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20:23:05

오펜하이머(영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상세정보 링크 열기

오펜하이머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틀: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Academy Award for Best Pictur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1회
(1929년)
제2회
(1930년)
제3회
(1931년)
제4회
(1932년)
제5회
(1933년)
날개 브로드웨이 멜로디 서부 전선 이상 없다 시마론 그랜드 호텔
제6회
(1934년)
제7회
(1935년)
제8회
(1936년)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캐벌케이드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바운티호의 반란 위대한 지그펠드 에밀 졸라의 생애
제11회
(1939년)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우리 집의 낙원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레베카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 미니버 부인
제16회
(1944년)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카사블랑카 나의 길을 가련다 잃어버린 주말 우리 생애 최고의 해 신사협정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햄릿 모두가 왕의 부하들 이브의 모든 것 파리의 아메리카인 지상 최대의 쇼
제26회
(1954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지상에서 영원으로 워터프론트 마티 80일간의 세계일주 콰이 강의 다리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지지 벤허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아라비아의 로렌스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톰 존스의 화려한 모험 마이 페어 레이디 사운드 오브 뮤직 사계절의 사나이 밤의 열기 속으로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올리버! 미드나잇 카우보이 패튼 대전차군단 프렌치 커넥션 대부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스팅 대부 2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록키 애니 홀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디어 헌터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보통 사람들 불의 전차 간디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애정의 조건 아마데우스 아웃 오브 아프리카 플래툰 마지막 황제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레인 맨 드라이빙 미스 데이지 늑대와 춤을 양들의 침묵 용서받지 못한 자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쉰들러 리스트 포레스트 검프 브레이브 하트 잉글리쉬 페이션트 타이타닉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셰익스피어 인 러브 아메리칸 뷰티 글래디에이터 뷰티풀 마인드 시카고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밀리언 달러 베이비 크래쉬 디파티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슬럼독 밀리어네어 허트 로커 킹스 스피치 아티스트 아르고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노예 12년 버드맨 스포트라이트 문라이트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그린 북 기생충 노매드랜드 코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제99회
(2027년)
제100회
(2028년)
오펜하이머 - - - -
}}}}}}}}}}}}}}} ||

역대 골든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영화 작품상 - 드라마
제80회
(2023년)
제81회
(2024년)
제82회
(2025년)
파벨만스 오펜하이머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
작품상 (영화)
제28회
( 2023년)
제29회
( 2024년)
제30회
( 2025년)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오펜하이머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스릴러 영화상
제47회
(2021/22년)
제48회
(2022/23년)
제49회
(2023/24년)
나이트메어 앨리 오펜하이머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작품상
제76회
( 2023년)
제77회
( 2024년)
제78회
( 2025년)
서부 전선 이상 없다 오펜하이머

}}} ||
오펜하이머 (2023)
Oppenheimer
파일:Oppenheimer_Poster_2_KR.jpg
북미 포스터 ▼
파일:Oppenheimer by Christopher Nolan.jpg
<colbgcolor=#000000><colcolor=#ee602e> 장르 전기, 스릴러, 전쟁, 드라마, 정치, 시대극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
각본
원작 카이 버드, 마틴 J. 셔윈 - 《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1]
제작 크리스토퍼 놀란
에마 토머스
찰스 로벤[2]
주연 킬리언 머피
에밀리 블런트
맷 데이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플로렌스 퓨
촬영 호이트 반 호이테마
편집 제니퍼 레임
음악 루드비히 고란손
미술 루스 드 용
의상 엘렌 미로즈닉
제작사 신카피, 아틀라스 엔터테인먼트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유니버설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PI 코리아
촬영 기간 2022년 2월 ~ 2022년 5월[3]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7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8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3월 29일
화면비 2.20:1
IMAX 디지털 (2.20:1 / 1.90:1)
IMAX 레이저 (2.20:1 / 1.43:1)[4]
IMAX 70MM (2.20:1 / 1.43:1)[5]
블루레이 (2.20:1 / 1.78:1)
상영 타입 2D | IMAX[6] | Dolby Vision[7]
상영 시간 180분 (3시간 9초)[8]
제작비 1억 80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953,038,430 ( 2024년 1월 24일 기준)
북미 박스오피스 $327,104,430 ( 2023년 1월 24일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237,690명 ( 2024년 3월 28일 기준)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개별구매]
[개별구매]
[개별구매]
[개별구매]
[개별구매]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1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륜 R15+ 로고.svg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등장인물5. 줄거리 및 탐구6. 명대사7. 사운드트랙8. 평가9. 수상 및 후보10. 흥행11. 도서12. 기타1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THE WORLD FOREVER CHANGES
세상을 영원히 바꾸다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지도 모르는 선택을 해야 하는 천재 과학자의 핵 개발 프로젝트.
시놉시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열두 번째 장편 영화로,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미국의 핵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원자폭탄을 개발한 역사에 대한 미국의 전기 영화다.[15]

