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01:52:14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꼬챔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2012
스프링 | 서머
League of Legends Champions
2013
윈터 | 스프링 | 서머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015
스프링 | 서머
2016
스프링 | 서머
2017
스프링 | 서머
2018
스프링 | 서머
2019
스프링 | 서머
2020
스프링 | 서머
2021
스프링 | 서머
2022
스프링 | 서머
2023
스프링 | 서머
2024
스프링 | 서머
2025
윈터 | 스프링 | 서머
2026
윈터 | 스프링 | 서머
}}}}}}}}} ||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역대 LoL Champions Korea 일람
SK telecom T1 SK telecom T1 ROX Tigers
2015 LoL Champions Korea Summer 2016 LoL Champions Korea Spring 2016 LoL Champions Korea Summer
파일:C-EuTB0UIAEOeQh.jpg
파일:external/static.inven.co.kr/i11426496332.jpg
파일:LCK Old logo.png
<colbgcolor=#0db1ff><colcolor=#fff>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대회 기간 2016년 1월 13일 ~ 4월 23일
주최 라이엇 게임즈 한국e스포츠협회
주관
제작 OGN
경기장 용산 e-Sports 스타디움[1]
스폰서 꼬깔콘
맥시멈기어 G.SKILL
DXRACER 손오공 IB
크런키 해피머니 문화상품권
중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db1ff><colcolor=white> 중계 플랫폼 TV
OGN
온라인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
전용준
해설자
김동준, 이현우
}}}}}}}}} ||
일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정규시즌 1라운드
1월 13일 ~ 2월 25일
2라운드
3월 2일 ~ 4월 7일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전
4월 13일
준플레이오프
4월 15일
플레이오프
4월 16일
결승전
4월 23일
결승전 대진
ROX vs SKT
경기장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 ||
결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db1ff><colcolor=white> 우승 SK telecom T1
준우승 ROX Tigers
MVP 정규시즌
송경호 (ROX Smeb)
포스트시즌
이호성 (SKT Duke)
KDA
챔피언
TOP
송경호 (ROX Smeb)
JGL
한왕호 (ROX Peanut)
MID
이서행 (ROX Kuro)
ADC
김종인 (ROX PraY)
SPT
강범현 (ROX GorillA)
}}}}}}}}} ||

1. 개요2. 참가팀3. 대회 진행4. 여담5. 영상6. 주요 기록
6.1. MVP 포인트
6.1.1. 정규시즌
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THE GAME CONTINUES
2016년 1월 13일에 개막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의 스프링 시즌에 대한 문서이다.

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DB1FF><tablebgcolor=#0DB1FF>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6 LoL Champions
Korea Spring

참가팀
}}} ||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파일:y0HwV1E.png
SK telecom T1
SKT
kt Rolster
KT
ROX Tigers
ROX
CJ Entus
CJ
KONGDOO MONSTER
KDM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파일:HcR8eeL.png
Jin Air Greenwings
JAG
Samsung Galaxy
SSG
Afreeca Freecs
AFs
Longzhu Gaming
LZ
SBENU SonicBoom
SSB
2016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정규시즌 순위표
순위 팀명 세트 득실 득실차 연속 비고
1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ROX 16 2 34-7 +27 2승 준우승
R1 전승
2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KT 13 5 29-14 +15 4승
3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T 12 6 26-15 +11 1승 우승
4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JAG 10 8 23-19 +4 4패
5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 10 8 24-22 +2 2승
6 파일: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 로고.png SSG 10 8 22-22 0 1승
7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LZ 8 10 21-22 -1 1승
8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CJ 8 10 19-27 -8 5패
9 파일:SBENU_Sonicboomlogo_square.png SSB 2 16 9-32 -23 1패 강등
R1 전패
10 파일:y0HwV1E.png KDM 1 17 8-35 -27 15패 강등
R2 전패
보라색: 결승전 직행 | 파란색: 플레이오프 진출 | 초록색: 준플레이오프 진출
연두색: W.C 진출 | 노란색: LCK 잔류 | 빨간색: 승강전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정규시즌 경기 일람
R1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R2 8주 9주 10주 11주 12주 13주 결산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3.2. 포스트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DB1FF>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포스트시즌 대진표
}}} ||
WC PO R1 PO R2 결승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ROX
1위
결승전
4/23 17:00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1 : 3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KT
2위
PO R2
4/16 17:00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0 : 3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T
3위
PO R1
4/15 17:00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3 : 1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JAG
4위
WC
4/13 17:00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2 : 0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s
5위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포스트시즌 결승전
포스트시즌 결산
정규시즌 경기 일람

