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야구 리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구분 | 명칭 | |
프로 | 1군 |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 퍼시픽리그 |
|
2군 |
일본프로야구 2군 이스턴리그 / 웨스턴리그 |
||
사회인 |
도시대항야구대회 사회인야구일본선수권대회 지구연맹주최대회 전일본클럽야구선수권대회 |
||
독립 | 일본독립리그야구기구 산하 |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규슈 아시아 리그 홋카이도 프런티어 리그 니혼카이 리그 |
|
기타 |
간사이 독립 리그 홋카이도 베이스볼 리그 |
||
대학 |
전일본대학야구선수권대회 메이지진구야구대회 |
||
고교 | 선발고등학교야구대회 / 전국고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 외 8개 대회 | ||
<colbgcolor=#444444><colcolor=#ffffff> 폐지 | <colbgcolor=#444444><colcolor=#ffffff> 독립 | 프로야구 마스터스 리그 |
상위 문서: 독립 리그
[clearfix]
1. 개요
일본의 4대 섬 중에 유일하게 시코쿠에만 일본프로야구 구단이 존재하지 않자 프로 구단 창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일본 야구계에 나오기도 했지만 NPB의 사무국은 1군 리그 구단을 늘리는 것보다 독립 리그 창단을 추진하게 된다.그래서 2005년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라는 최초의 독립 리그가 생겨났고 2007년에는 호쿠신에쓰 지역에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2009년 간사이 지방에 간사이 독립 리그 등이 탄생하게 되었다.
월급은 BC 리그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는 최소 10만 엔, 최대 40만 엔으로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만 지급한다. 즉 최저 연봉은 약 900만 원, 최대 연봉은 약 3600만 원. 오히려 돈을 내고 하는 한국의 독립 리그[1]에 비해서는 어느 정도 자리 잡았기 때문인지 대우가 나은 편이다. 다른 증언에 의하면 그래도 용병 선수들은(육성형이 아닌 에이스급 한정이지만) 연 400-500만 엔을 받는다고 한다. 이 정도면 3-5만 달러 정도로 마이너 리그보다 나은 수준.[2]
또한 나름 팬덤이 있는지 응원단과 응원가도 다 있다. 유튜브에 검색하면 다 나온다. 응원 방식은 NPB와 비슷하게 트럼펫+북+육성.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에서 뛰었던 카쿠나카 카츠야( 치바 롯데 마린즈)는 2012년 퍼시픽 리그 수위타자에 오르며 독립 리그 출신 첫 타이틀 획득 선수가 되었다. 이 해 카쿠나카가 규정타석을 채운 것도 독립 리그 출신 NPB 선수로서는 최초였다.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에서 뛰었던 스미 코타는 27살에 소속 구단 감독으로 승진하였다.
2017년 드래프트+육성 선수 드래프트에서 총 9명의 선수가 NPB에 드래프트되었다.
대졸 선수의 경우는 보통 프로를 지망했으나 드래프트에서 지명되지 않은 선수들인데 사실 그들에게 최선책은 사회인 야구 기업 구단 입단이다 보니 보통 미지명 선수 중에서도 2진급이 독립 리그로 많이 입단한다고 한다. 애초에 연봉 자체가 사회인야구 초봉이 독립 리그보다 3배 이상 높고 안정적인 만큼.[3]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큐슈 아시아 리그는 외국인 선수 제도도 있고, 일본인 선수는 프로야구처럼 드래프트에서 지명하여 영입한다. 대신 중위픽 이하는 말이 드래프트지 입단 테스트를 거쳐 데려가는 선수들이 대부분이며[4] 드래프트 번외 입단도 존재.
2. 일본 독립 리그 야구 기구 산하 리그
일본 독립 리그 야구 기구(日本独立リーグ野球機構, IPBL[5])는 2014년에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협력으로 설립된, 일본의 독립 리그의 합동 조직이다. 2010년에 설립된 독립 리그 연락 협의회(独立リーグ連絡協議会)를 모체로 한다.2020년엔 어느 리그에도 소속되지 않은, 오키나와현 연고의 류큐 블루 오션즈(琉球ブルーオーシャンズ)도 가입했지만 2023년 경영난으로 해체되었다.