그동안 놀란의 영화들을 워너 브라더스가 배급한 것[16]과 달리 처음으로 유니버설 픽처스에서 단독 배급을 맡는 영화이다.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촬영상, 편집상[17], 음악상을 수상하였다.[18]

그리고 이 영화는 골든 글로브, 영국 아카데미, 미국 아카데미에서 작품상을 휩쓸었다.
==# 개봉 전 정보 #==

2. 포스터

파일:오펜하이머 1차 영문포스터.jpg
파일:오펜하이머 티저 815.jpg
티저 포스터
파일:오펜하이머 2차 영문포스터.jpg
파일:Oppenheimer_Poster_1_KR.jpg
1차 포스터
파일:Oppenheimer by Christopher Nolan.jpg
파일:Oppenheimer_Poster_2_KR.jpg
2차 포스터
파일:오펜하이머 아이맥스.jpg
파일:오돌포스터 고화질.jpg
IMAX 포스터 Dolby Cinema 포스터

3. 예고편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
5분 하이라이트

===# 티저 예고편 핵폭발 장면 분석 #===
  • CG 없이 구현되었다는 핵폭발 장면이 특히 눈에 띈다.
    • 1분 34초, 1분 43초에 등장하는 화구의 모습은 실제 트리니티 실험 당시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했던 화구의 이미지를 재현한 것이다.
파일:external/nuclearweaponarchive.org/Trinity6-18MS320c10.jpg }}} ||
트리니티 실험 당시 폭발 직후의 모습
위에서부터 6, 16, 18밀리초 경과 시의 모습이다. 사진에 촬영된 것이 화구(fireball)인데, 폭발 순간의 중심부 온도는 순간적으로 태양보다도 훨씬 뜨거운 1억 8천만 도에 달하며, 화구의 지름은 최대 수백 미터까지 확장된다. 화구의 엄청난 열은 폭심지에 상승기류를 발생시키며, 그 결과 나타나는 것이 흔히 핵실험 하면 떠올리는 버섯구름이다.
  • 영상 1분 34초경에 팽창하는 화구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어 나오는 화염이 보이는데, 이는 'rope trick' 효과를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Rope trick 효과는 핵폭발 시 초고온의 화구로부터 엄청난 복사 에너지가 쏟아져 나오는데, 이 에너지가 기체인 대기를 통해 전달되는 속도보다 고체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속도가 더 빨라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폭발 시 타워나 케이블과 같은 고체 매질이 화구 주변에 있어야만 발생하는 특이한 현상인데, 실제로 영화에서 다루는 맨해튼 계획 트리니티 실험에서는 폭발 장치가 약 30m 높이의 타워 위에 설치되었고, 케이블이 타워 꼭대기에서 지면까지 이어져 있었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핵폭발 장면의 정확한 재현에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단, 트리니티 실험에서 rope trick 효과가 발생했다는 것이 직접적으로 기록된 자료는 없으므로 초고속 촬영된 다른 핵실험의 화구 형태를 참고한 것으로 추측된다.[24]
  • 1분 1초경의 소규모 폭발은 핵폭발이 아니라 폭축렌즈의 기폭력 및 하술할 폭발의 동시성을 평가한 실험이다.
  • 영상 29초경에 과학자들이 조립하고 있는 물건은 트리니티 실험에 쓰일 핵폭탄 Gadget(장치)이다. 장치를 보면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져 마치 입체 퍼즐처럼 조립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각각의 조각은 폭축렌즈라는 구조를 구성하는 부품이다. 핵폭탄에는 크게 두 가지 폭발방식이 있는데, '포신형 방식'과 '내파 방식'이다. 