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bottom:-5px; margin-left:-11px; margin-right:-11px; margin-top: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margin-top:-5px;" |
캠퍼스
|
||
춘천캠퍼스 | 삼척캠퍼스 | 도계캠퍼스 | |
대학 정보
|
|||
역사 | 학부 | 대학원 | |
학사 제도 | 동아리 | 학내 언론 | |
커뮤니티 | 사건 및 사고 | 출신 인물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275cab>
}}}}}}}}} ||부속 시설
||동물병원 | 동해수련원 | ||
중앙박물관 | 도서관 | 학생생활관 |
강원대학교의 단과대학 | |||
춘천캠퍼스 | |||
간호대학 | 경영대학 | 농업생명과학대학 | 동물생명과학대학 |
문화예술·공과대학 | 사범대학 | 사회과학대학 | 산림환경과학대학 |
수의과대학 | 약학대학 | 의과대학 | 의생명과학대학 |
인문대학 | 자연과학대학 | IT대학 | 자유전공학부 |
삼척·도계캠퍼스 | |||
공학대학 | 인문사회·디자인스포츠대학 | 보건과학대학 | 자유전공학부 |
1. 개요
강원대학교의 농과대학2. 전공
2.1. 스마트팜농산업학과
스마트팜농산업학과 Department of Smart Farm and Agricultural Industry |
||
[[http://cll.kangwon.ac.kr/ | ]] | |
모집인원 | ||
22명[1]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자연과학대학 5호관 |
||
연혁 | ||
2016 | 강원대학교 평생학습중심학부 농생명산업학전공, 시설농업학전공 | |
201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미래농업융합학부 농생명산업학전공 | |
2023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스마트팜농산업학과 |
2.2. 생물자원과학부
2.2.1.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s |
||
[[http://appliedplant.kangwon.ac.kr/ | ]] | |
모집인원 | ||
52명[2]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 ||
연혁 | ||
1947 | 춘천농업대학 농학과 | |
1951 | 춘천농과대학 농학과 | |
1970 | 강원대학 농학과 | |
1978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식물생산유전공학전공 | |
199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식량자원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식물자원학전공 | |
200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공학부 식물자원응용공학전공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공학과 | |
2014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 |
1947년 농학과의 전통을 이어받은 전통있는 식물 전문 학과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은 강원대학교 설립과 동시에 처음 생긴 학과로, 식물자원의 효율적인 생산과 농업적인 이용, 유전육종을 통해 질 높은 자원으로써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은 강원대학교 설립과 동시에 처음 생긴 학과로, 식물자원의 효율적인 생산과 농업적인 이용, 유전육종을 통해 질 높은 자원으로써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2.2.2. 식물의학전공
식물의학전공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
||
[[https://plantmedicine.kangwon.ac.kr/applybio/index.do | ]] | |
모집인원 | ||
52명[3]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 ||
연혁 | ||
1979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병리곤충학과 | |
1983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식물보호학과 | |
1989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응용생물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
200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공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
2014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
2023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식물의학전공 |
식물의 안전을 지키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과
본래 응용생물학과였던 식물의학전공은 식물에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 곤충, 바이러스 등의 진단, 예방을 연구하면서, 곤충 생리학, 분류학 등 곤충 분야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본래 응용생물학과였던 식물의학전공은 식물에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 곤충, 바이러스 등의 진단, 예방을 연구하면서, 곤충 생리학, 분류학 등 곤충 분야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2.3.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
||
[[http://bse.kangwon.ac.kr/ | ]] | |
모집인원 | ||
22명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1호관 | ||
연혁 | ||
1992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기계공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기계공학과 | |
199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공학부 농업기계공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공학부 생물산업공학전공 | |
200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생물산업공학부 생물산업공학전공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201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시스템공학부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 |
201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산업공학부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 |
201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산업공학부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전공 | |
202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
자동화된 첨단 농업을 지향하는 학과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전공은 농업과 생물산업에 필요한 기계에 대해 연구하는 학과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열역학, 공업수학, 유체역학 등의 공학개념과 농기계 및 생물산업기계의 작동원리와 기능에 대한 공학적인 접근을 제시한다. 2025학년도부터 첨단학과로 지정되어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로 독립하여 새 이름으로 출범한다.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전공은 농업과 생물산업에 필요한 기계에 대해 연구하는 학과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열역학, 공업수학, 유체역학 등의 공학개념과 농기계 및 생물산업기계의 작동원리와 기능에 대한 공학적인 접근을 제시한다. 2025학년도부터 첨단학과로 지정되어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로 독립하여 새 이름으로 출범한다.
2.4. 식품생명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
[[http://foodtech.kangwon.ac.kr/ | ]] | |
모집인원 | ||
31명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3호관 | ||
연혁 | ||
1978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식품공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
2006 |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
2007 |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 생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
2010 |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
201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 |
201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
202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
농산물을 우리의 식탁으로 인도하는 학과
식품생명공학전공은 농산식품의 가공, 발효 등의 과정과 첨가물, 기능성 평가 등 수확된 농산물이 식품으로 가공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농산물 및 식품의 화학적인 조성과 가공방법을 중심으로 현대 식품산업에 대한 강의도 진행중에 있다. 2025학년도부터 "식품생명공학과"로 독립했다.
식품생명공학전공은 농산식품의 가공, 발효 등의 과정과 첨가물, 기능성 평가 등 수확된 농산물이 식품으로 가공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농산물 및 식품의 화학적인 조성과 가공방법을 중심으로 현대 식품산업에 대한 강의도 진행중에 있다. 2025학년도부터 "식품생명공학과"로 독립했다.
