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0:37:02

필립(必立)

必立에서 넘어옴
파일:코요태 로고.svg

김종민
신지
빽가


{{{#!folding [ 전 멤버 ]
[ 음반 목록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000,#FFFFFF><width=25%> ||<width=25%> ||<width=25%> ||<width=25%> ||
정규 1집

고요태(高耀太)
(1999.01.13)
정규 2집

실연
(1999.11.07)
베스트

Koyotae Best Mix
(2000.09.08)
정규 3집

Passion
(2000.11.01)
베스트

Koyotae History
(2001.10.29)
정규 4집

필립(必立)
(2002.03.15)
정규 5집

비상(非常)
(2003.05.22)
정규 6집

Koyote 6
(2004.03.26)
디지털 싱글

우리
(2004.08.11)
정규 7집

Rainbow
(2004.11.27)
정규 8집

必UP되다
(2005.08.31)
정규 8집 리패키지

버젼투 必UP되다
(2005.12.19)
디지털 싱글

코요태 디지털 싱글 (미공개 Ver.)
(2006.01.26)
베스트 앨범

The Koyote In Ballade Special
(2006.03.23)
정규 9집

London Koyote
(2006.09.18)
디지털 싱글

I Love Rock & Roll New Remix
(2006.12.21)
베스트

Koyote Dance Best And 9.5
(2007.10.11)
디지털 싱글

White Story
(2007.12.10)
디지털 싱글

너만이
(2008.11.18)
스페셜

Jumping
(2009.05.28)
디지털 싱글

Oh, Yes!
(2009.10.29)
디지털 싱글

사랑하긴 했니
(2010.06.04)
미니 1집

Koyote Ugly
(2010.06.10)
디지털 싱글

Jump, Jump, Jump
(2010.08.02)
디지털 싱글

스키장에서 (White Love)
(2010.12.08)
미니 2집

Good Good Han Koyote (굿굿한 코요태)
(2011.08.19)
싱글 1집

했던 말 또 하고
(2012.01.02)
디지털 싱글

거짓말도 보여요
(2013.03.22)
디지털 싱글

Marry Me
(2013.06.19)
디지털 싱글

Hollywood
(2013.07.25)
디지털 싱글

이 겨울이 가도
(2013.12.06)
디지털 싱글

안아줘요
(2013.12.13)
미니 3집

1999
(2014.01.22)
디지털 싱글

멈춘사랑
(2015.03.03)
디지털 싱글

1024
(2015.12.07)
디지털 싱글

Bing Bing
(2016.12.04)
디지털 싱글

싱데렐라 스페셜 헌정송 5탄
(2016.12.16)
디지털 싱글

Re-born Part.1 애원
(2018.12.09)
디지털 싱글

Re-born Part.2 우리의 꿈
(2018.12.24)
20주년 기념

20th ANNIVERSARY 'REborn'
(2019.02.08)
디지털 싱글

히트다 히트
(2020.06.20)
디지털 싱글

바다
(2020.07.19)
디지털 싱글

Oh my summer
(2020.08.02)
디지털 싱글

코요태X린다G
(2020.10.27)
디지털 싱글

2020 엉뚱한 상상
(2020.12.09)
디지털 싱글

이별 저 별
(2020.12.24)
디지털 싱글

바다새
(2021.07.30)
디지털 싱글

표정
(2021.10.30)
디지털 싱글

GO
(2022.08.08)
싱글

LET's KOYOTE
(2022.10.05)
디지털 싱글

STORM
(2023.06.22)
디지털 싱글

바람
(2023.07.12)
[ 참여 음반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000,#FFFFFF><width=50%> || ||
디지털 싱글

No!mantic
(2016.02.12)


<colbgcolor=#635042><colcolor=#FFFFFF> 필립(必立)
파일:필립(必立).jpg
정규 4집 앨범
발매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02년 3월 15일
아티스트 코요태
기획사 Hi엔터테인먼트
레이블 예당 엔터테인먼트
곡 수 14곡
재생시간 50분 28초
타이틀곡 비몽
후속곡 애련
삼속곡 Over

1. 개요2. 수록곡
2.1. 프로필2.2. 비몽2.3. 애련2.4. 운명2.5. Over2.6. Y2.7. 데미지2.8. Happy Song2.9. 아리랑 목동2.10. 웃자2.11. Loving You2.12. 환희2.13. 매듭2.14. Over (Remix)
3. 영상
3.1. 뮤직비디오3.2. 음악 방송3.3. 관련 영상
4. 성적
4.1. 판매량4.2. 시상식4.3. 음악 방송 순위
5. 여담
5.1. 팀의 위기, 2인조 활동5.2. 온갖 악재가 찾아온 신지