포신형 방식의 경우 우라늄 코어를 다른 우라늄 코어를 향해 마치 총을 쏘듯이 발사하며, 두 우라늄 코어가 충돌하면 임계질량을 초과하게 되어 급격한 핵분열 반응으로 인한 폭발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다. 이 방식은 히로시마에 투하된 리틀보이에 사용되었으며,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실제 폭발 실험을 진행할 필요는 없었다.[25] 반면 또 다른 폭발방식인 내파 방식의 경우 폭축렌즈라는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폭축렌즈는 중심부의 플루토늄 코어를 외곽부의 고폭탄이 폭발하는 압력으로 압축시켜 연쇄 핵반응 임계점에 도달시키는 방식이다. 외곽부의 고폭탄은 원뿔 형태의 여러 조각으로 구성되어, 조립될 경우 구체 형태를 띈다. 각 조각 내부에는 폭발 시 발생하는 충격파가 중심부의 구형 플루토늄 코어의 표면에 균일하게 수렴하게끔 하기 위한 설계가 되어 있다. 맨해튼 계획 당시 핵폭탄의 코어로 쓰일 핵물질로는 우라늄과 플루토늄이 고려되었는데, 우라늄의 경우 핵폭탄의 코어로 쓰일 정도로 고농축하는 것이 어려워서 플루토늄을 코어로 써야 했다. 그런데 플루토늄의 경우 반응 속도가 우라늄보다 높아서 포신형 방식을 쓸 경우 코어 두 개가 온전히 합쳐지기 전에 조기 반응하여 최대 폭발력을 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나가사키에 투하된 팻 맨[26] 이후의 핵폭탄은 대부분 폭축렌즈를 사용한 내파 방식을 채용하게 된다. 트리니티 실험에서는 내파 방식의 핵폭탄 장치에 대해서만 실제 폭발 실험을 시행하였는데, 이는 포신형 핵폭탄의 경우 굳이 실제 폭발 실험을 시행해야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이론적 예측치와 잘 부합하고 기술적 난이도도 비교적 낮았던 반면, 폭축렌즈 메커니즘의 경우 원리나 구조적, 기술적으로 훨씬 복잡했기 때문에 실전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27]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검증의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폭축렌즈 메커니즘은 인류 역사상 손꼽히는 천재 과학자 중 한 명인 폰 노이만에 의해 개발되었다. 즉, 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핵폭탄 개발 프로젝트였던 맨해튼 계획은 수백 명의 기라성 같은 천재 과학자들이 미국이라는 강대국의 엄청난 지원을 바탕으로 성취한 기적과도 같은 것이었다.
  • 영상 1분 46초경에 등장하는 카운트다운 시계는 형태상 닉시관으로 보이는데, 이는 재현에 어긋난 연출이다. 트리니티 실험은 1945년에 진행되었으나, 닉시관은 그로부터 한참 후인 1952년에 가서야 개발된 디스플레이이기 때문에 시대상에 맞지 않는다.
  • 그러나 해당 장면들은 영화의 본편에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28] 영화에서는 구 형태의 화구가 아니라 할리우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솔린을 이용한 폭발의 모습이 등장하는데 흔히 마이클 베이히면 떠오르는 그 폭발을 생각하면 된다. 실제 핵실험 장면을 옮겨 놓은 듯한 예고편 속 모습과 달리 에어쇼나 일반적인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폭발의 모습을 슬로우를 걸고 확대해서 보여줄 뿐이다. 이는 음악을 비롯한 여러 연출로 어느 정도 커버가 가능하지만 여기에 스파크들까지 추가를 하면서 실제 화구의 모습과 더욱 동떨어지게 되었다. 이 때문에 실제 트리니티 실험 영상의 댓글을 보면 영화의 가장 클라이막스라고 할 수도 있는 이 장면에서 오히려 몰입이 깨졌다는 반응들을 볼 수 있다. 물론 이 영화는 원자폭탄 자체가 아닌 오펜하이머의 일생에 초점을 맞춘 영화이지만 CG 없이 실제 트리니티 실험을 재현했다는 것을 홍보하던 것에 비하면 매우 초라한 폭발의 모습은 비판받을 만하다. 홍보보다는 오히려 변명이라고 봐야 할 것 같다

