隷 종 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隶,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6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レイ
|
||||||
일본어 훈독
|
したが-う, しもべ
|
||||||
隶
|
|||||||
표준 중국어
|
l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隷는 '종 례'라는 한자로, '가라치', '종', '노예'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6B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土火中水(GFLE)로 입력한다.'노예(奴隸)'에서는 '례'가 아닌 '예'로 읽는데 이는 속음이다. 예로부터 두 음이 혼재되어 있어 한자어에 따라 "예"로 읽고 쓰는 것도 많이 있다.
2.1. 본자 隸
본자인 隸(U+96B8)는 원래 隶(미칠 이)와 소리를 나타내는 柰(능금나무 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이체자이자 국내 통자가 된 隷는 柰(능금나무 내) 부분이 士(선비 사)로 변화된 것이다. 한문학회와 다르게 한국어문회에서는 오히려 속자인 이쪽으로 쓸 것으로 권장하고 있다. 豊과 豐 같은 상황이라고 보면 될 듯. 또다른 이체자인 隶는 중국에서 쓰는 간체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창작물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款(항목 관)
5. 여담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검수하는 2022학년도 EBSi 수능특강 한문 책에서도 지난해 2021학년도까지 隷로 쓰던 것과 달리 본자인 隸 쪽으로 전면 수정하였다. 앞으로 '예서'를 '隸書'로 표기하여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