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01:34:15

대한민국 GDP 세계 순위 (1961년~2022년)



세계 은행(World Bank) 통계에 따른 한국의 역대 GDP 세계 순위(1961년~2022년)를 주요 경제 사건과 함께 표로 정리한 것이다. 세계은행(World Bank) GDP in current USD
역대 정부 연도 순위 GDP
(백만달러)
주요 사건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 42위 2,418 5.16 쿠데타
1962 40위 2,814 제 3차 화폐개혁 (10환→1원)
증권 파동[1]
박정희 정부 1963 37위 3,988 대한민국 제 5대 대통령 선거
1965 대일청구권 자금 (무상 3억 달러)[2][3]
베트남 전쟁 특수 (전사자 5,099명, 부상자 약 10만 명)
1970 경부고속도로 완공 - 전체 공사비 429억 원 (일본 외채로 조달)
※착공 당시 전국 차량 대수 4만대. 적정 시기는 1985년 (전국 차량 대수 100만대)[4][5]
1972 34위 10,862 8.3 사채 동결 조치
10월 유신
박정희
유신 정권
1973 제1차 오일 쇼크 (※경제성장률 14.8%)
1974 중동 건설 특수[6]
1975 수출 50억 달러, 수입 72억 달러
1977 국민소득 1,053달러, 수출 100억 달러
1979 만성적인 재정적자, 무역적자 지속
(수출 150억 달러 / 수입 203억 달러)[7]
율산그룹 부도, 정경유착[8][9]
최규하 정부 1980 28위 65,398 5.17. 비상계엄
※ 물가상승률: 28.7%
전두환 정부 1981 산업 합리화 조치
※외채 325억 달러[10]
※세계 4대 채무국: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한국[11]
1982 경제성장률이 물가상승률을 추월한 원년
※외채 380억 달러 (아르헨티나와 동액)[12]
1985 국제그룹 부도 (※외채 468억 달러)
플라자 합의
1986 무역수지 흑자 원년
※31.3억 달러 (수출 347억 달러, 수입 316억 달러)
1987 18위 147,948 대한민국 제 13대 대통령 선거
노태우 정부 1989 코스피 지수 1,015P
12.12. 증시 부양 조치 명동 뒤덮었던 주식 주문표
1990 소련 수교
1992 14위 355,525 중국 수교
김영삼 정부 1993 금융실명제
1994 국민소득 10,357달러
1996 대한민국 OECD 가입 (29번째 가입국)
1997 11위 569,754 아시아 금융위기
※대한민국의 17번째[13] IMF 구제금융 지원 (1965년~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김대중 정부 1999 대우그룹 부도 (분식회계 42조)
2000 닷컴 버블
2002 11위 627,246 카드 대란
노무현 정부 2004 1인당 GDP 대만 추월
2007 13위 1,172,614 코스피 지수 2,085P
이명박 정부 2008 글로벌 금융위기
2012 14위 1,278,427
박근혜 정부 2016 11위 1,500,111
문재인 정부 2020 글로벌 팬데믹 경제위기, 반면 한국은 코로나 특수
※GDP 순위 OECD 통계(9위), IMF 통계(10위)[14]
2021 10위 1,818,432 코스피 지수 3,316P
윤석열 정부 2022 13위 1,673,917