4. 등장인물

  • 캐서린 '키티' 오펜하이머 ( 에밀리 블런트 扮)
    1910~1972. 독일계 미국인 생물학자, 식물학자. 상당히 다재다능한 인물이자 복잡한 결혼 이력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음악을 전공하던 프랭크 램지어와 결혼했다가 이혼했고, 이어 조셉 달렛을 만나 공산당에 가입하여 좌익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둘은 사실혼 관계였지 혼인신고는 하지 않았던 사이였고 영화에서 언급되는거 처럼 달렛은 스페인 내전의 국제 여단에 합류한 이후 전사했다.

    이어 리처드 스튜어트 해리슨을 만나 결혼했고 이시기 공산당을 떠났다. 이후 이야기는 영화와 같으며 오펜하이머와 결혼을 한 이후 아들과 딸을 낳고 지내다 1972년 10월 27일에 파나마 운하를 횡단 하던 중 색전승으로 사망했다.
  • 레슬리 그로브스 장군 ( 맷 데이먼 扮)
    맨해튼 프로젝트의 총 지휘관. 오펜하이머는 이론을 통한 실제 폭탄 제조를 담당했다면 레슬리 그로브스는 프로젝트의 모든 부분(로스 앨러모스 건설, 예산 확정, 보안관리, 우라늄 및 플루토늄 구매 등등)을 담당했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사람까지 갈아내는 성격 탓에 전쟁 이후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에게 인정을 받지 못하고, 중장 진급 후 전역했다. 이후 군수업체 임원을 지내는 등 군과의 인연을 이어가다 1970년 사망했다.
  • 진 태트록 ( 플로렌스 퓨 扮)
    1914~1944. 미국 공산당 소속이었던 정신과 의사로, 1930년대에 오펜하이머와 애정 관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오펜하이머에게 공산당 사상을 소개하는 등 적잖은 영향을 미쳤으나 그의 청혼을 두 번 거절하여 결혼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이후 오펜하이머가 키티와 결혼을 한 후에도 친분을 이어갔으나, 1944년에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로 삶을 마감했다. 다만 그녀의 죽음이 정보 요원에 의한 타살이었다는 음모론도 존재한다. 영화상에서도 이를 반영해서 다소 모호하게 죽음을 연출한다. 참고로 자막과 평전에는 이름이 '태트록'이라고 나왔는데, 표기법을 따르면 '탯록'이 옳은 표기다.
  • 보리스 패시 대령 ( 케이시 애플렉 扮)
    미 육군 정보 장교. 전역 후 CIA 고위직에 스카우트되는데, 이 때 여러 암살 작전을 실행했다는 의혹이 있다.
  • 데이비드 L. 힐[29] ( 라미 말렉 扮)
    엔리코 페르미 산하의 과학자들과 시카고 파일 개발에 참가했던 미국의 핵물리학자. 이후 일본에 핵폭탄을 투하하기에 앞서 사전 경고를 하자는 실라르드 청원서 서명 운동에 참가한다. 영화 상에서는 오펜하이머가 그를 2차례나 밀치고 펜을 떨어뜨리는 장면이 나와서 악의를 가질 수 있겠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추후 스트로스가 오펜하이머와 악연일 가능성이 있는 시카고 물리학자들을 청문회 증인으로 전략적으로 요청하여 힐이 나오자, 관객들로 하여금 절망을 느끼게끔 한다. 하지만 스트로스의 기대와 달리 그는 개인적인 악연이 아닌 과학자적 양심에 근거한 증언을 하여 외려 오펜하이머와 스트로스의 관계를 고발하게 된다.
  • 로저 롭 ( 제이슨 클라크 扮)
    컬럼비아순회항소법원(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District of Columbia Circuit) 소속이었던 미국의 연방 검사. 오펜하이머의 청문회에서 그와 그의 주변인들을 심문하는 인물로, 작중에서는 스트로스가 고용한 것으로 언급된다. 강압적인 자세로 오펜하이머의 변호인 측 질문을 끊어버리거나 말의 허점을 노려 강력하게 물고 늘어지는 등 오펜하이머를 압박해 간다.
  • 프랭크 오펜하이머 ( 딜런 아놀드 扮)
    오펜하이머의 친동생. 영화상에서는 그냥 동생으로 부각되지만 그도 물리학자다. 존스홉킨스 대학교 졸업 후 칼텍에서 석사와 박사를 취득했다. 1935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핵입자 연구도 수행했다.