[clearfix]

1. 개요

  • 반드시 일어선다 라는 뜻의 앨범 타이틀 必立은 음반 발매 전 벌어진 악재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로 지은 이름이다.[1]

2. 수록곡

<rowcolor=#FFFFFF> 트랙 곡명 작사 작곡 편곡
1 프로필[2] 김구 이용민 이용민
2 비몽
타이틀곡
주영훈 주영훈 주영훈
3 애련
후속곡
이용민 이용민 이용민
4 운명[3] 최원석 김규남 김규남
5 Over
삼속곡
조진광 조성진 허진욱
6 Y[4] 이재경 바비 킴 바비 킴
7 데미지 김태희 정진수 정진수
8 Happy Song 주영훈 주영훈 주영훈
9 아리랑 목동[5] 강사랑 박춘석 허진욱
10 웃자 이용민 이용민 이용민
11 Loving You JK Lee JK Lee JK Lee
12 환희[6] 박건호 김명곤 이영기
13 매듭 주영훈 주영훈 주영훈
14 Over (Remix)[7] 조진광 조성진 허진욱

2.1. 프로필

프로필
프로필
ALL 김구 신지 김종민

Here we Go x5 uh

오위오 come play
with us if you want to
오위오 come and party
with us if you want to
여기와 열정을 느껴봐
우리와 함께 즐길 사람은 누구나

놀래지 마 왜냐하면 랩 안 해본 내가 시작

오위오 come play
with us if you want to
오위오 come and party
with us if you want to
여기와 열정을 느껴봐
우리와 함께 즐길 사람은 누구나

G double O is coming through
우리 같이 흔들어봐 신나게 춤을 춰봐
You wonna party with Koyote
다 같이 소리쳐봐 힘껏 더 Yeah
Let it Ride and You don't stop

멈춰 움직이지 마 나 신지가 왔어 step aside uh
난 절대 외롭지 않지 Yeah
Untouchalbe

오위오 come play
with us if you want to
오위오 come and party
with us if you want to
여기와 열정을 느껴봐
우리와 함께 즐길 사람은 누구나

난 상관 안 해 Yeah
내게 잔소리 마 That's Right
난 모든 걸 다 잊고 열정을 불태워
다 같이 say 아 예 say 우아 우우아

(랩)
K to the Y to the T Yeah
we're goanna bounce to the beat
and we'll move your feet
say K to the Y to the T That's Right
get on the dance floor
groove to the beat
steady as you go yeah
you feeling my flow
I got you rocking to the music
now you bagging for music
now you bagging for more so
get on the dance floor let's go

2.2. 비몽

비몽
비몽
ALL 김영완 신지 김종민

long gone every time

(난나나나 나나나 나나나나
난나나나 나나나 나나나나
난나나나 나나나 나나나나
난나나나 난나나나)

움직일 수 없어 너의 모습 앞에

단 한번만 나의 모습을 되돌아 봐줘

can't move 차가운 너의 말투

(난나나나 나나나 나나나나
난나나나 나나나 나나나나
난나나나 나나나 나나나나
난나나나 난나나나)

이건 꿈일 거야 분명 아닐 거야

사랑했던 그 순간만은 진심이었길

(난나나나 나나나 나나나나
난나나나 나나나 나나나나
난나나나 나나나 나나나나
난나나나 난나나나)

2.3. 애련

애련
애련
ALL 신지 김종민

(랩) yeah yeah
back once again live and direct
we're reade to party in full effect
so get off your seats If you're ready
for more I want to see everybody
on the dance floor
we do it like dance oh yeah
yo ready for dance[A]

잊으려 잊으려 해도

다시는 나를 찾지 마

잊으려 잊으려 해도

어둠 속에 사라져간[A]

너와 함께한 이별까지 행복했었어

Pain that I'm trying to fight but[A]

너와 함께한 이별까지 행복했었어

2.4. 운명

운명
운명
ALL 김구 신지 김종민

(랩) yeah yeah
just sit back and relax
cause it's goanna be a ride that
you'll never forget that's right
Feel the energy to rhythm
of the techno rave
And there's no turning back
Here you go One two drop it