3.3. 결승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승강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 역대급 이적 시장 속에서 지난 시즌과 엔트리가 겹치는 팀이 단 하나도 없다. 자세한 것은 LCK 스토브리그/2015 문서 참고.
  • 라이엇 게임즈가 발표한 2016 시즌 LCK 운영 개선 방안에 따라 OGN에서 단독 중계하는 마지막 시즌이 된다. 2016 롤챔스 분할 중계 논란 문서 참조.
  • 대회 스폰서 문제로 인해 출정식은 스폰서 노출 없이 진행되었다.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에 위치한 아이파크몰 9층에 위치한 용산 e-Sports 스타디움에서 1월 6일에 출범식을 OGN에서 중계를 한다.
  • 경기 시간이 수/목/금/토 모두 오후 5시로 통일 되었다.
  • 이번 대회부터 나진 e-mFire의 코치였던 김대웅이 옵저버로 영입된 것으로 발표되었는데, 실제로는 모쿠자가 직접 옵저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옵저버의 옆에서 옵저버를 서포트하는 역할이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옵저버 문제는 많이 개선되었다고 호평을 받는 중.
  • 티켓 예매 사이트가 기존의 OK 티켓에서 티켓링크로 변경되었다.
  • 2016년 1월 12일, 공식 발표를 통해 이번 스프링 시즌의 스폰서는 롯데제과로 발표되었다.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된다. 롯데에 다른 과자도 많건만 이 친근하고 고소한 이름의 과자에 관해서 팬들 사이에서 온갖 드립이 나왔고 벌써부터 전용준 캐스터의 오프닝 멘트를 기대하는 팬들이 많다. 게임 계의 스폰서를 구하기 힘든 현실에서 어쨌든 제법 큰 규모의 스폰서를 잡은 것은 천만 다행. 레딧/r/leagueoflegends에서는 줄여서 KKK LCK라는 드립이 나왔다. 참고로 꼬깔콘은 이전에 ESPN에서 Korean Bugles로 소개된 적이 있다. 클템의 말에 따르면 꼬깔콘이 아니라 빼빼로도 후보군에 올라있었다는 모양.
  • 동년 3월 초, 꼬깔콘의 매출이 전년도 대비 15% 올라 스낵 시장 1위를 찍었다고 한다.[2]
  • 포스트시즌 5전제에서 블라인드 모드가 사라졌다. 전세계에서 LCK만 유지하고 있던 제도라 사라진 듯. 다만 해외에서도 LCK의 블라인드 픽이 좋다고 하면서 따라하자고 하는 의견이 많은 상황이었던지라 이에 대해서 아쉬움의 목소리도 있는 편.
  • 중간 삽입 영상에 나오는 팀 소개 영어 멘트를 김몬테가 한다. 그런데 꼬깔콘이 한국 사람들도 혀 꼬이는 발음이다 보니 영어로 꼬깔콘 발음하는 부분이 제법 인상적이다.
  • 인터뷰는 제5, 6대 인터뷰어인 조은정이 계속해서 진행한다.
  • 2015 롤스타전에서 큰 인기를 얻은 혀니주니 기믹이 결국은 정식 광고 영상으로 올라왔다. 영상을 직접 보자.
  • 중간중간 비는 시간에 단군의 위클리 LCK라는 방송을 보여준다. 전주의 핫이슈를 정리해주고, 롱주 vs CJ 경기의 3세트 마지막 한타 당시 버그 리포트로 인해 방송되지 못한 부분의 오프 더 레코드를 보여주는 등 부족한 부분을 채워준다. 혹시 놓친 사람은 네이버에 위클리 LCK라고 치면 영상이 정리되어 있다. 평가도 괜찮으므로 한 번 봐도 후회는 없을 것이다.