    칼텍 수학 중 UC 버클리 경제학과 학생이던 '재키' 콴과 약혼했는데 그녀는 미국내 젊은 공산주의자 조직인 YCLUSA 에서 활동중이었다. 형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1936년에 둘은 결혼했고 미국 공산당에 가입한다. 1939년 박사 학위 취득 후 스탠포드에서 포닥을 2년간 거쳤다. 1941년부터 45년까지 형의 친구인 어니스트 로런스의 연구실에서 근무하고, 1943년에는 케네스 베인브리지 휘하에서 일하며 트리니티 실험의 장소를 고르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전후 버클리에 돌아와 루이스 알바레스, 볼프강 파노프스키와 협력하여 양자 선형 가속기 개발에 참여했고 1947년에는 미네소타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 그러나 1947년 워싱턴 타임즈 헤럴드의 고발 기사로 공산당원이었음이 알려지며 낙인 찍히고 교수직을 사임하게 된다. 이후 10여년 간 자리를 찾지 못하고 콜로라도에서 목장을 사서 가축을 키우며 세월을 보냈다. 1957년에야 지역 고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칠 수 있게 되었고 그의 가르침을 받은 학생들이 콜로라도 주 과학전에서 1등상을 여러 명이 타게 되었다. 2년 동안 한스 베테, 조지 가모프 등이 노력하여 결국 그는 콜로라도 대학교에서도 강의할 수 있게 되었다. 고등학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프랭크는 새로운 유형의 과학관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결국 1969년 샌프란시스코에 'Exploratorium'을 열었고 초대 관장이 되어 남은 생애를 박물관에 바친다.
  • 윌리엄 보든 ( 데이비드 다스트말치안 扮)
    1954년, 오펜하이머 사건의 발단이 되었던 스파이 활동 고발 편지를 작성한 미국의 변호사, 정치인. 이후 미국 의회 원자력 공동 의회(United States Congressional Joint Committee on Atomic Energy)의 총괄 책임자로서 트루먼 대통령 시기 수소 폭탄 개발의 추진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 케네스 니콜스 ( 데인 드한 扮)
    맨해튼 계획 당시 그로브스 장군의 전속부관이었던 미합중국 육군 공병 대령. 종전 후 오펜하이머 사건에 관여한 주요 인물 중 한명이다. 그로브스에 대해서는 나중에 "모진 사람"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누구보다 유능한 사람'이라고 하면서, "내가 다시 원자폭탄 개발 계획의 상관을 모셔야 한다면 다시 그로브스를 택하겠다."라는 평을 남겼다. #
  • 하콘 슈발리에[30] (제퍼슨 홀 扮)
  • 로버트 서버 (마이클 안가라노 扮)
    맨해튼 계획에 참여한 물리학자. 프로젝트의 기본 원리와 목표를 설명하는 ‘ 로스 앨러모스 입문서’를 작성한다. “원자폭탄 탄생의 지적 산파”로 불리게 된다.
  • 조지 '키스티' 키스티아콥스키 (트론 포사 扮)
    우크라이나 출신 미국인으로 하버드 대학교의 물리화학 교수였다. 폭탄의 내파를 위한 렌즈를 설계한 최종 책임자. 영화상에서 렌즈에 문제가 있어서 터지지 않을 수 있다는 주위의 우려에 오펜하이머에게 자신의 한 달 월급을 걸었고 결국 성공하자 매우 기뻐한다.
  • 케네스 베인브리지 (조시 펙 扮)
    맨해튼 계획에 참여한 물리학자로, 트리니티 프로젝트의 책임자였다. 트리니티 핵실험이 성공한 후 자괴감에 휩싸여서 "우린 이제 개새끼야.(Now we are all sons of bitches)"라고 한 발언이 유명하며, 종전 후 핵실험 반대 운동에 몸을 담았다.
  • 도널드 호닉 (데이비드 리스달 扮)
  • 루스 톨먼[31] (루이스 롬바드 扮)
  • 필립 모리슨 (해리슨 길버트슨 扮)
  • 에드워드 콘던 (올리 하스키비 扮)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 영화에서는 "왜 우리가 거기에 가야해?"라며 비웃으며 레슬리 그로브스에게 "인류 역사상 최고로 중요한 프로젝트니까!"라며 f-word를 시전하게 만들었다. 실제 역사에서도 1943년에 맨해튼프로젝트에 합류했지만 과거 좌익 이력으로 인해서 지나치게 보안 감시[32]를 당하자 자진해서 프로젝트에서 하차한다. 영화에서는 조금 다르지만 그로브스에게 갈굼 당하자 오펜하이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오펜하이머가 나몰라라 해버리자 빡쳐서 나가는 것으로 조금 변형했다.

