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21:10:09

독립군가(크라잉넛)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독립군가
,
,
,
,
,
<colbgcolor=#8392C4><colcolor=#000000> 독립군가
파일:다시 부르는 노래.jpg
발매일 2005년 8월 15일
수록 앨범 다시 부르는 노래
재생 시간 4:03
작사 대한독립군
작곡 헨리 클레이 워크
편곡 크라잉넛
원곡 Marching Through Georgia
노래방 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 69561
파일:TJ미디어 심볼.svg 15155
1. 개요2. 상세3. 관련 영상
3.1. 음원 영상3.2. 기타
4. 가사5. 매체에서
5.1. 국방 TV 위문열차
5.1.1. 등장 부대
6. 기타

[clearfix]

1. 개요

독립군가 앨범에 참여하게 되어 영광이다. 처음 독립군가를 들었을 때 무언가 가슴이 뜨거워 지는 것을 느꼈다.
독립투사들의 얼이 살아 쉬는 노래들이 후손들과 젊은 세대에게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다시 부르는 노래 by 크라잉넛-
2005년에 독립군가 크라잉넛이 임시정부수립 86주년 기념행사때 국가보훈처의 초청을 받고 압록강행진곡과 함께 리메이크한 노래로 국가보훈처(現 국가보훈부)에서 주관하는 다시 부르는 노래 2번째 트랙으로 수록된 곡이다.

김인수 아코디언[1]으로 시작해서 옛 감정을 자극하더니 강렬한 일렉기타 등의 사운드를 쏟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음원에서는 3절에 아코디언 반주가 들어가나 라이브 공연에서는 대부분 생략한다.

2. 상세

당시 임시정부 수립 86주년 기념 행사가 열렸을 때, 록 그룹을 초청하자는 생각은 보훈처 기념 사업과의 젊은 직원의 생각이였다고 한다.

담당 부서에서도 처음에는 다소 모험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었으나, 거듭된 회의 끝에 나름대로 의미있는 프로그램이라는 결론이 내려져 국가보훈처 전체 회의에 보고됐다. 하지만 보고 뒤 박유철 보훈 처장과 배철호 차장은 물론, 다른 실장 및 국장들도 크라잉넛에 대해 알지 못해 잠시 침묵이 흘렀다.

다행히 회의 참석자 중 한 40대 국장이 크라잉넛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이 국장은 크라잉넛이 요란하기로 소문난 노래인 말달리자를 부른 것을 상기하며 정부 수립 기념식에 초청해도 될지 우려를 나타내었고, 담당 부서가 크라잉넛의 노래를 직접 들어본 뒤 판단하자고 결정을 내렸다.

담당 부서는 크라잉넛 연습실 방문 보고서에서 독립군가를 강렬한 록 음악으로 들으니 선조들의 독립 의식이 한층 강하게 느껴지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 의견이 반영되어서 당시 행사 프로그램 및 곡목으로 선정되었다고 한다.[2] 해서 임시정부 수립 86주년 기념 행사에서 크라잉넛이 초청되어 압록강 행진곡[3]과 독립군가를 리메이크해서 불렀다고 한다.

당시 기념수립 행사에서는 크라잉넛이 정장 차림의 아코디언 김인수를 제외하고 군악대 출신으로 예우를 갖추고자 수도방위사령부 군악대에서 입던 행사복을 입고 무대에 올랐으며, 당시 반응은 당시에 용기를 북돋게 하기 위해서 부른 노래인데 이 노래를 편곡해서 락 밴드가 부른 것에 대해 활기차다는 반응도 있었고 젊은 밴드가 부른 것에 대해 젊은 사람들에게 독립운동에 대해 상기시켜 준다는 반응도 있었다고 한다.

독립군가를 다시 만들면서 강조하고자 한 바는 원곡이 군가라는 점 때문에 군가는 원래 용맹스럽고 비장한 분위기가 있는데, 크라잉넛은 그런 분위기보다는 나름대로 씩씩하면서 밝고, 듣는 사람들에게 힘을 북돋워주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한다.

크라잉넛 멤버들은 “너무 장난스럽게 만들 수 없어서 처음엔 좀 당황했는데 편곡해보니 재밌었다”며 “가사가 처절하고 피가 끓는 게 있다”고 말했다.

