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0:36

동아시아 축구 연맹

동아시아축구연맹에서 넘어옴
아시아 축구 연맹 산하 지역 연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West_Asian_Football_Federation_logo_(2023).png 파일:중앙아시아축구연맹.png 파일:남아시아축구연맹.png 파일:아세안축구연맹.png 파일:동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서아시아 축구 연맹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 남아시아 축구 연맹 아세안 축구 연맹 동아시아 축구 연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A500> 파일:동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동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괌 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대만
대한민국
마카오
몽골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북한
일본
중국
홍콩 }}}}}}}}}



파일:동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colbgcolor=#000> 명칭 <colbgcolor=#fff,#191919>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한국어 명칭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설립연도 2002년 5월 28일
본부 일본 도쿄
가입국 10개국
회장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타시마 코조[1]
산하 대회 EAFF E-1 풋볼 챔피언십
홈페이지 페이스북

1. 개요2. 회원국3. 개최 대회4. 여담

[clearfix]

1. 개요

2002 한일 월드컵 직전인 2002년 5월 28일에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현재 회원국은 10개국으로 한중일이 돌아가면서 회장을 맡거나 대회를 주최하는 등 이 세 국가가 사실상의 주축이 되고 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조차도 한중일은 시드국이라 자동 진출이고, 나머지 7개국이 예선을 치러서 1팀이 참가한다.

서아시아 축구 연맹과 함께 실력과 지위 면에서 사실상 아시아 축구 연맹을 양분하고 있다. 그러나 2강(한국,일본)은 중국과 북한, 홍콩, 다른 나라들(괌, 대만, 마카오, 몽골, 북마리아나 제도) 간의 실력차가 어마어마하게 큰 편이다. 즉 2강(대한민국, 일본) 3중(북한, 중국, 홍콩) 5약[2]의 구도라는 것.[3]

이는 후술될 개최 대회에 자세히 서술되었다.

2. 회원국

파일:동아시아축구연맹회원.png

3. 개최 대회

주요 대회는 연맹 결성 후 이전의 다이너스티컵을 계승한 EAFF E-1 풋볼 챔피언십으로, 2003년부터 격년으로 주최되고 있다. 지역 연맹 주관 대회라 A매치 데이에 열리지 않아서 해외파들의 참여가 저조할 수밖에 없고 해외파가 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한국과 일본의 특성 상 대회 위상이나 인기 역시 낮은 편이다. 때문에 이 대회에 참여하는 국가들은 보통 국내에서 뛰고 있는 선수와 가까운 거리의 국가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을 위주로 대표팀을 구성한다. 해외파가 거의 없는 중국은 거의 정예 멤버로 나서며, 한일 양국은 A매치 데이에서 기회를 받지 못한 자국 리그 A급 선수로 대표팀을 구성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우승은 한중일에서 나오며 예선을 통과한 국가는 최고 성적이 3위[4]에 불과하다.
FIFA 랭킹[5] 국가 EAFF 동아시안컵 최고 성적 AFC 아시안컵 최고 성적 FIFA 월드컵 최고 성적
16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일본 우승
(2013, 2022)
우승
(1992, 2000, 2004, 2011)
16강
(2002년 9위, 2010년 9위, 2018년 15위, 2022년 9위)
23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우승
(2003, 2008, 2015, 2017, 2019)
우승
(1956, 1960)
4위[6]
(2002년 4위)
91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중국 우승
(2005, 2010)
준우승
(1984, 2004)
32강 조별리그
(2002년 31위)
111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북한 3위
(2005, 2015)
4위[7]
(1980)
8강
(1966년 8위)
157 파일: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홍콩 4위
(2003, 2010, 2019)
4강 결선리그 3위
(1956)
-
166 파일:Chinese_Taipei_FA.png 대만 - 4강 결선리그 3위
(1960)
-
188 파일:Mongolia_FA.png 몽골 - - -
193 파일:attachment/macau.png 마카오 - - -
204 파일:Guam_national_football_team.png - - -
비회원국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북마리아나 - - -
본선 라운드 출전 불참 본선 진출 실패

이러한 이유는 위 표를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톱시드로서 본선에 매번 출전하는 한, 중, 일 3개국을 제외하면 FIFA 월드컵 본선에 나가본 중하위 시드는 북한 밖에 없다. 또한 중하위 시드 대부분은 AFC 아시안컵마저도 나가본 적 없으며, 홍콩은 1968년 이후 2023년까지 55년 간의 아시안컵 진출 실패라는 쓰라림을 맛봐야만 했고 대만은 이마저도 아시안컵 초창기 시기에 결선 풀리그로 운영하던 시절 나가본 게 전부다. 실력차가 많이 나는 이유로 예선을 통해 딱 1장 주어지는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본선 티켓은 거의 북한 아니면 홍콩이 차지한다.[8]

2022 월드컵의 경우 대한민국과 일본은 이번에도 무난히 본선 진출에 성공한반면 중국은 또다시 최종예선에 벽을 넘지못하고 일치감치 탈락이 확정되었다. 북한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이유로 예선도중 기권하였고, 나머지 3개국도 2차 예선에서 모두 탈락했다. 2023 아시안컵의 경우 월드컵 최종예선에 진출한 한중일이 본선에 바로 직행했고, 나머지국 중 홍콩만이 유일하게 3차 예선을 거쳐 진출했다.[9]

4. 여담

EAFF의 본부가 있는 일본 도쿄 EAFF 본부 연락처로 건의사항 등을 이메일 등 전자 메시지 수단으로 연락을 하면 하루 내에 답변이 올정도로 빠르다.


[1] 2022년에 회장직에 오른 중국 국적의 두자오차이가 부패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어 2023년 4월 18일자로 권한대행으로 전환하였다. [2] 괌, 대만, 마카오, 몽골, 북마리아나 제도 [3] 공교롭게도 5약에 해당하는 국가들은 브라질과 한 번도 경기를 해 보지 못했고 나머지 2강 3중인 국가들은 브라질과 경기를 한 적이 있다. 그 중 브라질을 이겨 본 나라는 대한민국 하나뿐이다. [4] 북한 - 2005, 2015 [5] 기준: 2024년 9월 19일 # [6] 3,4위전 최종 4위 [7] 3,4위전 최종 4위 [8] 다만 아세안 축구 연맹 소속의 호주를 초청하여 예선에 출전하도록 한 2013년 대회에서는 호주가 본선행 티켓을 따냈다. 호주는 기량 편차 때문에 소속된 지역 연맹 주최의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않기 때문. [9] 북한같은 경우는 아시안컵 예선을 겸했던 2차예선에서 아예 기권을 해버렸기 때문에 동시에 아시안컵 진출 또한 날아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