    참고로 레슬리 그로브스와는 악연이 이어지는데, 1945년 6월에 모스크바에서 열린 러시아 아카데미 창립 220주년 행사에 초대된 수많은 미국 과학자들 중 한명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레슬리 그로브스는 이 사실을 알자 "콘돈은 원자폭탄 개발에 참여하다 나간 인물이라 참가를 막아달라."며 콘돈이 일하던 웨스팅하우스와 국무부에 요청, 끝내 여권을 박탈하기에 이른다. 이후에도 그의 좌익 이력을 빌미로 끊임없이 공격 당했으나 죽기 직전까지 원자력 보안 허가 취소를 당했던 오펜하이머와 달리 1954년에 보안허가가 다시 발급되며 명예를 회복했다. 이는 해리 트루먼의 지지도 있었다. 이후 1974년에 사망했다.
  • 로시 로마니츠[34] (조시 저커먼 扮)
  • 조지 엘튼턴 (가이 버넷 扮)
  • 재키 오펜하이머[35] (에마 듀몬트 扮)
  • 법률 고문 (스콧 그라임스[36] 扮)
  • 헨리 L. 스팀슨 장관 ( 제임스 레마 扮)
    1867~1950. 2차대전 당시 미 전쟁부 장관으로, 영화에서는 일본에 대한 핵폭탄 투발 방법에 대한 회의 장면에서 등장한다.
  • 레오 실라르드(마테 하우만 扮)
    핵분열 연쇄반응으로 특허를 낸 헝가리의 물리학자. 원자폭탄 개발의 필요성을 거론하는 편지에 아인슈타인의 서명을 실어 루즈벨트에게 보냈고, 이 편지는 이후 맨해튼 계획의 발단이 된다. 무기 개발 성공 이후에는 핵무기 투하 대상인 일본에 대한 사전 경고 등을 요청한 실라르드 청원서 서명 운동을 주도했다.
  • 리차드 톨먼 (톰 젠킨스 扮)
    미국의 물리화학자. 맨하탄 계획에서 레슬리 그로브스의 과학고문 역을 했다. 부인은 임상 심리학자였던 루스 톨먼이다.
  • 루이스 스트로스의 상원 보좌관 ( 올든 에런라이크 扮)
    이름이 따로 언급되지 않는데, 영화 속 유일한 가상 인물이다.

