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5-14 16:47:11

김익현



1. 개요2. 생애3. 참고문헌

1. 개요

북한의 군인, 정치인.

2. 생애

1921년 11월 6일에 태어났다. 원래 1916년 황해북도 출생이 정설이었으나 이후 북한이 발표한 부고를 보면 1921년생이 맞으며 이후 공개된 애국렬사릉 사진에서도 1921년생임이 확인되었다. 고향이 황해북도인지도 불명. 1930년에 반일운동에 가담, 1937년 6월, 김일성 빨치산 부대에 합류한 빨치산 1세대 출신이며 북한에서 김정숙의 총애를 받았다고 선전해주고 있다.

해방 이후 북조선 공산주의 청년동맹 위원장을 맡았으며 김일성고급당학교 졸업 이후 조선인민군 2사단 1연대장으로 6.25 전쟁에 참전했다. 1968년 조선인민군 구분대사령관. 중앙위원회 군사부장을 거쳐 1970년 11월, 5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고 중장으로 진급, 1972년 2월에 4군단장에 임명되었으며 1972년 12월 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 1973년 중앙위 군사부 부부장에 임명, 1975년 3월 조선인민군 부참모장에 임명, 1977년 8월에 상장으로 진급하여 인민무력부 부부장까지 올랐다. 1977년 2월, 지병학 장의위원을 지냈다.

하지만 뭔가 잘못했는지 중간에 해임되어 요덕수용소에 처박히는 등 죽도록 고생했다고 한다. 김영순의 증언에 따르면 15호 혁명화구역에 끌려와서 수용소장을 맡았는데, 이때 그와 친분이 있던 김영순이 그를 붙들고 살려달라고 빌었지만 같은 죄인 출신이었던 김익현은 아무런 대답도 안했다고 한다. 이후 복권되어 1990년 5월 23일, 6기 18중전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에 보선, 1991년 5월에 민방위부장에 임명되었고 11월에 대장으로 진급, 군사위원회 위원에 보선되었다. 1992년 4월 23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박성철, 서철, 조명선, 손종준, 최성숙, 강위룡과 함께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1991년 5월, 허담 장의위원, 1992년 3월, 현무광 장의위원, 1992년 9월 서철 장의위원을 지냈다. 1994년 4월 15일, 당중앙위원회, 당중앙군사위원회, 국방위원회, 중앙인민위원회 공동 결정에 따라 김일성 82세 생일을 기념하여 과거 6.25에서 열심히 싸운 공로로 조선인민군 차수로 진급했다. 1991년 5월, 혁명투사 대표단장으로 쿠바를 방문하기도 했다. 1994년 7월 김일성 장의위원, 1995년 2월 오진우 장의위원, 1995년 7월, 김봉률 장의위원, 1997년 2월, 최광 김광진 장의위원, 1998년 12월, 전문섭 장의위원을 지냈다. 1998년 9월 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으며 2003년 1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되었다.

고령이 문제였는지 2005년 민방위부장에서 해임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07년 4월 25일, 리을설 등 다른 빨치산들과 함께 대성산혁명렬사릉을 참배하였다. 2008년 10월, 박성철 장의위원을 지낸 것을 마지막으로 2009년 1월 15일 19시에 87세를 일기로 오랜 병환으로 사망했다. 당중앙위원회, 당중앙군사위원회,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공동명의로 부고를 발표, "주체혁명위업, 선군혁명위업의 승리를 위하여 모든것을 다 바쳐 투쟁하여온 조선로동당의 충직한 혁명전사이다. (...) 그는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께서 조직령도하신 항일혁명투쟁에 참가하여 손에 무장을 잡고 혁명의 사령부를 보위하며 조국의 해방을 이룩하기 위하여 용감하게 싸웠다. (..) 그는 해방후 위대한 수령님께서 제시하신 새 조국건설로선을 높이 받들고 청년들을 당의 두리에 굳게 묶어세우며 정규적혁명무력을 건설하고 공화국북반부혁명기지를 튼튼히 보위하기 위하여 적극 투쟁하였으며 미제의 무력침공을 물리치는 준엄한 조국해방전쟁시기에는 군인들을 원쑤격멸에로 조직지휘하여 전쟁승리에 이바지하였다. (...) 그는 전후 인민군대의 중요직책에서 우리 당의 자위적군사로선을 철저히 관철하여 인민군대를 불패의 혁명무력으로 강화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으며 당의 민간무력건설사상을 높이 받들고 그 실현을 위하여 헌신적으로 투쟁하였다."라고 좋게 평가해주었다.

이후 시신은 조선인민혁명지원군 지휘관 직함으로 대성산혁명렬사릉에 안장되었으며 반신상도 제막되었다.

3. 참고문헌

  • 통일부 정세분석국 정치군사분석과, 2013 북한 주요인사 인물정보(서울: 통일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