2.1. 일본 독립 리그 그랜드 챔피언십
日本独立リーグ・グランドチャンピオンシップ공식 홈페이지
2007년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가 창설하면서 시작된, 일본 최고의 독립 야구단을 가리는 대회다. 초기에는 단순히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우승팀 간의 대결이었다가, 코로나 19가 끝난 2022년부터는 IPBL 산하 리그 우승팀이 전부 참가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2.1.1. 역대 우승 기록
- 리그별 우승 횟수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 8회 |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4년, 2015년, 2017년, 2019년 |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 6회 | 2011년, 2012년, 2013년, 2016년, 2018년, 2024년 |
규슈 아시아 리그 | 2회 | 2022년, 2023년 |
- 구단별 우승 횟수
카가와 올리브 가이너스 | 3회 | 2007년, 2008년, 2010년 |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 3회 | 2014년, 2017년, 2019년 |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 2회 | 2011년, 2013년 |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 | 2회 | 2016년, 2018년 |
히노쿠니 샐러맨더즈 | 2회 | 2022년, 2023년 |
고치 파이팅 독스 | 1회 | 2009년 |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 1회 | 2012년 |
에히메 만다린 파이렛츠 | 1회 | 2015년 |
시나노 그랑 세로우즈 | 1회 | 2024년 |
- 연도별 우승 구단 및 소속 리그
연도 | 우승팀 | 소속 리그 |
2007년 | 카가와 올리브 가이너스 |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
2008년 | 카가와 올리브 가이너스 |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 |
2009년 | 고치 파이팅 독스 |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 |
2010년 | 카가와 올리브 가이너스 |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 |
2011년 |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
2012년 |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
2013년 |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
2014년 |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
2015년 | 에히메 만다린 파이렛츠 |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
2016년 |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 |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
2017년 |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
2018년 |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 |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
2019년 |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
2020~ 2021년 |
코로나 19로 중단 | |
2022년 | 히노쿠니 샐러맨더즈 | 규슈 아시아 리그 |
2023년 | 히노쿠니 샐러맨더즈 | 규슈 아시아 리그 |
2024년 | 시나노 그랑 세로즈 |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
2.2. 활동 중인 리그
2.2.1.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자세한 내용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문서 참고하십시오.2.2.2.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루트인 BC리그)
자세한 내용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문서 참고하십시오.2.2.3. 규슈 아시아 리그(야마에 그룹 규슈 아시아 리그)
九州アジアリーグ (Kyushu Asia League, KAL)공식 홈페이지
2021년 창설된 규슈 지역을 본거지로 하는 독립 리그.
2023년 팜리그 확대논의 당시 히노쿠니 샐러맨더즈가 리그 내 최강팀으로서 팜리그 진출을 고려하기도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쿠후 하야테와 오이식스 니가타가 선정되었다.
2024년 기준 양재문과 배민수가 뛰고 있었으나, 양재문은 1년만에 퇴단을 결정했다.
2.2.3.1. 참가 구단
참가 구단 | |||
로고 | 팀명 | 리그 참가 년도 | 홈구장 |
오이타 B-링스 (大分B-リングス) |
2021~ |
베츠다이코산 스타디움 (別大興産スタジアム) |
|
히노쿠니 샐러맨더즈 (火の国サラマンダーズ) |
2021~ |
리브와쿠 후지사키다이구장 (リブワーク藤崎台球場) |
|
키타큐슈 시모노세키 피닉스[6] (北九州下関フェニックス) |
2022~ |
키타큐슈 시민구장 (北九州市民球場) 시모노세키 구장 (下関球場) |
|
미야자키 선샤인즈 (宮崎サンシャインズ) |
2023~ |
사이토바루 운동공원 야구장 (西都原運動公園野球場) |
|
사가 인도네시아 드림즈 (佐賀インドネシアドリームズ) |
2024~ |
다케오 시민구장 (武雄市民球場) 우레시노 운동공원 야구장 (嬉野総合運動公園野球場) |
2.2.3.2. 역대 우승 기록
- 구단별 리그 연간 우승 횟수 (굵은 글씨는 일본독립 리그 그랜드 챔피언십 우승년도)
히노쿠니 샐러맨더즈 | 3회 | 2021년, 2022년, 2023년 |
키타큐슈 시모노세키 피닉스 | 1회 | 2024년 |
- 연도별 우승 구단
2021년 | 히노쿠니 샐러맨더즈 |
2022년 | 히노쿠니 샐러맨더즈 |
2023년 | 히노쿠니 샐러맨더즈 |
2024년 | 키타큐슈 시모노세키 피닉스 |
2.2.4. 홋카이도 프런티어 리그
北海道フロンティアリーグ (Hokkaido Frontier League, HFL)공식 홈페이지
기존에 홋카이도 베이스볼 리그에 소속된 팀들 중에서 우선 IPBL에 가입해야만 한다고 주장한 3팀이 리그 탈퇴 후 따로 창설한 리그. 당연히 창설하자마자 IPBL에 가입했다. 이시카리 구단 대표의 말에 따르면 "다퉈서 결별하는 게 아니라, 우리가 먼저 가입하고 저쪽도 나중에 따라오면 되지 않을까 싶다"고 한다.