5. 줄거리 및 탐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펜하이머(영화)/줄거리 및 탐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명대사

닐스 보어: (오펜하이머에게) 자네 계산 능력은 어떤가?

패트릭 블래킷[38]: 본인이 바라는 뛰어난 물리학자가 되기에는 부족한 편이지.

닐스 보어: 대수는 악보와 같은 걸세. 중요한 건 음표를 읽는 것이 아니라, 거기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가야. 자네는 그 음악을 들을 수 있는가, 로버트?

오펜하이머: 네, 들을 수 있어요.[39]
Now I am become Death, the destroyer of worlds.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
오펜하이머[O][41]
에드워드 콘던: 왜 우리가 사막 한복판에 2, 3년씩이나 나와있어야 해?[42] 얼마나 길어질지도 모르는데.

레슬리 그로브스: 왜? 왜냐고? 왜냐하면 이게 인류 역사상 가장 개같이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면 어떻소! 알아먹겠소? 제기랄.
군인: (눈 보호를 위한 색안경을 건네며) 파인만.

리처드 파인만: 됐어요. 차 창문이 자외선을 막아주거든요.

에드워드 텔러: 창문까지 깨지면 어쩌려고?
일기예보 틀리면, 교수형에 처할 줄 아시오.
레슬리 그로브스
진: 세상은 똑똑하다고 봐주지 않아.

오펜하이머: 똑똑하면, 모든 게 용서가 돼.
그로브스: 실험은 뭐라고 부를 겁니까?

오펜하이머: ''내 심장을 쳐라, 삼위일체의 신이여.''[43]

그로브스: 뭐라고요?

오펜하이머: 트리니티입니다.
트루먼: 로스 앨러모스를 떠날 예정이시라고 들었는데, 그럼 거긴 어쩌지?

오펜하이머: 인디언들에게 돌려주세요.[44]

(중략)

오펜하이머: 대통령님, 제 손에는 피가 묻어있는 것 같습니다.[O]
(Mr. President, I feel I have blood on my hands.)
You think anyone in Hiroshima, Nagasaki gives a shit who built a bomb? They care who dropped it. I did. Hiroshima isn't about you.
히로시마 나가사키의 사람들이 누가 폭탄을 만들었는지 신경이나 쓸 것 같소? 그들에게 중요한 건 누가 떨어트렸느냐요. 내가 했지. 히로시마는 당신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소.

Don't let that crybaby back in here!
(오펜하이머가 집무실을 나설 때 뒤에서) 징징대는 애는 여기 들이지 마.
해리 S. 트루먼[46][47]
Theory takes you only so far.
이론은 어디까지나 이론일 뿐이야.
오펜하이머 & 어니스트 로렌스[48]
J. Robert Oppenheimer, the martyr. I gave him exactly what he wanted to be—remembered for Trinity. Not Hiroshima, not Nagasaki. He should be thanking me.
J. 로버트 오펜하이머. 순교자 납셨지. 난 녀석이 바라던 걸 그대로 이뤄줬어. 트리니티 핵실험의 주인공으로 기억되는 거. 히로시마 나가사키가 아니라. 놈은 나한테 고마워해야 한다고.
스트로스[49]
Amateurs seek the sun and get eaten. Power stays in the shadow.
아마추어들은 태양을 쫓다 잡아먹히지. 힘은 그림자 속에 머무는 거라고.
스트로스
Would the Japanese surrender if they knew about those are coming?
( 리틀 보이 팻 맨이 트럭에 실려 연구소를 떠나는 모습을 보며 오펜하이머에게) 자신들에게 뭐가 오고있는지 안다면, 일본은 항복할까?
(중략)
누군가가 더 큰 폭탄을 만들 때까지는.
에드워드 텔러[50]
The world will remember this day.
세상은 오늘[51]을 기억할 것입니다. (연구원들 환호)

