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8:05:22

육조류 생물 목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위 계통에 대한 내용은 조강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제알란도르니스과(Zealandornithidae)2. 수리형류(Accipitrimorphae)
2.1. 콘도르목?(Cathartiformes?)
2.1.1. 콘도르과(Cathartidae)2.1.2. †테라토르니스과(Teratornithidae)
2.2. 수리목(Accipitriformes)
2.2.1. 수리과(Accipitridae)2.2.2. 뱀잡이수리과(Sagittariidae)2.2.3. 물수리과(Pandionidae)
3. 올빼미목(Strigiformes)
3.1. †오기곱트인스과(Ogygoptyngidae)3.2. †팔라이오글라욱스과(Palaeoglaucidae)3.3. †프로토스트릭스과(Protostrigidae)3.4. †소피오르니스과(Sophiornithidae)3.5. 가면올빼미과(Tytonidae)3.6. 올빼미과(Strigidae)
4. 파랑새형류(Coraciimorphae)
4.1. 쥐새목(Coliiformes)
4.1.1. †카스카코콜리우스과(Chascacocoliidae)4.1.2. †셀메스과(Selsemidae)4.1.3. †산드콜레우스과(Sandcoleidae)4.1.4. 쥐새과(Coliidae)
4.2. 구멍조류(Cavitaves)
4.2.1. 뻐꾸기파랑새목(Leptosomatiformes)
4.2.1.1. 뻐꾸기파랑새과(Leptosomidae)
4.2.2. 진구멍조류(Eucavitaves)
4.2.2.1. 비단날개새목(Trogoniformes)
4.2.2.1.1. 비단날개새과(Trogonidae)
4.2.2.2. 딱따구리파랑새류(Picocoraciae)
4.2.2.2.1. 코뿔새목(Bucerotiformes)4.2.2.2.2. 딱따구리파랑새왕조조류(Picodynastornithes)
5. 오스트레일리아조류(Australavis)
5.1. 느시사촌목(Cariamiformes)5.2. 진매형류(Eufalconimorphae)
5.2.1. 매목(Falconiformes)5.2.2. 앵무참새류(Psittacopasserae)
5.2.2.1. 앵무형류(Psittacimorphae)
5.2.3. 참새형류(Passerimorphae)
5.2.3.1. 부참새류(Parapasseres)
5.2.3.1.1. 참새목(Passeriformes)


※ 앞에 '†'가 붙은 항목은 멸종했다는 뜻.
※ S = 여름 철새, W = 겨울 철새, P = 나그네새
※ S/R, W/R = 일부 텃새화된 철새
※ 앞에 '(☠)'이 붙은 항목은 독을 지닌 종류.

1. †제알란도르니스과(Zealandornithidae)

2. 수리형류(Accipitrimorphae)

2.1. 콘도르목?(Cathartiformes?)[1]

2.1.1. 콘도르과(Cathartidae)

2.1.2. †테라토르니스과(Teratornithidae)[2]

2.2. 수리목(Accipitriformes)[3]

2.2.1. 수리과(Accipitridae)[4]

2.2.2. 뱀잡이수리과(Sagittariidae)

2.2.3. 물수리과(Pandionidae)

3. 올빼미목(Strigiformes)

3.1. †오기곱트인스과(Ogygoptyngidae)

3.2. †팔라이오글라욱스과(Palaeoglaucidae)

3.3. †프로토스트릭스과(Protostrigidae)

3.4. †소피오르니스과(Sophiornithidae)

3.5. 가면올빼미과(Tytonidae)

3.6. 올빼미과(Strigidae)[8]

4. 파랑새형류(Coraciimorphae)

4.1. 쥐새목(Coliiformes)

4.1.1. †카스카코콜리우스과(Chascacocoliidae)

4.1.2. †셀메스과(Selsemidae)

4.1.3. †산드콜레우스과(Sandcoleidae)

4.1.4. 쥐새과(Coliidae)

4.2. 구멍조류(Cavitaves)

4.2.1. 뻐꾸기파랑새목(Leptosomatiformes)

4.2.1.1. 뻐꾸기파랑새과(Leptosomidae)

4.2.2. 진구멍조류(Eucavitaves)

4.2.2.1. 비단날개새목(Trogoniformes)
4.2.2.1.1. 비단날개새과(Trogonidae)
  • 케찰속
4.2.2.2. 딱따구리파랑새류(Picocoraciae)
4.2.2.2.1. 코뿔새목(Bucerotiformes)[12]
4.2.2.2.2. 딱따구리파랑새왕조조류(Picodynastornithes)

5. 오스트레일리아조류(Australavis)

5.1. 느시사촌목(Cariamiformes)

5.2. 진매형류(Eufalconimorphae)

5.2.1. 매목(Falconiformes)

5.2.2. 앵무참새류(Psittacopasserae)

5.2.2.1. 앵무형류(Psittacimorphae)
5.2.2.1.1. 앵무새목(Psittaciformes)

5.2.3. 참새형류(Passerimorphae)

5.2.3.1. 부참새류(Parapasseres)
5.2.3.1.1. 참새목(Passeriformes)


[1] 독립적인 목인지는 불분명하다. [2] 한글로 뜻풀이를 하자면 괴물새과. 콘도르와 함께 콘도르목으로 묶자는 주장이 있다. [3] 매목에서 수리목으로 독립했다. [4] 황새목 수리과로 분류되기도 한다. 다만 이렇게 분류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 [5] 흰머리수리와는 다른 새다. [6] 흰점어깨수리속으로 재분류되었다. [7] 옛 명칭은 원숭이잡이수리였다. [8] 일반적인 내용은 부엉이, 올빼미 참조. [9] 본래 수리부엉이와 같은 속이었으나 2020년 연구에 따라 별개의 속으로 분리되었다. [10] 낮에도 활동하는 작은 올빼미다. [11] 안경곰처럼 눈 주위에 흰 무늬가 둥근 고리 모양으로 나 있는 올빼미다. [12] 파랑새목의 하위 분류라는 주장도 있다. [13] 토디라고도 부른다. [14] 포루스라코스과라고 할 수도 있다. [15] 매의 아종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