동 능동 수동
완료 fēcisse factum esse 없음 factus
( 1,2변화)
현재 facere fierī faciēns, facientis
( 3변화)
없음
미래 factūrum esse factum īrī factūrus
( 1,2변화)
faciendus
( 1,2변화)

목적 분사
대격 factum
탈격 factū

동명사
대격 faciendum
속격 faciendī
여격
탈격
faciendō

명령법
능동 수동
현재 미래 현재 미래
2인칭 단수 fac
face
facitō fītō
복수 facite facitōte fīte fītōte
3인칭 단수 없음 facitō 없음 fītō
복수 faciuntō fīuntō

3.6. ferō, tulī, lātum, ferre

  • '가져오다'란 뜻이면서, 이 단어 역시 전치사 혹은 부사와 합성해 아주 수많은 합성어를 만든다.[5] 거기다가...
  • 모음어간이 없는 녀석이라, 4가지 으뜸꼴 모두가 전부 다른 형태라는 그랜드슬램을 친 녀석 되겠다.
  • 팁을 주자면, 3-1 활용 동사인데, 직설법 현재 및 명령법에서 s·t·r 앞의 e·i가 탈락하고, 능동·수동 현재 부정사가 ferre·ferrī라는 것만 기억하면 된다.

능동태 직설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미래 현재 과거 미래
단수 1인칭 ferō ferēbam feram tulī tuleram tulerō
2인칭 fers ferēbās ferēs tulistī tulerās tuleris
3인칭 fert ferēbat feret tulit tulerat tulerit
복수 1인칭 ferimus ferēbāmus ferēmus tulimus tulerāmus tulerimus
2인칭 fertis ferēbātis ferētis tulistis tulerātis tuleritis
3인칭 ferunt ferēbant ferent tulērunt
tulēre
tulerant tulerint

능동태 접속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현재 과거
단수 1인칭 feram ferrem tulerim tulissem
2인칭 ferās ferrēs tulerīs tulissēs
3인칭 ferat ferret tulerit tulisset
복수 1인칭 ferāmus ferrēmus tulerīmus tulissēmus
2인칭 ferātis ferrētis tulerītis tulissētis
3인칭 ferant ferrent tulerint tulissent

수동태 직설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미래 현재 과거 미래
단수 1인칭 feror ferēbar ferar 완료 분사 주격 + esse 미완료형
2인칭 ferris
ferre
ferēbāris
ferēbāre
ferēris
ferēre
3인칭 fertur ferēbātur ferētur
복수 1인칭 ferimur ferēbāmur ferēmur
2인칭 feriminī ferēbāminī ferēminī
3인칭 feruntur ferēbantur ferentur

수동태 접속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현재 과거
단수 1인칭 ferar ferrer 완료 분사 주격 + esse 미완료형
2인칭 ferāris
ferāre
ferrēris
ferrēre
3인칭 ferātur ferrētur
복수 1인칭 ferāmur ferrēmur
2인칭 ferāminī ferrēminī
3인칭 ferantur ferrentur

부정법
부정사 분사
능동 수동 능동 수동
완료 tulisse lātum esse 없음 lātus
( 1,2변화)
현재 ferre ferrī ferēns, ferentis
( 3변화)
없음
미래 lātūrum esse lātum īrī lātūrus
( 1,2변화)
ferendus
( 1,2변화)

목적 분사
대격 lātum
탈격 lātū

동명사
대격 ferendum
속격 ferendī
여격
탈격
ferendō

명령법
능동 수동
현재 미래 현재 미래
2인칭 단수 fer fertō ferre fertor
복수 ferte fertōte feriminī ?
3인칭 단수 없음 fertō 없음 fertor
복수 feruntō feruntor

3.7. volō, voluī, -, velle / nōlō, nōluī, -, nōlle / mālō, māluī, -, mālle

  • 세 동사의 의미와 변화형이 밀접하게 관련이 있어서 같이 적는다. 의미는 각각 '원하다'(velle), '원하지 않다'(nōlle), '선호하다'(mālle).
  • 셋 다 수동태는 당연히 없다.
  • 명령법도 의미상 어울리지 않는데, nōlle만 명령법이 있다. 라틴어 동사의 부정 명령법(~하지 마라)은 '본동사 현재 부정법 + nōlle 명령법'으로 나타낸다.
  • nōlle와 mālle의 활용형은 기본적으로 velle 활용형에서 vo-/ve- 부분을 nō-, mā-로 바꾼 형태인데, 직설법 현재 2/3인칭 단수, 2인칭 복수 형태만 특별하다.
    • nōlle는 그냥 velle 동사 앞에 nōn[6]을 써서 나타내고, mālle는 velle 활용형에 그대로 mā-를 붙인 형태를 쓴다.

velle 직설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미래 현재 과거 미래
단수 1인칭 volō volēbam volam voluī volueram voluerō
2인칭 vīs volēbās volēs voluistī voluerās volueris
3인칭 vult
volt
volēbat volet voluit voluerat voluerit
복수 1인칭 volumus volēbāmus volēmus voluimus voluerāmus voluerimus
2인칭 vultis
voltis
volēbātis volētis voluistis voluerātis volueritis
3인칭 volunt volēbant volent voluērunt
voluēre
voluerant voluerint

velle 접속법
미완료 완료
현재 과거 현재 과거
단수 1인칭 velim vellem voluerim voluissem
2인칭 velīs vellēs voluerīs voluissēs
3인칭 velit vellet voluerit voluisset
복수 1인칭 velīmus vellēmus voluerīmus voluissēmus
2인칭 velītis vellētis voluerītis voluissētis
3인칭 velint vellent voluerint voluissent

velle 부정법
부정사 분사
완료 voluisse 없음
현재 velle volēns, volentis
( 3변화)

nōlle 명령법
현재 미래
2인칭 단수 nōlī nōlitō
복수 nōlīte nōlitōte
3인칭 단수 없음 nōlitō
복수 nōluntō

4. 형용사

  • 소유 형용사 'meus, -ī(나의)'의 남성 단수 호격은 mee가 아닌 mī이다.
  • 3변화 형용사 'vetus, -teris(오래 된)'와 'pauper, -peris(가난한)'는 복수 속격과 중성 복수 주격·대격에 i가 들어가지 않는다.

[1] 이를테면 The flower is red라는 영어문장을 생각해보자. be동사 is는 원래 '존재하다, 있다' 라는 뜻을 가진 완전자동사인데, 여기서 is의 '존재하다'라는 원 뜻은 해석되지 않았고, 주어 The flower와 주격보어 red를 연결해주는 연계사로서 쓰였다. 한국어에는 그런거 없다. [2] 사실 라틴어는 영어와는 달리 계사를 거의 쓰지 않는다. 예문: Vīta brevis (est), ars longa (est). " 삶은 짧다, 예술은 길다. " 다만 라틴어는 일반적으로 후치수식이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 짧은 삶, 긴 예술 " 로 해석될 수도 있다. [3] esse 동사 자체는 현재 분사가 없지만, 전치사나 부사 등에 esse를 합성시켜 만든 합성 동사에서는 -sēns, -sentis ( 3변화)라는 형태로 현재 분사가 존재한다. [4] BC 3세기 무렵의 라틴어에 존재했던 [5] 참고로, 영어에서 -fer, -late 등으로로 끝나는 단어는 대부분이 이 단어에서 왔다고 보면 된다. [6] 영어 not에 해당하는 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