내게 사랑은 쉽지 않았어

내겐 너라고 생각했는데

영원히 널 간직하기 위해

내겐 세상은 쉽지 않았어

영원하기를 기도했는데

(김종민, 신지)
후회하고 원망해도
미워할 수 없어
내게 사랑을 알게 한
너를 지울 수 없잖아

모든 것을 버려 너만이

2.5. Over

Over
Over
ALL 신지 김종민

이러지 마 너무 늦은 거야

혹시 했던 얘기 많은 소문들에

내가 했던 말은 지워버려

Cause you get but[B]

그런 이별 후에 너를 그렸는데

내가 했던 말은 지워버려

Move to the rhythm to the beat
Let it shake your body
increast the heat
Groove goanna take it to the top
let your get motion[B]

이러지마 너무 늦은 거야

2.6. Y

Y
Y
신지 김종민

갔어 그 사람 나를 두고 간 거야
(그래 잘 된 일이야 잘 버려졌어) 그래
(너를 생각할 새도 없잖아) 잘 됐어
(이 사람과 이별이 더 아파서) 더 아파서
(너 따윈 정말 잊게 됐는 걸)

혼자 있기 싫어 깊이 집착한 사랑

(자꾸 네가 더 미워 더 원망이 돼) 자꾸 네가
(이런 나의 모습이 불쌍해) 더 생각나
(다시 널 찾을까 봐 또 그럴까 봐) 보고 싶어
(혼자선 살아갈 수 없는데) 미칠 것만 같아서
(그래 잘된 일이야 잘 버려졌어) 그래 그래
(너를 생각할 새도 없잖아) 잘됐어
(그 사람과 이별이 더 아파서) 더 아파서
(너 따윈 정말 잊게 됐는 걸) 잊을 수가 없어서

그래 나를 원망해

2.7. 데미지

데미지
데미지
ALL 신지 김종민

(랩) 아직도 내 눈 속에 선명한
네 모습도 볼 수 없어
이런 나의 현실을 믿을 수 없어
내게와 나와 함께해 돌아와
널 사랑하는 나를 봐
아직까지 남아있는 나의 사랑
모두 다 줄게 돌아와

모르는 척 내게 화라도 내지 그랬어

그렇게도 너에게 소중했었니

(랩)
Move move nothing to say
lf you had the tine and
l had the place
Let's both combine no need to
waste more time get together
you never know what we'll find
Plain and simple my story is told
This kind of music l feel in contol
Dance though the crowd on the
floor in the middle
Pump up the bass and
raise up the treble

그녀라고 나만큼 너를 이해할 수는 없어

그렇게도 너에게 소중했었니

2.8. Happy Song

Happy Song
Happy Song
ALL 신지 김종민

(랄랄랄랄랄 랄랄랄라라)

하늘의 태양 빛을 모두 다 가려버려

이젠 웃어봐 괜찮아질 거야

(랩) Don't worry No more crying
(김종민, 신지) Let's sing it happy song
(랩) Don't be mad no more fighting
(김종민, 신지) Let's sing it happy song
(랩) Don't be cruel No more killing
(김종민, 신지)Let's sing it happy song
(랩) Don't be afraid No more fear
(김종민, 신지) Let's sing it happy song

(랄랄랄랄랄 랄랄랄라라
랄랄랄랄랄 랄랄랄라라라라)

거리의 가로수를 모두 다 거둬버려

언제나 아픔이란 나를 더욱 성숙하게 해

(랄랄랄랄랄 랄랄랄
랄랄랄랄랄 랄랄랄)

이렇게만 밝게 한번 살아보는 거야

(랄랄랄랄랄 랄랄랄라라
랄랄랄랄랄 랄랄랄라라라라)

2.9. 아리랑 목동

아리랑 목동
아리랑 목동
ALL 김구 신지 김종민

(한국 한국 한국 한국 오)

(Bring up the Winner
Bring up the Winner)

야야 야야야야 야야야야야야야
야야 야야야야 야야야야야야야

꽃바구니 옆에 끼고 나물 캐는 아가씨야 아리아리 동동
쓰리쓰리 동동 쓰리쓰리 동동
아리랑 콧노래를 들려나 주오

Korea Korea 붉은 악마 파이팅

야야 야야야야 야야야야야야야
야야 야야야야 야야야야야야야

KOREA 황금에 월드컵에 향해[13]

