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colbgcolor=#0047a0> | |
이명 | 권오순(權五淳) |
아호 | 포명(抱溟) |
출생 | 1901년 1월 26일[1] |
경기도
여주군 점량면 덕곡동 (現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덕평리) |
|
사망 | 1984년 2월 10일 (향년 83세) |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129호 |
본관 | 안동 권씨[2] |
가족 | 아버지 권영우 |
학력 | 중동학교 (졸업) |
서훈 |
건국포장 수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2. 생애
1901년 1월 26일 경기도 여주군 점량면 덕곡동(現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덕평리)의 평민 가정에서 아버지 권영우(權寧禹)[3]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중동학교를 졸업한 뒤 상하이의 호강대학(滬江大學)에 유학하였다. 1920년대 초 향리에서 동아일보 지국을 경영하다 1924년 11월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그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 엄항섭의 소개로 김구, 이동녕 등 임시정부 지도자들과 면담하고, 김구의 알선으로 무창(武昌)[4]의 서호서원(西湖書院) 관비생으로 입학하였다.
1926년 서호서원이 문을 닫자, 그는 1927년 중앙군사정치학교에 입교하여 훈련을 받았다. 그 뒤 상하이로 돌아와 항일비밀결사인 다물단(多勿團)에 입단, 다물단의 지령을 받고 군자금과 단원을 모집하기 위해 국내에 몰래 들어와 활동하였다. 경기도 경성부 낙원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원동)에 거주하던 그는 1929년 2월 18일에 충북 충주군 읍내리 금성여관 주인인 정운자(鄭雲慈)의 집에서 안동규(安東奎)·김학원(金學元)·정진복(鄭鎭福)· 서상경· 서정기 등과 함께 잡지 문예운동을 간행한다는 목적으로 문예운동사(文藝運動史)를 조직했다.
문예운동사는 표면적으로는 문예 부흥을 위한 잡지를 발간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아나키즘을 신봉하며 일제의 군국주의를 부정했다. 또한 인류는 모두 절대 자유 또는 평등하다는 인류평등원칙에 입각하여 현대의 국가 조직이 이 사실을 위배한다면 이를 타파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일본의 식민지 사상에 반기를 들었다. 이 조직은 충주에서 정미소를 경영하던 김현국(金顯國)을 포섭하는 등, 은밀히 세력을 확장하는 듯 했으나 곧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다.
1930년 5월 27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
이후 경성지방법원으로 압송된 그는 법정에서 "나는 무정부주의자로서 내가 신봉하는 그 주의는 인류는 모두 절대로 자유 평등할 것을 요하며 따라서 현재의 국가 조직은 그 주의에 배반하는 것"이라고 담대히 외쳤다. 그는 1930년 3월 1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5년형을 선고받아 공소하였으나, 그해 5월 26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5년형(원심 미결 구류일수 중 60일 본형에 산입)이 확정되어 #, 당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입소하여 옥고를 치렀다. 이때 그는 독립유공자 유림과 같은 호실을 썼다고 한다.
1935년 3월 27일 출옥한 # 그는 의사인 친구의 자본을 지원 받아 텅스텐 장사에 뛰어들었다.
그러던 1940년 8월 경성부 낙원동의 한 여관에서 창씨개명에 대해 "할 사람은 하고 안할 사람은 안하겠지요"라는 말을 했다가 같이 이야기하던 사람의 밀고로 경성부 종로경찰서 고등계 형사에 연행되어 20일간 구금되어 고문을 당했다. 이때 창씨개명을 끝까지 거부했다가 일제의 농간으로 횡령죄의 누명을 쓰고 징역 10개월을 선고받고 두 번째 옥고를 치렀다. #
8.15 광복 후 그는 연희대학교[5] 국어국문학과에 한문 전공 교수로 채용되어 교직에 종사했는데[6], 1960년 4월 19일 4.19 혁명이 일어나자, 같은 해 4월 25일 "학생의 피에 보답하라"는 3백여 명 교수단 시위에 정석해 등과 함께 깃발 기수로 앞장서기도 했다. #
이후 퇴임한 그는 유도회(儒道會) 고문 등을 역임했으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한한대자전 편찬에 참여하다가 1984년 2월 10일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 자택에서 향년 84세의 나이에 노환으로 별세했다. #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권오돈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2009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