  • 2주차부터 다른 지역의 리그 순위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 이번 시즌에 사용되고 있는 삽입곡은 아래와 같다.
  • 오프닝: Lorde - Everybody Wants To Rule The World
  • 경기 중간 하이라이트 (1라운드): The Script - Superheroes
  • 경기 중간 하이라이트 (2라운드): The Script - No Good in Goodbye
  • 방송 종료 후 하이라이트: Adele - Set Fire To The Rain
  • 밴픽 후 BGM: Harry Big Button - Trust Game
  • 하이라이트 BGM: Steve Aoki - Back To Earth
  • 주간 슈퍼 플레이 BGM: Fall Out Boy - The Phoenix
  • 경기 예고 BGM: Steve Aoki & Headhunterz - The Power Of Now
  • 결승전 오프닝: Zella Day - High
  • 2주차 초반부터 방송사고가 연달아 터지고 있다. 옵저버 클라이언트가 터지고 네이버/tv팟의 라이브 서비스가 폭발하는 등[3] 지금까지 제기되어왔던 문제가 지속되자 불쾌해했고 옵저버 클라이언트의 문제는 현장직관/해설/LCK 스테프/시청자 모두 불편을 겪게했다. 라이엇의 클라이언트 불안정성에 대한 빠른 조치가 필요한 상황. 1월 21일 경기에서도 옵저버 클라이언트가 튕겨 Winged가 리신 개인 방송을 하는 상황이 생겼다. 당시 영상
  • 4주차 2월 3일 CJ vs 롱주 3세트 마지막에 옵저버 클라이언트 문제로 매우 중요한 후반부가 통째로 날라가며 영상 기록 자체가 날라갔다. 심지어 결과 창에 롱주의 로고 대신 ROX의 로고를 띄워 엎친데 덮친격으로 OGN이 욕을 싸그리 모아 먹고 있다.
  • 심지어 4월 23일 올림픽 공원 체조 경기장에서 열린 ROX와 SKT의 결승전 2세트에서도 옵저버 클라이언트가 튕겨 Blank와 Peanut이 번갈아 개인 방송을 하는 상황이 생기고 말았다. 이번에는 한두번 생긴 상황이 아니라 그런지 재빠르게 개인 방송으로 넘어가는 센스를 보여줬다. 당시 영상
  • 8주차는 금요일 1경기까지만 진행하고, 이후 IEM Season Ⅹ - World Championship을 중계한다.
  • 13주차 목요일 경기부터 마지막 경기까지 전라북도 전주시 전주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다.
  • 게임 MVP 선정에 대해 팬들의 불만이 아주 매우 많다. 대체로 항상 받던 선수들한테만 주는 특히나 해당 팀의 특정 스타 선수에게만 몰아주는 의아한 판단이 나와서 "왜 받았지?"라는 반응이 나오는 경우가 많고 해당 선수의 활약상을 보면 다른 선수가 더 슈퍼 플레이하는 모습이 나와서 비웃음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 서포터 선수한테 매우 짜고 CJ전에선 비디디 선수의 제드가 받는 바람에 해당 경기는 팬덤 사이에서 매우 논란이 되었고 승자 인터뷰를 하던 비디디 선수도 본인이 받을 자격이 없는데 받아서 미안하다고 인터뷰에서 말하기도 해서 말이 많았다. 이 이유에 대해 MVP 선정단에 입김이 쓸데없이 너무 강한거 아니냐는 의견이 매우 많다. 팬들중에선 서머에선 MVP 선정단에 기자들은 제발 제외시켰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개진하는 경우도 있다.
  • 용산 e-Sports 스타디움에서 펼쳐지는 마지막 대회.
  • 결승전이 e스포츠 중계 사상 최초로 VR로 생중계된다고 한다.

