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칭대명사
- 여기서 속격은 속격을 목적어로 하는 경우, 즉 한국어로는 '~에 대하여'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나의', '너의' 등등의 소유라는 의미를 표현하려면 아래의 소유형용사를 사용한다. 가령 'timor tuī'라고 하면 '너의 두려움'이 아니라 '너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뜻이 된다. '너의 두려움'이라는 의미를 쓰려면 소유형용사를 사용하여 'timor tuus'라고 써야 맞다.
- 복수 속격의 아래쪽은 '분할 속격'이라고 하는 것으로, '~~ 중의 누구'를 말할 때 쓴다.
- 3인칭 재귀대명사는 말하고자 하는 대상이 문장에서 이미 나온 적이 있을 경우에 사용한다. 그냥 3인칭의 대상을 말하고자 하는 경우엔 아래의 지시대명사 is, ea, id를 사용한다.
- 3인칭 재귀대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형태가 똑같다.
1인칭 | 2인칭 | 3인칭 재귀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ego egō |
nōs | tū | vōs | 없음 |
대격 | mē | tē | sē | ||
탈격 | nōbīs | vōbīs | |||
여격 |
mihi mihī[1] |
tibi tibī |
sibi sibī |
||
속격 | meī |
nostrī nostrum |
tuī |
vestrī vestrum |
suī |
1.1. 소유형용사
- 형용사이기 때문에 수식을 받는 명사와 성·수·격을 똑같이 맞춰야 한다. '소유의 의미이니 속격'이라고 생각하고 헷갈리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는데, 독일어나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을 먼저 배우고 왔으면 이 부분에선 쉬울 것이다.
- 영어로 my car, my cars, our car, our cars가 다른 것처럼, 소유자가 바뀌면 어간이 변하고, 소유물이 바뀌면 어미가 바뀐다. (exemplī grātia: '나의 별'은 화자가 남성이든 여성이든 중성이든 상관 없이 Stēlla Mea라고 쓴다.)
- 3인칭의 소유형용사는 지시대명사 is, ea, id의 속격을 전용한다.
- 피수식 명사 없이 단독으로 쓰이면 '~의 것'이라는 뜻의 대명사가 된다.
- 나의: meus, mea, meum
- 남성 단수 호격: mī
- 너의: tuus, tua, tuum
- 우리의: noster, nostra, nostrum
- 너희의: vester, vestra, vestrum
- 또는 voster, vostra, vostrum
- 그 자신(들)의: suus, sua, suum
- 재귀대명사처럼 소유자의 수를 불문한다.
2. 의문대명사
- 누구(남성, 여성), 무엇(중성)의 뜻이 있는 대명사다.
- 복수형(quī, quae, quae)은 1, 2변화를 따르되, 여격·탈격이 quibus다.
단수 | 남성·여성 | 중성 |
주격 | quis | quid |
대격 | quem | |
속격 | cuius | |
여격 | cui[A] | |
탈격 | quō |
2.1. 의문형용사 겸 관계대명사
- 복수형은 의문대명사와 같은데, 단수형이 다르다.
- 관계대명사의 성과 수는 선행사를 따르고, 격은 관계문 안에서의 역할에 따른다.
단수 | 남성 | 중성 | 여성 |
주격 | quī | quod | quae |
대격 | quem | quam | |
속격 | cuius | ||
여격 | cui[A] | ||
탈격 | quō | quā |
3. 지시대명사
3.1. hic, haec, hoc
- 화자에게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형태 변화가 약간 불규칙하다.
- 복수형(hī, hae, haec)은 1, 2변화를 따른다.
단수 | 남성 | 중성 | 여성 |
주격 | hic | hoc | haec |
대격 | hunc | hanc | |
속격 | huius | ||
여격 | huic | ||
탈격 | hōc | hāc |
3.2. ille, illa, illud
- 화자와 청자 둘 다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다. 존경의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한다.
- 복수형(illī, illae, illa)는 1, 2변화를 따른다.
단수 | 남성 | 중성 | 여성 |
주격 | ille | illud | illa |
대격 | illum | illam | |
속격 | illīus | ||
여격 | illī | ||
탈격 | illō | illā |
3.3. iste, ista, istud
- 화자가 아니라 청자 가까이에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다. 경멸의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한다.
- 변화 형태는 위와 같다.
3.4. is, ea, id
- 일반적으로 '3인칭 대명사'라고 불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대명사다.
단수 | 복수 | |||||
남성 | 중성 | 여성 | 남성 | 중성 | 여성 | |
주격 | is | id | ea | eī(iī) | ea | eae |
대격 | eum | eam | eōs | eās | ||
속격 | eius | eōrum | eārum | |||
여격 | eī | eīs(iīs) | ||||
탈격 | eō | eā |
3.5. īdem, eadem, idem
- '바로 그것', '아까 말한 그것'이란 의미를 가진 대명사다.[4]
단수 | 복수 | |||||
남성 | 중성 | 여성 | 남성 | 중성 | 여성 | |
주격 | īdem | idem | eadem | eīdem(iīdem) | eadem | eaedem |
대격 | eundem | eandem | eōsdem | eāsdem | ||
속격 | eiusdem | eōrundem | eārundem | |||
여격 | eīdem | eīsdem(iīsdem) | ||||
탈격 | eōdem | eādem |
3.6. ipse, ipsa, ipsum
- 위와 의미는 비슷하면서 뜻은 더 강한 대명사.[5] '강의(强意)대명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 변화 형태는 ille, iste와 같다.
4. 대명사적 형용사, 수사
대명사적 형용사는 기본적으로 1, 2변화인데, 3성 공통으로 단수 속격은 -īus, 단수 여격은 -ī를 쓴다.- ūnus, ūna, ūnum: one
- ūllus, ūlla, ūllum: any
- nūllus, nūlla, nūllum: no
- sōlus, sōla, sōlum: alone
- tōtus, tōta, tōtum: all
- alter, altera, alterum: the other
- uter, utra, utrum: either
- neuter, neutra, neutrum: neither
- alius, alia, aliud: other
4.1. duo, duae, duo
- two. 당연히 단수형은 없다.
남성 | 중성 | 여성 | |
주격 | duo | duo | duae |
대격 | duōs | duās | |
속격 | duōrum | duārum | |
여격 | duōbus | duābus | |
탈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