2.5. 원예·농업자원경제학부
2.5.1. 농업자원경제학전공
농업자원경제학전공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
||
[[http://agecon.kangwon.ac.kr/ | ]] | |
모집인원 | ||
66명[4]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영상바이오관 | ||
연혁 | ||
1986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축산경영학과 | |
1988 | 강원대학교 축산대학 축산경영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축산대학 농업자원경제학과 | |
1999 |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동물영양자원공학·축산가공학·농업자원경제학과군 농업자원경제학과 | |
2002 |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사료생산공학·축산가공학·농업자원경제학과군 농업자원경제학과 | |
2003 |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사료생산공학·축산식품과학·농업자원경제학과군 농업자원경제학과 | |
200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자원경제학과 | |
201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농업자원경제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
경제학의 색다른 영역
농업자원경제학전공은 경제라는 넓은 범위 안에서 농식품산업의 시장분석, 경제학을 연구한다. 다른 산업군과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농식품분야의 경제적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기본적인 경제학 개념부터 농산업 시장 현황에 대한 분야까지 강의 및 연구하고 있다.
농업자원경제학전공은 경제라는 넓은 범위 안에서 농식품산업의 시장분석, 경제학을 연구한다. 다른 산업군과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농식품분야의 경제적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기본적인 경제학 개념부터 농산업 시장 현황에 대한 분야까지 강의 및 연구하고 있다.
2.5.2. 원예과학전공
원예과학전공 Department of Horticulture |
||
[[http://horti.kangwon.ac.kr/ | ]] | |
모집인원 | ||
66명[5]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 ||
연혁 | ||
1974 | 강원대학 원예학과 | |
1978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원예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원예과학전공 | |
200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자원생물환경학과군 원예학과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 |
2016 | 강원대학교 원예·시스템공학부 원예과학전공 | |
201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농업자원경제학부 원예과학전공 |
2.6. 지역건설공학과
지역건설공학과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
||
[[http://aed.kangwon.ac.kr/ | ]] | |
모집인원 | ||
30명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1호관 | ||
연혁 | ||
1954 | 춘천농과대학 농업공학과 | |
1957 | (폐과) | |
፧ | ፧ | |
1968 | 춘천농과대학 농공학과 (재인가) | |
1970 | 강원대학 농공학과 | |
1978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
199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공학부 농업토목공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공학부 지역기반공학전공 | |
200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생물산업공학부 지역건설공학전공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첨단 기술로 탈바꿈하는 바꾸는 농촌 인프라
지역건설공학과는 토목공학에 기반한 기술을 이용하여 농업기반시설의 설계와 시공에 대하여 연구한다. 일반적인 토목공학과 차별화되어 농산업에 이용되는 구조물이나 건축/시설물에 특성을 고려하여 그에 최적화된 기술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역건설공학과는 토목공학에 기반한 기술을 이용하여 농업기반시설의 설계와 시공에 대하여 연구한다. 일반적인 토목공학과 차별화되어 농산업에 이용되는 구조물이나 건축/시설물에 특성을 고려하여 그에 최적화된 기술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2.7. 환경융합학부
2.7.1.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 Department of Biological Environment |
||
[[http://dbe.kangwon.ac.kr/ | ]] | |
모집인원 | ||
64명[6]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3호관 | ||
연혁 | ||
1954 | 춘천농과대학 농예화학과 | |
1961 | 춘천농과대학 농화학과 | |
1970 | 강원대학 농화학과 | |
1978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199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생물환경화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생물환경화학전공 | |
200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자원생물환경학과군 자원생물환경학과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
201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융합학부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 |
자원 생산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이루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과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은 인간의 생명․건강, 환경의 보전 및 생물자원의 이용을 위한 환경과학과 생명과학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은 토양환경학 및 식물영양학 분야, 생물자원 전반에 관련된 환경을 연구하는 환경화학 분야, 환경친화적 유해생물제어 및 농식품 안전성 관리를 위한 생물제어화학 분야, 환경생화학 및 토양미생물분야, 고부가가치 활성물질을 탐색 및 개발하는 천연물소재 분야, 바이오에너지 생산 연구 분야, 환경정화 및 기후변화 분야에 대하여 중점적인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은 인간의 생명․건강, 환경의 보전 및 생물자원의 이용을 위한 환경과학과 생명과학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은 토양환경학 및 식물영양학 분야, 생물자원 전반에 관련된 환경을 연구하는 환경화학 분야, 환경친화적 유해생물제어 및 농식품 안전성 관리를 위한 생물제어화학 분야, 환경생화학 및 토양미생물분야, 고부가가치 활성물질을 탐색 및 개발하는 천연물소재 분야, 바이오에너지 생산 연구 분야, 환경정화 및 기후변화 분야에 대하여 중점적인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2.7.2. 에코환경과학전공
에코환경과학전공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
|
홈페이지 | |
모집인원 | |
64명[7] | |
사용건물 | |
자연과학대학 2호관 | |
연혁 | |
1980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1999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전자계산·환경과학과군 환경과학과 |
2003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지구물리·환경과학과군 환경과학과 |
2004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군 환경과학과 |
2005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과학과 |
2013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201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융합학부 에코환경과학전공 |
건강하고 깨끗한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학과
에코환경과학전공은 대기, 물, 토양, 생물, 인간 등을 대상으로 현 환경 문제의 원인, 현황과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전공이다. 생태계 전 분야에 걸친 환경문제에 대해 다루며,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환경 전문 학과이다.
에코환경과학전공은 대기, 물, 토양, 생물, 인간 등을 대상으로 현 환경 문제의 원인, 현황과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전공이다. 생태계 전 분야에 걸친 환경문제에 대해 다루며,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환경 전문 학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