2.2.4.1. 참가 구단
참가 구단 | |||
로고 | 팀명 | 리그 참가 년도 | 홈구장 |
비바이 블랙 다이아몬즈 (美唄ブラックダイヤモンズ) |
2022~ |
비바이 시영 야구장 (美唄市営野球場) |
|
이시카리 레드 피닉스 (石狩レッドフェニックス) |
2022~ |
아오바 공원 야구장 (青葉公園野球場) |
|
카미카와 시베츠 사무라이 블레이즈 (KAMIKAWA・士別サムライブレイズ)[7] |
2022~ |
시베츠시 후도 야구장 (士別市ふどう野球場) |
2.2.4.2. 역대 우승 기록
- 구단별 리그 연간 우승 횟수
이시카리 레드 피닉스 | 2회 | 2023년, 2024년 |
카미카와 시베츠 사무라이 블레이즈 | 1회 | 2022년 |
- 연도별 우승 구단
2022년 | 시베츠 사무라이 블레이즈 |
2023년 | 이시카리 레드 피닉스 |
2024년 | 이시카리 레드 피닉스 |
2.2.5. 니혼카이 리그
日本海リーグ (Nihonkai League Baseball, NLB)공식 홈페이지
니혼카이 오세안 리그에 태평양 연안의 치바와 카나가와 팀이 합류하자, 기존의 팀들이 장거리를 원정할 경비를 감당하기 곤란하다는 이유를 들어 탈퇴하고 새롭게 창설한 리그. 다만 시가와 후쿠이는 창설 직전에 해체 또는 활동 중단을 해버려서 2팀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실상 2팀 간의 교류전이나 다름없는 리그.
2.2.5.1. 참가 구단
참가 구단 | |||
로고 | 팀명 | 리그 참가 년도 | 홈구장 |
도야마 GRN 썬더버즈 (富山GRNサンダーバーズ) |
2023~ |
현영 토야마 야구장 (県営富山野球場) |
|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石川ミリオンスターズ) |
2023~ |
카나자와 시민 야구장 (金沢市民野球場) |
2.2.5.2. 역대 우승 기록
- 구단별 리그 연간 우승 횟수
도야마 GRN 썬더버즈 | 1회 | 2023년 |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 1회 | 2024년 |
- 연도별 우승 구단
2023년 | 도야마 GRN 썬더버즈 |
2024년 |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
3. 기타 리그
3.1. 활동 중인 리그
3.1.1. 간사이 독립 리그(사와카미 간사이 독립 리그)
자세한 내용은 간사이 독립 리그 문서 참고하십시오.3.1.2. 홋카이도 베이스볼 리그
北海道ベースボールリーグ (Hokkaido Baseball League, HBL)공식 홈페이지
2020년 창설된 홋카이도 최초의 독립 리그. 2021년에 IPBL 가입 문제로 갈등이 있었으며, 가입파가 탈퇴하여 홋카이도 프런티어 리그를 따로 창설한 이후 리그의 내실을 다지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다만 스나가와 리버즈가 2024년 탈퇴하면서 2팀 체제로 진행되게 되었다.