5. 영상


개막전이 있던 1월 13일, 역대 LCK과 우승팀을 시간순으로 보여주는 텍스트와 함께 이전 시즌 우승팀 SK telecom T1이 등장하는 티저 오프닝이 공개되었다. 결승전 오프닝에서나 쓰이던 야외 촬영에, BGM과의 조화도 뛰어나서 본 오프닝에 대한 팬들의 기대를 모았다. 2주차 첫 날인 20일 본 오프닝이 공개되었다.


대부분의 평가는 지금까지 LCK 오프닝 중 역대급 오프닝이라는 것이 주류다.

구도, 분위기, 영상의 편집이나 퀄리티에 있어 첫 손에 꼽혀왔던 2013 - 2014 윈터 오프닝[4] 보다 진일보 했다는 평을 받는 역대급 오프닝이 등장했다. 퀄리티 저하로 비판을 받았던 2015 시즌의 오명을 단숨에 씻어버린 수작. 특히 선수들을 맨 앞줄부터 데뷔년도 순으로 배치하고 전체 샷을 잡은 구도[5]는 오프닝의 백미. 이렇게 해서 이번 오프닝은 역대 LCK 오프닝 중 출연 인원이 가장 많은 오프닝이라는 새로운 기록을 남겼다.

오프닝을 찍은 장소는 경기도 포천시 일대의 한 공사 현장이라고 한다.[6] 해당 기사 또한, 오프닝에 쓰인 곡인 Everybody Wants To Rule The World[7] 중 제목의 의미가 누구나 세상을 다스리길 원한다라는 의미인데, 모든 선수들이 있는 마지막 장면을 보면서 가사의 의미가 오버랩이 되는 연출이 돋보인다.

이후 시즌 2주차로 접어들면서 LCK 리그를 홍보하는 프로모 영상이 공개되었는데 이 영상 역시 퀄리티가 높아 팬들의 눈을 즐겁게 하고 있다.


단군의 위클리 LCK에서 패러디 버전이 공개되었다. 일명 단프닝


결승전 오프닝. 광화문, 인천 송도, 영종도, 서해 바닷가를 주변으로 한 깔끔한 오프닝으로 팬들에게 호평받았다. 특히 마지막 프레이와 뱅의 고개드는 장면은 압권.


걸승전 개막전 영상.

6. 주요 기록

6.1. MVP 포인트

6.1.1. 정규시즌

파일:external/www.fomos.kr/1460215316025579.jpg
출처

7. 관련 문서


[1] 13주차 일부 경기는 전주실내체육관에서 진행. [2] 다만 정확히 말하면 LCK 효과라기 보다는 이전에 롯데 제과가 스폰서를 했던 응답하라 1988의 효과가 큰 편이었다. 시청률 차이도 넘사벽이었고. [3] 모두 2주차 첫 날에 발생했다. [4] 재미있는 사실은 2013 - 2014 윈터 오프닝에서도 SK telecom T1 K가 전 시즌 우승팀으로 등장했다는 점이다. 당시의 SKK와 지금의 SKT에서 겹치는 멤버는 페이커 벵기만 남긴 했지만. 울프는 2팀 체제였던 당시 형제팀 SKS 소속이었는데, 정작 오프닝에 등장한 SKS 선수는 마린이었다는 건 함정. [5] 여기서 맨 앞줄은 1세대 LoL 프로게이머 중에서도 LoL Invitational부터 출전한 최고참인 매드라이프 스코어가 장식했다. [6] 정확하게는 대진대학교 내부의 강당이라고... [7] 헝거 게임: 캣칭 파이어와 게임 유저들에겐 어쌔신 크리드 유니티의 트레일러에 쓰인 음악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