꽃바구니 옆에 끼고 나물 캐는 아가씨야 아리아리 동동
쓰리쓰리 동동 쓰리쓰리 동동
아리랑 콧노래를 들려나 주오 아리아리 동동
쓰리쓰리 동동 쓰리쓰리 동동
아리랑 콧노래를 들려나 주오

야야 야야야야 야야야야야야야
야야 야야야야 야야야야야야야

2.10. 웃자

웃자
웃자
ALL 김구 신지 김종민

너의 어깨가 처질 때는 달려봐

달려봐 파란 하늘 사이로

왜 그래 피곤하게 굴지 마

나처럼 말해봐
그렇게 웃어봐

그렇게 웃으면서 나를 봐봐

매일 같이 나를 보고 웃어주는 널 보며

가볍게 걸어보자 햇살을 받으며

알겠어 너와 함께 가보자 힘든 건 잊을게

나처럼 말해봐
그렇게 웃어봐 다 같이 웃어봐

그렇게 웃으면서 나를 봐봐

2.11. Loving You

Loving You
Loving You
ALL 김구 신지 김종민

아침에 눈을 떠 그댈 봤죠

언제나 내 곁에 있겠다고

Loving You 나만의 그대를 너무 사랑해
Loving You 이 세상 끝날까지
(김종민, 신지)
행복한 미소로 안아줄게
이 생명 다 하도록
영원한 사랑을 약속할게
너 행복하도록

마치 하늘은 우릴 축복하듯

네 곁에 나 하나 뿐이라고

Loving You 나만의 그대를 너무 사랑해
Loving You 이 세상 끝날까지
(김종민, 신지)
행복한 미소로 안아줄게
이 생명 다 하도록
영원한 사랑을 약속할게
너 행복하도록
너와 난 하늘이 맺은 사랑
Loving You 언제나
세상이 아무리 변한대도
너 만을 사랑해

나에게 늘 벅차오르는

2.12. 환희

환희
환희
ALL 신지 김종민

(랩)
Yeah KYT gonna take you back
in time Just close your eyes
and relax your mind
We're here to make your
fantasy in to reality

어느날 그대 내 곁으로 다가와

너의 눈이 되어 너의 앞길을 내가 밝혀줘

나 달려가 너의 품 속으로[14]

어느날 그대 내 곁으로 다가와

2.13. 매듭

매듭
매듭
ALL 신지 김종민

이젠 괜찮아 추억에 감사할 뿐야

그래도 사랑했던 내 마음은

(랩)
left to the right uptown
let's roll what left to the right uptown
let's roll what hit me back straight
rapping on the track going out of bounds
come on bounce babybounce

어떤 누구도 원망하지 않을게 더 이상

2.14. Over (Remix)

Over (Remix)

3. 영상

3.1. 뮤직비디오

Y

타이틀곡 비몽의 뮤직비디오는 소속사 사정상 찍지 못했지만, 신지의 솔로곡 Y 뮤직비디오로 홍보를 했다. 뮤직비디오에는 여배우 조민수가 단독 주인공으로 나와 자신을 버린 남자를 끝내 못잊어하는 여자의 맹목적 사랑을 절절하게 연기한다.

3.2. 음악 방송

비몽
<rowcolor=#FFFFFF> 날짜 방송사 방송명 영상 비고
2002년
3월 15일 파일:i2ttoh6.jpg 쇼! 뮤직탱크 컴백 무대
3월 17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월 21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3월 23일 MBC 생방송 음악캠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월 24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월 28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월 30일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생방송 음악캠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월 4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월 7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월 13일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생방송 음악캠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월 12일 파일:i2ttoh6.jpg 쇼! 뮤직탱크
4월 18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월 20일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생방송 음악캠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월 21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월 25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5월 4일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생방송 음악캠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활동 종료
애련
<rowcolor=#FFFFFF> 날짜 방송사 방송명 영상 비고
2002년
5월 12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후속곡 무대
5월 19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월 23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월 9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월 20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월 23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월 27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7월 11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활동 종료
Over
<rowcolor=#FFFFFF> 날짜 방송사 방송명 영상 비고
2002년
7월 14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삼속곡 무대
7월 25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월 8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뮤직뱅크
8월 11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활동 종료

3.3. 관련 영상

비몽
<rowcolor=#FFFFFF> 날짜 방송사 방송명 영상 비고
2002년
5월 19일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열린음악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월 13일 파일:MBC 로고(1986-2005).svg 골든디스크 시상식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월 16일 파일:SBS 로고.svg 서울가요대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성적

