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1 14:40:29

강소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희석식 소주
,
,
,
,
,

1. 개요2. 상세3. 강소주를 하는 버릇이 있는 인물들
3.1. 실제3.2. 가상

1. 개요

소주를 안주 없이 마시는 행위. 흔히 깡소주라고 하나 강소주가 맞는 표기이다.[1]

보통 여기서 소주는 증류식 소주가 아니라 희석식 소주를 의미한다.[2]

2. 상세

희석식 소주는 특성상 술안주 없이 마시기가 매우 어려운 축에 드는 술이다. 맛이 너무 없기 때문이다. 주정에 물을 타고 감미료를 섞은 술이니 술의 깊은 풍미 따위가 있을 리가 없고, 맥주처럼 도수가 낮은 것도 아니라서 공업용 알코올 향기만 난다. 막말로 손소독제 향이 난다.

이 때문에 맛으로 강소주를 즐기는 사람은 없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극히 드물고, 보통 강소주를 먹는 사람은 매우 힘든 사람 정도로 인식된다. 엄청 슬프고 고통스러운 일이 있어서 최대한 빨리 취해 이를 잊기 위해 강소주를 먹는다는 식. 그런 이유가 있는 게 아니라 그냥 좋아서 강소주를 즐긴다면 아무리 긍정적으로 봐도 술꾼, 나쁘게는 알코올 중독 소리를 들을 확률이 매우 높다.( 중년층 이상 남성들 제외. 이쪽은 오히려 강소주를 다소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때때로 안주 사먹을 돈이 없어서 소주만 먹었다는 식의 이야기도 있기는 하다.

그런데 의외로 1950~ 1970년대에서 중년 남성들에게는 강소주를 마시는게 흔했는데, 이때는 맥주같은 양주가 들어오기 이전이고, 나라 상황이 하나같이 힘들었던 때라[3] 중년 아저씨들이 퇴근할때마다 강소주를 하는게 일상이였다. 검정고무신에서도 기영이 아버지가 퇴근하고 나서 동네 사람들이랑 강소주를 하면서 즐기는 장면이나 막걸리를 마시는 장면이 나온다.

바리에이션으로 소금 안주만 놓고 소주를 마시는 것도 있다. 소주 한잔 마시고 소금을 살짝 찍어 입에 넣는 식. 을 안주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건 그나마 낫다.

당연하지만 건강에는 매우 좋지 않다. 안주 없이 술만 마시는데다 보통 강소주를 하는 상황은 기분이 좋지 않은 상황이나 폐인이 된 상황이므로 짧은 시간에 과음을 하게 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술만 계속 들이키는 것은 위장관에 상당한 부담을 준다. 강소주를 마신 상태에서 바로 잠들면 다음날 엄청난 숙취가 찾아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강소주를 마셨다면 물이라도 충분히 마시도록 하자. 웬만하면 안주를 곁들여 술을 마시는 것이 좋다.

서양에서는 강소주와 비슷하게 취급되는 것으로 ' 위스키 스트레이트'가 있다. 스트레이트는 아무 것도 없이 오직 위스키만 마시는 방식으로, 여기서는 특히 샷잔에 위스키를 담아 목구멍에 털어 넣듯 한번에 마시는 방식을 말한다. 이렇게 마시면 위스키의 맛과 향을 하나도 느낄 수 없어 술의 맛보다는 그저 빨리 취하기 위한 음용법으로 취급된다. 다만 이건 아까운 위스키를 취하기 위해 버린다는 느낌이 강하고, 조금 더 싸구려 술을 들이킨다는 강소주의 개념에는 이 더 가깝다. 의 선호도가 높은 곳에서는 럼 병나발이, 동구권에서는 역시 강 보드카가 이와 비슷하게 취급된다. 한국에서는 주세 때문에 이 술들이 전체적으로 비싸서 잘 공감이 안 될 수도 있지만, 진, 럼, 보드카는 과거부터 전통적으로 싸구려 술[4] 이라는 인식이 있던 술이고, 지금도 해외에서는 아주 싸게 구할 수 있다. 위스키도 서양권에서는 10달러 내외에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것도 흔하다. 그래서 위스키를 취하기 위해 마시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국에서도 좀 공감할 만한 거라면 캔 맥주 여러 캔 원샷하기가 있겠다.

일부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밥없이 강소주와 근력운동 만으로 다이어트를 하기도 한다. 물론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그 배후에는 보장을 못해준다고.... 가스파드 또한 선천적 얼간이들 에피소드에서 강소주로 다이어트를 한적이 있었다. 물론 실패했지만 그 뒤로는 술울 못마시게 되었다고 카더라

3. 강소주를 하는 버릇이 있는 인물들

3.1. 실제

3.2. 가상


[1] 접두사 '강-' 을 붙인 것으로 다른 것이 섞이지 않고 그것만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2] 증류식 소주는 생으로 마시는 것이 오히려 정석일뿐더러 취하기 위해 마시는 것도 아니고, 애초에 가격이 비싸서 많이 마시지도 못한다. [3] 1969년까지 한국의 1인당 국민 소득은 북한보다 더 낮았다. 또한 한국이 무역 흑자를 처음 기록한 시기는 1980년대 전두환 정부 시절의 5억 달러가 처음이었고, 그 이전의 이승만 정부와 박정희 정부 때는 내내 무역 적자였다. [4] 물론 고급품은 제외. 소주도 증류식 소주는 비싸듯 진 같은 것도 고급품은 좋은 약재를 잔뜩 넣어서 만들기 때문에 무지하게 비싸다. [5] 술을 퍼마신다는 설정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