3. 관련 영상

3.1. 음원 영상

다시 부르는 노래

3.2. 기타

플래시 버전

4. 가사

독립군가
[가사 보기]
신대한국 독립군의 백만용사야
조국의 부르심을 네가 아느냐
삼천 리 삼천 만의 우리 동포들
건질 이 너와 나로다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
싸우러 나아가세

원수들이 강하다고 겁을 낼 건가
우리들이 약하다고 낙심할 건가
정의의 날쌘 칼이 비끼는 곳에
이길 이[4] 너와 나로다[5]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
싸우러 나아가세

<아코디언>[A]

(간주)[7]

너 살거든 독립군의 용사가 되고
나 죽으면 독립군의 혼령이 됨이
동지야 너와 나의 소원 아니냐
빛낼 이 너와 나로다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
싸우러 나아가세
<기타>[A]

(간주)

압록강 두만강을 뛰어 건너라
악독한 원수 무리 쓸어 몰아라
잃었던 조국강산 회복하는 날
만세를 불러보세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
싸우러 나아가세[9]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
싸우러 나아가세
싸우러 나아가세
싸우러 나아가세
싸우러 나아가세
헤이!
4절에 해당하는 부분은 원곡에는 없는 가사로, 리메이크하면서 추가된 가사이다.

5. 매체에서

5.1. 국방 TV 위문열차

  • 국방TV에서 방영하는 위문열차에서 크라잉넛이 출연하는 경우 주 관객이 현역 군인들이고 군 관련 곡이고, 군 공연이라 예외도 소수 있지만, 이 곡이 주로 선곡이 된다. 이유는 군인들에게 독립군가를 통해서 전투 의지를 고취시키고 에 대해 맞서서 싸울 힘과 용기를 북돋아 주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 군인들의 엄청난 떼창을 볼 수 있다.
    군바리 230을 공연할 수는 없으니...[10]

5.1.1. 등장 부대

6. 기타

  • 2021년 8월 12일 유튜브 라이브에서 요청으로 3일 후 광복절이기도 하고 광복절 당일 홍범도 장군의 유해 봉환을 기념으로 독립군가를 불렀는데 3절 전 아코디언 부분을 키보드로 대체하기도 했다.
  • 독립군가에서 사용된 전자 아코디언이 일본 브랜드인 롤랜드 제품이라 말이 많았다. 당시 독립군들이 만주에서 일본군과 싸울때 부르던 독립군가인데 일제 제품을 사용한다는 이유다. 당시 일제때 선조들은 우리가 만든 것 우리가 쓰자는 물산장려운동을 벌였기에 크라잉넛 모두 멤버들 모두 가지고 있는 악기들 중에서 김인수 아코디언도 한국산 아코디언[11]을 사용하고, 다른 세션들도 모두 한국산 기타, 한국산 베이스, 한국산 드럼 스틱 등 전량 Made in Korea 한국산 악기들만 사용하는, 일종의 현대판 물산장려운동을 벌일 것을 제안했다.


[1] 처음 독립군가를 리메이크 할 당시에는 Honnor 클래식 아코디언으로 시작하였고 국가보훈처에서 주관하는 임시정부수립 86주년 기념 행사때도 Honnor 아코디언을 들고 나왔으나, 현재는 일본 브랜드인 롤랜드 전자 아코디언(한국 총판 코스모스악기)으로 변경해 시작한다. 이 때문인지 일본놈 총으로 일본을 능욕한다는 말도 나왔다. [2] 사실 정부 기념식이라는 게 너무 딱딱하고 특히 젊은이들은 거의 배제된 채 치러져 왔다며, 젊은이들도 선조들의 독립 운동에 관심을 갖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독립군가를 록 버전으로 리메이크를 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3] 압록강 행진곡은 여가수 서문탁이 리메이크 한 발라드 버전 말고 크라잉넛이 록 형식으로 당시 임시정부수립 86주년 기념행사에서 독립군가와 더불어 부른 락 버전이 있다. [4] 띄어서 말하기 때문에 오해할 수 있으나 '이 길'이 아니라 이길. 즉, '승리할'을 뜻한다. [5] 여기이서 라이브 공연시 음원이 바뀐다. [A] 보통 베이스 한경록이 외치나 보컬 박윤식이 외칠 때도 있으며 생략 할 때도 있다. 정석대로 아코디언은 베이스 한경록이 외치고 기타는 보컬 박윤식이 외치는게 맞으나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는 육군 5군단 위문열차 공연에서는 기타리스트 이상면이 아코디언을 외치기도 한다. [7] 여기서 수록된 원곡과는 다르게 아코디언 연주자인 김인수의 아코디언 독주 형태의 반주가 여러 형식으로 바뀐다. [A] [9] 공군에서 배포하는 독립군가 AR 버전에서도 여기까지 군가 형태로 등장한다. [10] 크라잉넛 멤버들이 수방사 군악대에 복무하기 위해 육군훈련소에 입대 했을 때에 신병훈련 수료식에서 공연을 했었는데 당시에는 군바리 230을 부른 바 있다. [11] 국산 아코디언은 경북 구미에서 생산하는 민들레뮤직 아코디언이 유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