4.1. 판매량

정규 4집 앨범의 판매량은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으로 총 513,244장이다.[15]

4.2. 시상식

<rowcolor=#FFFFFF> 날짜 시상식명 수상 부문 작품
2002년
12월 6일 제13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비몽
12월 13일 제17회 골든디스크상
12월 28일 KMTV 코리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12월 29일 SBS 가요대전 본상
12월 30일 KBS 가요대상 청소년 부문 올해의 가수상

4.3. 음악 방송 순위

<rowcolor=#FFFFFF> 날짜 방송명 곡명 비고
2002년
4월 20일 MBC 음악캠프 비몽
(1회)
1위

5. 여담

  • 정규 3집 앨범 작업에 참여했던 작곡가 주영훈이 본격적으로 프로듀싱을 맡은 앨범이다. 타이틀곡 비몽이 공전의 히트를 치면서 과 함께 당시 대한민국 가요계 혼성 댄스 그룹의 쌍두마차로 올라섰다. 그런데... 마땅한 후속곡이 없었다. 애련이긴 한데... 비몽의 활동이 끝나니 월드컵 기간으로 들어갔기도 하고...
  • 비몽의 작곡가 주영훈이 KBS 이십세기 힛-트쏭에 출연해 밝힌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다. 원래 2005년에 KBS2 상상플러스의 MC였던 컨츄리꼬꼬가 히트시킨 유행어 '난나나솨'의 원조가 정확하게 코요태 것이라고 밝혔다. 원래 주점에서 일하는 업소 여성들이 술에 취해 비몽을 부를 때 흥에 겨워 넣던 추임새로 그쪽(?) 업계 사이에선 유명했었는데 이를 지상파 예능에서 신정환이 비몽의 '나나나솨'를 방송에서 써먹었던 것. 그런데 콤비였던 탁재훈은 당시 히트곡 반열에 올라있던 채연의 '둘이서'의 리듬에 맞춰 코믹하게 터트려 전국민을 열광시킨 밈이 되어버렸다고. 비몽은 2002년에 발매된 곡이었고 그 당시 조금은 잊혀진 느낌이었기에 그 때 기준 최신 히트곡인 둘이서 버전의 난나나솨에 대중들이 익숙할 법도 했다.
  • 코요태 신지 역시 방송 도중 전화 통화에서 주영훈의 주장을 인정했다. 가끔 아직도 온라인에서 난나나솨의 원조는 비몽이냐 둘이서냐 질문하는 글을 종종 볼 수 있는데, 결론적으로 시작은 비록 음지였긴 하지만 비몽이었고 대중적으로 알려진 히트는 '둘이서'의 공이 컸기에 어찌 보면 둘 다 원조인 곡이라고 할 수 있겠다.
  • 정규 4집 앨범 안의 부클릿에 있는 가사집에는 영어 가사의 한국어 번역이 함께 수록되어 있으며, 김구의 사과 멘트 뒷페이지에는 Y 뮤직비디오의 촬영컷이 수록되어 있다.

5.1. 팀의 위기, 2인조 활동

정규 4집 앨범 발매 전 2002년 2월 2일, 그룹의 리더이자 래퍼인 김구에게 마약 복용 사건이 터져버린다.

정확히는 마약의 일종인 엑스터시 소지 및 복용 혐의다. 공교롭게도 이 날에 비몽을 녹음했는데, 신지의 말에 의하면 이때 김구가 잠시 화장실을 간다며 녹음실을 나간 뒤로 소식이 없더니 다음 날 뉴스를 보고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이 사건이 터지고서 일부 네티즌들이 신지 김구와 같이 마약을 해봤을 것 같다.라는 근거 없는 악성 루머에 시달리기도 했다.[16]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지상파 방송사들이 일제히 코요태 모든 곡의 심의를 반려하면서 정규 4집의 컴백에 차질이 빚어지게 되자[17] 원래 타이틀곡이었던 애련의 심의가 도통 나오지 않았다.