3.1.2.1. 참가 구단
참가 구단 | |||
로고 | 팀명 | 리그 참가 년도 | 홈구장 |
후라노 블루리지[8] (富良野ブルーリッジ) |
2020~ |
후라노 시민구장 (富良野市民球場) |
|
아사히카와 비 스타즈 (旭川ビースターズ) |
2023~ |
아이베츠 구장 (あいべつ球場) |
|
과거 참가 구단 | |||
비바이 블랙 다이아몬즈 (美唄ブラックダイヤモンズ) |
2020~2021 |
비바이 시영 야구장 (美唄市営野球場) |
|
이시카리 레드 피닉스 (石狩レッドフェニックス) |
2021 |
아오바 공원 야구장 (青葉公園野球場) |
|
시베츠 사무라이 블레이즈 (士別サムライブレイズ) |
2021 |
시베츠 후도 야구장 (士別市ふどう野球場) |
|
나이에 소라치 스트레이츠[9] (奈井江・空知ストレーツ) |
2022 |
우라우스초 후루사토 운동공원 야구장 (浦臼町ふるさと運動公園野球) |
|
스나가와 리버즈 (すながわリバーズ) |
2022~2023 |
스나가와 시영 야구장 (砂川市営野球場) |
3.1.2.2. 역대 우승 기록
- 구단별 리그 연간 우승 횟수 (기울인 글씨는 과거 참가 구단)
스나가와 리버즈 | 2회 | 2022년, 2023년 |
비바이 블랙 다이아몬즈 | 1회 | 2020년 |
이시카리 레드 피닉스 | 1회 | 2021년 |
후라노 블루리지 | 1회 | 2024년 |
- 연도별 우승 구단
2020년 | 비바이 블랙 다이아몬즈 |
2021년 | 이시카리 레드 피닉스 |
2022년 | 스나가와 리버즈 |
2023년 | 스나가와 리버즈 |
2024년 | 후라노 블루리지 |
3.2. 중단/해체 리그
3.2.1. 재팬 퓨처 베이스볼 리그
ジャパン・フューチャーベースボールリーグ (Japan-Future Baseball League, JFBL)2010년에 간사이 독립 리그에 참가 예정이었던 미에 쓰리 애로우즈가 선수 급여 문제나 리그 운영 방침 등에 의견 차이로 참가를 철회하고 기존에 간사이 독립 리그에 있었던 오사카 골드 빌리케인즈와 따로 떨어져나와 만든 독립 리그다.
팀 수가 너무 적었기 때문에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와 교류전을 실시했다. 이때문에 아와지섬을 연고지로 하는 신구단 창단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실현되진 않았다.
하지만 첫 시즌 종료 후 오사카 골드 빌리케인즈가 경영난[10]으로 해체하자 한팀 밖에 남지 않은 재팬 퓨처 베이스볼 리그는 자연스럽게 폐지되었다. 미에 쓰리 애로우즈는 이듬해에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에 참가하지만 한 시즌만에 역시 해체되고 말았다.
3.2.1.1. 참가 구단
참가 구단 | ||
팀명 | 리그 참가 년도 | 홈구장 |
미에 쓰리 애로우즈 (三重スリーアローズ) |
2010 |
츠큐조 공원 내 야구장 (津球場公園内野球場) |
오사카 골드 빌리케인즈 (大阪ゴールドビリケーンズ) |
2010 |
스미노에 공원 야구장 (住之江公園野球場) |
3.2.1.2. 역대 우승 기록
- 구단별 리그 연간 우승 횟수
미에 쓰리 애로우즈 | 1회 | 2010년 |
- 연도별 우승 구단
2010년 | 미에 쓰리 애로우즈 |
3.2.2. 프로야구 마스터스 리그
자세한 내용은 프로야구 마스터스 리그 문서 참고하십시오.3.2.3. 베이사이드 리그
ベイサイドリーグ (Bayside League, BSL)2022년에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서부지구 소속 4팀이 다른 지구의 팀들에 비해 소외되고 있는 것에 불만을 품고 탈퇴해 니혼카이 오세안 리그(日本海オセアンリーグ)라는 독자적인 리그를 창설했다.
2023년엔 태평양 연안의 치바 및 카나가와 연고 팀도 참가하고 리그 명칭을 베이사이드 리그로 변경했지만, 정작 기존의 팀들은 원정 거리가 길어진 것에 불만을 품고 다시 독립하여 니혼카이 리그라는 독자적인 리그를 창설했다.
2024년에 그나마 있던 치바 팀마저 탈퇴하여 리그도 중단되었다.