[1] 증권파동을 계기로 우리나라 증권 시장에 상한가, 하한가 제도가 도입. 세계 선진 증권 시장에서는 일본 등 극히 일부 사례를 제외하고는 상한가, 하한가 제도를 찾아보기 어려움. 조세금융신문. 한국경제 비화 머니투데이. 강성진의 증권반세기. 100배 솟구친 주식이 1/200토막… [2] 노컷뉴스. 日기업 6곳, '朴 대선자금' 제공후 한일협정 체결돼 [3] 대일 청구권 자금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쟁점이 있다.
첫째, 자금의 성격. 일본의 식민 지배가 불법이었으므로 '배상'이 필요하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에 '독립축하금' 명목으로 자금을 제공하였다. 이는 일제 식민통치가 합법적인 것이었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이 관철된 결과였다.
둘째, 자금의 규모. 당초 대한민국 정부는 만 35년 간의 식민통치에 대해 8억 달러 배상을 요구했다. 그러나 1965년 수령한 독립축하금은 3억 달러에 불과했다. 참고로 2차 세계 대전 중 4년 간 일본에 점령되었던 필리핀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비준하기에 앞서 5억 달러의 '배상' 협정을 체결했다. 2억 5천만 달러의 상업 차관 제공은 별도였다.
이와 같이 일본과의 협상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유독 굴종적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군사 쿠테타로 집권한 까닭에 정권의 정통성 유지를 위해 미국, 일본에 의존적인 외교를 펼칠 수밖에 없었다. 둘째, 당시 주요 관료나 사회 지도층이 일본과 유착되어 있거나 일본을 동경하는 성향이 컸다.
[4] 경제기획원 등의 대다수 경제 관료가 사업추진을 반대했었다. 그 이유로는 첫째, 사업의 경제성이 현저히 낮고, 둘째, 누적된 재정적자로 재정 부담이 과다했으며, 셋째, 기존의 경부국도나 경부선 철도 등을 고려할 때 중복ㆍ과잉투자라는 지적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대학교 상대 교수 전원이 반대 성명을 냈을 정도였다. [5] 경부고속도로 사업의 경제성과 관련하여,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이었던 오원철의 회고록에서 몇 가지 흥미로운 비화를 발견할 수 있다.
당시 한국 정부는 사업비를 조달하기 위해 서독 정부 측에 차관 제공을 요청했는데, 실제 물동량을 파악하기 위해 방한한 실사단이 경부국도 중간 지점인 추풍령에서 살펴본 바 하루종일 3~4대 차량밖에 오가지 않았다고. 이를 의아하게 여긴 실사단이 헬기로 서울과 부산을 오갔는데도, 도로 상에 차량 통행량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추후 차관 제공을 요청 받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도 상기와 같은 실사 과정을 거쳤으나 결과는 동일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일본 외채로 공사비를 조달하게 된다.
한편 현대건설 정주영 회장은 예상되었던 공사비의 절반 가량을 제시하여 전체 공사구간의 50% 이상을 수주했다. 이에 따른 부실공사의 결과로 공사비 이상의 보수비가 소요되었다고 한다. 예컨대 겨울철 얼어붙은 땅 위에 제대로 된 기초공사도 없이 아스팔트를 들이부어, 다음 해 봄 바로 보수공사에 들어간 구간도 있었을 정도라고.
[6] 프레시안.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 [7] 한국무역협회 통계 [8] 박정희 파헤친 '프레이저 보고서' [9] "박근혜 증권 채권 반 트럭 분량 가져왔다" 증언 나와 [10] 파일:세계 부채현황(81년).jpg 매일경제 1982년 10월 18일자 기사에 등재된 세계 주요 채무국의 외채 현황표에 따르면, 한국의 외채는 세계 4위로 325억 달러에 달한다. [11]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2] 파일:세계 부채현황(82년).jpg OECD 통계, 1982년 말 한국의 외채는 380억 달러였다. 이는 아르헨티나와 같은 액수였다. [13] 파일:정인용회고록.jpg "그 사이 우리나라는 IMF와 열여섯번째 스탠드 바이 차관 협정을 맺었고, 결국 그 돈을 다 갚아 버렸다. 열일곱번째 협정이 바로 97년의 IMF 구제 금융이었다. 우리나라의 IMF 대표부는 87년, 생긴지 23년 만에 철수했었다. 그로부터 10년만에 다시 IMF를 불러들인 것이다." - 정인용(전 경제부총리) 회고록 [14] OECD, IMF의 세계 GDP 통계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어, 본 카테고리에서는 World Bank 수치로 연표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