그런 상황을 타파하고자 객원 래퍼로서 콜라[18] 출신의 김영완이 영입, 원래 후속곡인 비몽 타이틀곡으로 채택, 재녹음되었다. 그 후 지상파 방송사의 심의를 통과하게 돼 컴백이 가능케됐다. 김영완의 활동은 비몽까지였다고 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심의 미통과로 인한 정규 4집 앨범을 재녹음을 하던 과정 중 Y[19]라는 곡의 내레이션의 부분은 김구의 목소리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김종민이 다시 재녹음을 하였다.[20]

또한 정규 4집 앨범의 수록곡인 데미지, Happy Song, 매듭 등은 김구의 구속으로 인해 랩 파트는 다른 이들로 급하게 메웠다. 타이틀곡으로 선정된 비몽의 경우는 케이블 첫 방송 이후 전주 부분을 리믹스한 버전으로 활동했다. [21]

어쨌든 이로 인해서 정규 4집 앨범에 실린 일부 곡들이 방송용 음원과의 차이가 생겼다. 원래 타이틀곡로 쓰려다가 심의가 걸려서 후속곡으로 밀린 애련, 삼속곡인 Over와 그 외 아리랑 목동, 환희까지의 곡이 앨범용 음원과 방송용 음원으로 나뉘었다고.

그리고 4월 전주에서 MBC 게릴라 콘서트에 도전했을 때 도전인원수 5천명을 넘긴 6271명으로 성공하여 공연을 하게 되었으며 김구가 콘서트 공연 중간에 무대에 올라와 사과를 한 부분은 통편집되었다.

이로 인해 김구는 엑스터시 마약 사건으로 활동을 중단하고 있었다가 결국 2002년 11월 코요태에서 탈퇴하였다.[22]

5.2. 온갖 악재가 찾아온 신지

신지는 데뷔 이래 음역대가 3옥타브 파~솔 구간을 무리 없이 라이브로 소화할 수 있는 실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무리한 고음역대 노래로 인해 정규 2집 때부터 성대결절의 여럿 징조가 눈에 띄었다.

정규 2집 활동 이후 첫 소속사가 공중분해 돼서 새로운 소속사를 찾는 등 코요태 멤버들의 심적, 육체적인 고통이 심했다. 거기다 정규 3집 녹음 전, 인후염까지 겹쳐 3옥타브 파 이상의 다수의 높은 곡을 녹음하는 무리한 상황으로 신지의 목 상태가 한계치까지 다다르게 된다.

그 징조는 2002년 무렵에 이르러서는 여실히 드러났다. 라이브 무대를 하며 성대에서 바람 빠진 소리가 나거나, 목소리가 갑자기 갈라지는 등의 실수를 많이 하게 되었다. 실제로 이 때는 평상시에 말을 하지 못 할 정도로 목 상태가 심하게 악화되어 약을 달고 살았다고 한다. 이로 인해 정규 4집부터 코요태 노래의 음역대가 급격히 낮아지기 시작했다.

타이틀곡을 기준으로, 한 번만 들어봐도 코요태 노래의 음역대가 확 낮아진 구간이 어디인지는 음악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사람들도 쉽게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간극이 매우 크다.

코요태 역대 타이틀곡 정규 1집 순정의 최고음은 3옥타브 파♯(F♯5), 정규 2집 실연의 최고음은 3옥타브 솔(G5), 정규 2집 후속곡인 미련의 최고음은 3옥타브 파♯(F♯5), 정규 3집 Passion의 최고음은 3옥타브 파(F5), 정규 3집 후속곡 파란의 최고음은 3옥타브 파♯(F♯5)이다. 그에 반해 정규 4집의 비몽은 최고음이 3옥타브 레(D5)로 확 낮아졌다. 다만 정규 4집의 수록곡들의 최고음은 3옥 파인 노래들이 제법 있다. 운명이나 애련이 이에 해당한다. 정규 3집 수록곡인 블루의 최고음은 3옥 파#다.

일반 여성들의 음역 한계가 3옥타브 도#~3옥타브 레# 정도고, 현재의 기성 여자 가수들도 웬만해선 3옥 미 이상으로는 자주 올리지 않고 기교와 음색으로 승부를 보는 추세에 있다. 한데 그녀는 음역대가 낮아졌다고 하는 정규 3집Passion에서 3옥 미~파를 왔다 갔다 하는 음역대를 연속해서 찍고,[23] 정규 3집파란도 3옥 파#까지 올려가면서 노래를 불렀으니 발성이 제대로 안 잡힌 그녀의 목이 버틸 리가 만무했다.

