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12:06:53

Россия сегодня


1. 개요2. 라디오 및 온라인 뉴스3. 한국어판 (폐쇄)4. 비판

1. 개요

Telling the Untold (스푸트니크의 표어)
로시야 세고드냐(Россия сегодня)[1] 2013년 12월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연방 대통령의 명령으로 세워진 회사로, 전신인 뉴스 통신사 리아(РИА Новости; RIA Novosti)와 국제 라디오 방송 러시아의 소리를 흡수했다.

러시아 국내에서는 리아라는 이름을 유지하고 있지만, 대외 선전 매체에서는 스푸트니크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실제로 사진 라이브러리 웹사이트는 러시아어판을 Visual RIA N이라는 이름으로, 영어판을 Sputnik Images라는 이름으로 운영하며, 온라인 뉴스 터미널의 로그인 페이지에서 러시아어 (리아) 말고 다른 언어를 클릭하면 죄다 스푸트니크로 돌변한다. 또한, 스푸트니크 라디오의 러시아어 국내판은 리아의 일부로 운영한다.

서방 언론 매체들에 대항하기 위해 RT(옛 Russia Today)와 더불어 만들어진 매체로서 러시아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Russia Today와 Россия сегодня는 뜻이 비슷하지만, RT가 개국할 때 옛 리아의 지원을 받은 걸 빼면 이 둘은 무관하다. 논조는 비슷하지만. KBS와 MBC, EBS가 같은 공영방송이지만 다른 방송사로 분류되고있는것과 일맥상통하다.[2][3]

대표인 드미트리 키셀료프(Дмитрий Киселёв)는 러시아의 국영방송사인 전러시아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회사이 부사장인 동시에 일요 뉴스 프로그램인 베스티 네델리(Вести недели)의 진행을 맡고 있다. 그는 대표적인 반서방 성향에 호모포비아[4][5]로서 유럽연합의 블랙리스트에 올라와 자산이 동결되어 있다.

스푸트니크라는 이름의 유래는 같은 이름의 소련 인공위성이다.

2. 라디오 및 온라인 뉴스

옛 러시아의 소리가 여기로 인수되고, 단파 방송을 중단하고 대대적인 개편을 거쳤더니 스푸트니크가 되었다. 대개 옛 러시아의 소리의 기능을 물려받았지만, 라디오 방송을 아예 중지하고 온라인 뉴스만 제공하는 언어도 있다. 이 와중에 옛 소련 치하에 있던 나라(러시아 제외)가 대상인 서비스는 되려 늘었는데, 이 때는 해당 지역 대상 러시아어판도 같이 들어간다. 조지아나 카자흐스탄, 에스토니아 등이 그 예. 근데 조지아와 분쟁 중인 영토인 압하지야 남오세티야도 은근슬쩍 대상 지역에 포함시켰다(...).

3. 한국어판 (폐쇄)

문화어로 쓰여 있 뉴스 페이지 로씨야의 소리

러시아의 소리는 1945년 8월 15일 최초로 한국어 방송을 시작해 1차냉전 기간 소련 당국의 입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원래 문화어 방송을 하다가 2000년대 이후 한국 표준어 방송으로 하였다. 2009년 3월 29일 정기 방송을 종료하고 이후에는 온라인 사이트만 운영했다.

2015년 12월 새 사이트로 이전했다. 참고로 새 사이트는 표준어를 썼다.

2014년에 옛 러시아의 소리가 스푸트니크로 개편될 때 한국어 온라인 뉴스도 같이 넘어왔건만, 2017년에 6월 30일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작정하고 신경쓴다면 포털사이트에 입점하는 식으로 진출할수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것을 보면 우선순위에서 밀려서 그럴 가능성이 높다. 수요도 많지않고 한국과 러시아가 괜히 척질일은 없고 되려 한국이 러시아를 상대로 무기를 사가는 입장이다보니 정보전할이유가 없기는 하다.

한국어판의 성격은 Russia Beyond the Headlines(현 Russia Beyond)[6] 중앙일보와 협력해서 내놨던 한국어판인 러시아 포커스와 비슷했지만, 러시아 포커스가 러시아의 정치, 경제, 외교 분야 뿐 아니라 러시아의 문화와 예술, 러시아 여행 정보 등 평소 접하기 어려웠던 러시아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 기초적인 러시아어 학습 코너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호평을 받았지만 스푸트니크는 단순 속보기사나 무미건조한 기사를 주로 내놓았던지라 흥미가 가는 기사가 별로 많지않아서 별로 존재감이 없었고, 러시아 친 정부 매체답게 러시아 내의 푸틴 대통령에 대한 비판 기사같은 것은 내놓지 않는다. 하지만 러시아 포커스도 비슷한 시기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4. 비판

MBFC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빈번한 음모론과 친러시아 선전, 그리고 빈약한 출처 사용 및 수많은 팩트 체크 실패를 근거로 스푸트니크를 의심스러운 매체로 평가했다.

기사 자체는 통신사이니 만큼 사설이나 칼럼을 빼면 심심한 편이지만 타국의 반러시아 성향의 정치인들을 근거 없이 공격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자신에 관해 가짜 뉴스를 퍼트린다고 비판하면서 RT와 함께 기자단 출입을 제한시켰다. 마크롱 대통령이 동성애자라고 근거 없는 보도를 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프랑스 사람들은 신경도 안 쓸 보도지만

러시아 정부가 2010년대 이후 정보전 수단으로 스푸트니크나 RT 같은 러시아 관영 매체를 대단히 적극적으로 활용해왔다는 분석이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 국영언론이지만 영향력이 생각보다 큰 편이다보니 홍보용으로 어느 정도 이용해먹은 듯하다.

2024년 6월 19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북한이 미국의 어느 도시보다 깨끗하고 안전하다는 정신을 안드로메다로 보내는 프로파간다를 내보냈다. #
[1] 러시아어 сегодня는 "이 날"을 의미하는 복합명사 'сей день'이 생격변화(сего дня)되어 부사화된 것이다. 때문에 생격 발음을 반영한 시드녀[sʲɪˈvodʲnʲə\]로 발음하지만 국립국어원 러시아어 표기법상에서는 이러한 발음 상의 예외를 반영하지 않는다. [2] 다만 양사의 설립 과정에서 리아 노보스티가 주도적 역할을 했다는 점, 양사의 편집국장이 마르가리타 시모니얀으로 동일하다는 점, 둘 다 관영 매체라는 점에서 양사가 사실상 하나의 조직이라는 평가도 있다. - 심종현, 제성훈, "러시아의 '샤프 파워(sharp power)' 전략과 서방의 대응: 미디어를 활용한 대외 선전을 중심으로", 『중소연구』 제45권 제4호, 2022, 230쪽. [3] 또한 한국의 KBS, MBC, EBS는 엄연히 공영 매체이며, RT와 Россия сегодня는 국영 매체라는 중대한 차이가 있다. [4] 러시아의 경우 동성애 혐오가 뿌리 깊으며,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군 내 동성 성범죄가 이런 성향을 부추겼다고 하며, 종교적으로도 정교회가 동성애에 극심하게 반대하고 있다. [5] 다만 미국의 동성혼 합법화 관련 보도를 전하면서 "러시아에서도 동성 파트너십 법제화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논평해 태도가 변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 [6] 러시아 국영 신문 로시스카야 가제타 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