3.2.3.1. 참가 구단
참가 구단 | |||
로고 | 팀명 | 리그 참가 년도 | 홈구장 |
YKS 화이트 킹스 (YKSホワイトキングス) |
2023~ |
아야세 스포츠 공원 제1야구장 (綾瀬スポーツ公園第一野球場) |
|
치바 스카이 세일러스 (千葉スカイセイラーズ) |
2023 |
요츠카이도 종합공원 야구장 (四街道総合公園野球場) |
|
토야마 썬더버즈 (富山GRNサンダーバーズ) |
2022 |
볼파크 타카오카 (ボールパーク高岡) |
|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石川ミリオンスターズ) |
2022 |
카나자와 시민 야구장 (金沢市民野球場) |
|
후쿠이 넥서스 엘레펀츠 (福井ネクサスエレファンツ) |
2022 |
후쿠이 피닉스 스타디움 (福井フェニックススタジアム) |
|
시가 GO 블랙스 (滋賀GOブラックス) |
2022 |
히코네 종합 운동장 야구장 (彦根総合運動場野球場) |
3.2.3.2. 역대 우승 기록
- 구단별 리그 연간 우승 횟수
시가 GO 블랙스 | 1회 | 2022년 |
치바 스카이 세일러스 | 1회 | 2023년 |
- 연도별 우승 구단
니혼카이 오세안 리그 | |
2022년 | 시가 GO 블랙스 |
베이사이드 리그 | |
2023년 | 치바 스카이 세일러스 |
4. 현재 무소속 구단
로고 | 팀명 | 무소속 기간 | 홈구장 | 이전 소속 |
스나가와 리버즈 (すながわリバーズ) |
2024~ |
스나가와 시영 야구장 (砂川市営野球場) |
홋카이도 베이스볼 리그 (2022~2023) | |
치바 스카이 세일러스 (千葉スカイセイラーズ) |
2024~ |
요츠카이도 종합공원 야구장 (四街道総合公園野球場) |
베이사이드 리그 (2023) |
[1]
단, 해체된
고양 원더스는 일본 독립 리그 수준의 월급을 주고, 숙소와 식사까지 나왔다고 한다.
[2]
2022년 이후 마이너 리그도 상위 레벨이면 3-4만 달러 정도는 보장하지만 애초에 일본 독립 리그에서 용병을 할 선수면 마이너 리그 더블 A 이하 급의 선수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3-5만 달러 벌기도 힘들며 애틀란틱 리그에서도 주전급으로 자리잡기는 어렵다. 싱글 A 이하에서는 나이가 20대 중반만 돼도 도태되기 때문에 차라리 독립 리그 죽돌이+윈터 리그 생활을 하는 것이 금전적으로 나을 정도. 이렇게 뛰면 연 5-7만 달러 정도는 벌 수 있고 중남미 선수들의 경우 이렇게 뛰어도 모국의 일반인들보다는 몇 배를 버는 거라고 한다.(일반인도 연봉 6만 달러는 받는 미국 선수들은 예외. 그래서 독립 리그 죽돌이는 주로 중남미 선수들이다.)
[3]
심지어 일본 사회인 리그에 몇몇 NPB 구단, 주로 요코하마와 주니치가 로스터 절약을 위해 이를 악용하는 경우가 잦아지면서 예전처럼 사회인 리그에 뛸 자리가 줄은 영향도 크다. 이로 인해 아시안 게임에서 전 프로,전 메이저리거 급 선수들이 나가는 모순이 심해지자 일본 아마야구 협회에서 국제 대회에 사회인 리그 대신 독립 리그 출신 선수들을 중심으로 넣자는 의견까지 나올 정도이다.
[4]
애초에 입단할 때 해당 선수가 그냥 드래프트를 신청하여 지명을 받인 것인지, 입단 테스트에 응시해서 통과 후 지명된 것인지를 드래프트 목록에 다 명시해 둔다.
[5]
The Japan Association of Independent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6]
2022년 시즌 팀명은 후쿠오카 키타큐슈 피닉스(福岡北九州フェニックス)였다.
[7]
2022년 시즌 팀명은 시베츠 사무라이 블레이즈(士別サムライブレイズ)였다.
[8]
2020년 시즌 팀명은 레라한쿠스 후라노 BC(レラハンクス富良野BC)였다.
[9]
창단 당시 팀명은 타키카와 플레인 윈즈(滝川プレインウィンズ)였다.
[10]
소속 선수 중 무려 8명이나 야구 도박에 연루되어 방출되었다. 이 때문에 스폰서도 여러 군데 철회되어 도저히 팀 운영비를 감당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