반면에 정규 4집 비몽의 경우 최고음이 3옥 레에 불과하다. 이것도 일반 여성 입장에서는 꽤 높은 축에 속하나, 예전처럼 힘을 '빡' 주고 질러야 올라가는 수준의 중고음역대 구간은 없다. 실제로 일반인 기준 남성/여성 파트를 각각 부른다고 했을 때, 무려 2옥 라#(!)까지 올라가는 김종민 파트의 남성들이 대체로 더 힘겨워 한다.

작곡가 주영훈이 정규 4집 프로듀싱을 할 당시, 이미 신지의 목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는 점과 더불어 김종민이 생각보다 음역대가 넓다는 것을 캐치하면서, 비몽이라는 곡에서는 신지의 힘을 많이 빼주고 그 역할을 김종민에게 많이 부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지의 가창력에 묻혀서 그렇지, 김종민 파트는 어려운 중음역대 구간으로만 꽉꽉 채워져 있어 신지 파트보다 더 소화하기 쉽지 않다[24]

이게 오히려 득이 되기도 한 게 그 당시 여자 리스너들에게 굉장히 인기가 많았다. 정규 3집까지도 노래는 인기가 많았지만 부를 수 있는 사람은 한정돼있었다. 하지만 신지의 음역대가 낮아지다 보니 노래 좀 치는 사람이 비몽을 부르면 순식간에 분위기가 올라갔다. 정말 음반명대로 반등에 성공했지만 그와 다르게 신지는 반대로 점점 힘들어져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규 4집 활동 당시 라이브를 들어보면, 본격적으로 데뷔 이래 첫 라이브를 맡은 김종민 보다 신지의 힘이 달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무대에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유독 이 당시 신지의 안색이 초췌하고, 노래가 불안정한 모습이 많이 보였다. 그 후 두 번째 성대결절이 심하게 찾아와 목소리가 완전히 허스키하게 바뀐 정규 5집 이후로는, 거의 10여년 가까이 3옥 레에 불과한 비몽조차도 소화를 못 할 지경이었다.

다행히 지금은 성대 치료, 보컬 트레이닝 등으로 인해 어느 정도 목 상태가 회복이 되어 음역대가 어느 정도 돌아와 비몽을 무난하게 소화하기는 하지만 당시에는 성대결절이 진행되고 있던 상황이었다. 그 정도로 신지의 목에 입은 타격이 매우 심각했고, 여기에 활동 당시에 얻었던 여러 가지 트라우마, 무대 공포증, 우울증 등이 겹치는 바람에 예전 같으면 가볍게 씹어 먹을 음역대조차도, 심지어 일반인도 충분히 올릴 수 있는 음역대조차도 올리지 못하고 버거워했던 모습을 볼 수 있었던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김구가 마약 복용 및 적발로 인해 코요태를 탈퇴하고 그룹의 존폐가 흔들리는 위기를 거치면서 건강 악화가 연달아 찾아오게 되었다. 김구의 탈퇴로 갑작스럽게 팀을 이끌게 되면서 찾아온 스트레스로 잦은 폭음을 하게 되고, 이러한 건강 관리의 실패로 인해 신우신염과 신장염이 찾아오면서 온몸이 심하게 붓게 되었다. 이때부터 신지는 마약 복용 의혹에 갑작스레 부은 얼굴 논란까지 겹치면서 온갖 악플에 시달리기 시작했다.

이러한 악재가 겹쳐 실제 앨범 활동 또한 제대로 할 수 없었기에 방송 활동은 거의 시망 수준이었다. 앨범 제목인 필립(必立)도 사실 앨범 발매를 앞두고 터진 악재들을 극복하기 위해 특별히 지은 것이다. 실제로 악재들을 극복하고 대중적으로 대히트를 친 앨범이기는 했지만, 신지 입장에서 본다면 극복하기는커녕 겹겹이 찾아왔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방송 활동을 접은 후 점점 더 심각해졌는데, 몸이 가장 심하게 부었던 때는 2002년 연말 시상식으로, 정규 4집 활동을 접고 오랜만에 방송에 나와 보여준 모습이 역대 신지가 대중들에게 보여준 모습 중 가장 후덕했던 모습이었다. 당시 신지의 건강이 얼마나 안 좋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면 링크를 보면 신지가 거의 빅마마 수준으로 몸이 부었다.

활동 당시에도 병원을 다니면서 방송 활동을 했고, 거기에 스트레스가 더해지면서 몸이 부종으로 인하여 무지막지하게 부은 것을 단순히 살만 쪘다고 오해한 네티즌들에 의해 온갖 악플에 시달리게 되었다. 거기다 신장 질환으로 인해서 낯빛마저 어둡다 보니 '뜨니까 변했다' '마약해서 저렇다'라는 루머까지 시달려야 했다. 단순히 폭음 등으로 인한 살찜 현상이 아니라 몸이 너무 안 좋아서 부어올랐던 이유가 더 컸음에도, 대중들은 신지에게 자기관리 못 하냐고 날선 비난을 가했다.

이 때문에 정규 4집이 코요태 역대 앨범 중 가장 많이 팔리고 비몽이 코요태의 수많은 히트곡들 중에서도 가장 인지도 높고 우위에 있는 노래임에도, 신지는 이 당시 기억을 대체로 지우고 싶어하며 회상하려 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실제로 가장 슬럼프를 겪었던 시기는 정규 5집이지만, 정규 4집때 어마어마하게 받은 스트레스가 누적이 되어 그랬던 것임을 감안하면, 코요태의 최전성기라는 시기와는 별개로 참으로 다사다난한 부침을 많이 겪은 해라고 할 수 있다.

여담으로, 개그콘서트의 코너 봉숭아 학당에서 신봉선이 "45억원의 가치 연예계의 별 봉써니" 기믹으로 나왔을 때, 비몽의 도입부인 "난나나나 쏴 난나나 나나나나"를 불렀었다.


[1] 기사 [2] 김종민이 첫 파트에 랩을 한다. [3] 2006년 SBS 개그 프로그램 웃찾사 김형은, 심진화, 장경희 가 결성한 개그 트리오 미녀 삼총사가 코너를 넘어 가수활동을 시작했을 때 이 곡을 리메이크해 활동하다가 2006년 12월 교통사고로 김형은이 세상을 떠난 뒤 나머지 두명의 멤버들이 심각한 부상을 겪게 되면서 해체의 길을 걷게 되었다. [4] 신지 솔로곡이다. [5] 김치켓의 곡을 리메이크 하였다. [6] 정수라의 곡을 리메이크 하였다. [7] 삼속곡의 활동용 버전. 이후 랩을 신지가 재녹음한 리믹스버전으로 활동했다. [A] 음원에서는 김영완 파트. [A] [A] [B] 음원에서는 김구 파트. [B] [13] 원래는 김구 파트지만, 방송사에 심의를 통과하기 위해서 앨범을 재녹음을 하게 되었다. 유튜브에서는 김구 파트를 들을 수 있다. [14] 원래는 김구 파트지만, 방송사에 심의를 통과하기 위해서 앨범을 재녹음을 하게 되었다. 유튜브에서는 김구 파트를 들을 수 있다. [15] 멤버들이 방송에서 54만장이 팔렸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더 팔린 것으로 추정된다. [16] 김구가 마약했다는 사실은 금방 묻힌 건지, 아무 잘못 없는 신지가 악성 네티즌들에 의해 걔 마약했대라며 10년 가까이 루머가 씌워져 고생하기도. 번외로 활동이 끝나자 바로 탈퇴한 차승민도 그런 루머가 씌워졌긴 했었다. 다만 신지보다는 조용했다. [17] 김구의 엑스터시 마약 복용이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끼친다는 이유였다. [18] 강원래의 아내 김송이 속해 있었던 그 혼성 그룹 맞다. [19] Y의 녹음 당시에 녹음실의 조명을 끄고 노래를 녹음했는데, 거의 울부짖듯이 녹음을 했다. 이때만 하더라도 김구가 구속되기 전이며, 이후 구속된 이후에 수정을 거쳤다. 자세히 보면 중간 간주 기타 솔로 부분은 랩이 있던 모양이다. [20] Y의 노래제목이 원래 Y Bobby였다가 바뀌었다고 적혀있었는데, 앨범 커버의 Y 옆에 있는 Bobby는 가수 바비킴이 이 곡을 작곡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노래 제목은 처음부터 그대로였다. [21] 정규 4집 앨범 중 멤버들이 채운 랩 파트는 다음과 같다. 김종민이 애련, 아리랑 목동, 환희의 랩을 신지가 Over의 랩을 맡았다. [22] 4월에 임시 탈퇴를 하였고, 정식으로는 11월에 최종 탈퇴를 하였다. 그동안 행사에서는 같이 활동을 했었다. [23] 무려 3옥타브 미를 11번, 3옥타브 파를 4번 찍는다! [24] 각 파트를 맡는 동성인 경우로 비교했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