It's soon to, it's too soon to determine what the result of the bombings are, but I bet the Japanese didn't like it.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의 위력을 정확히 말하기는 이른 단계이지만, 장담하건대 일본은 좋아하진 않았을 겁니다. (연구원들 환호)[52]

I'm so proud, so proud of what you've accomplished.
여러분들이 거둔 이 성과가 매우 자랑스럽습니다.

I just wish we had time to use against Germans.
우리가 이 폭탄을 독일에게도 쓰지 못했다는 게 아쉬울 뿐입니다. (연구원들 환호)
오펜하이머[53]
교토는 역사적으로 유서가 깊은 곳이라 제외했습니다. 아내와 신혼여행을 다녀온 곳이기도 하고요.[54]
헨리 스팀슨[55]
키티[56]: 제게 양자역학을 설명해보시겠어요? 난해하던데.

오펜하이머: 그럼요. 이 유리잔도, 이 술도, 우리의 몸도 전부 거의 대부분 텅 빈 공간이고, 미세한 에너지 파동들이 서로 얽혀 있는 것이죠.

키티: 무엇에 의해서요?

오펜하이머: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충분히 강해서 우리 인간들로 하여금 물질이 단단하다고 확신하게 만들고... (키티와 손바닥을 마주대며) 제 몸이 당신의 몸을 통과하지 못하고 멈추게 만들지요.
슈발리에: 무슨 연구를 하시죠?

오펜하이머: 들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에 관해서요.

슈발리에: 별들도 죽습니까?

오펜하이머: 그 경우 별들은 차갑게 식고 붕괴하죠. 별이 클수록 그 최후도 더 격렬해지고, 중력이 엄청나게 집중되어 모든 걸 삼킵니다. 전부 다... 빛조차도요.

슈발리에: 그게 정말 가능합니까?

오펜하이머: 수학은 가능하다고 말해요. 연구 결과를 내놓으면, 아마도 언젠가는 어느 천문학자가 그것을 찾아내겠죠. 하지만 지금은 이론이 전부고 세상에 아무런 영향력도 없죠.[57][58]
Did you think that if you let them tar and feather you, then the world would forgive you? It won't.
세상이 당신에게 (빨갱이로 몰아서) 타르칠하고 깃털로 뒤집어씌우는데[59] 당신은 그저 당하고만 있으면 이 세상이 당신을 용서할 거라고 생각했어? 아니야.
키티 오펜하이머
그런 죄를 저질러놓고, 이런 일이 생기니까 동정이라도 받고 싶어? 정신 똑바로 차려. 당신은 이곳의 책임자야.
키티 오펜하이머
성공하면 침대보를 걷어.
오펜하이머
침대보를... 침대보를 걷지마...
오펜하이머[60]
(윌리엄 보든이 FBI에게 오펜하이머가 공산주의자라고 고발하는 투서를 낭독하기 시작한다. 이로서 이 청문회장에서 오펜하이머와 공산주의를 연결하는 공식 기록이 속기록내에 남겨지게 된다.)

Dear Mr. Hoover, the purpose of this letter is to state my opinion, based upon years of study of the available classified evidence, that, more probably than not, J. Robert Oppenheimer is an agent of the Soviet Un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justified. One, between 1929 and 1942, more probably than not, J. Robert Oppenheimer was a sufficiently hardened communist that he volunteered information to the Soviets. Two, more probably than not, he has since been functioning as an espionage agent. Three. More probably than not, he has since acted under a Soviet directive in influencing United States military policy.

윌리엄 보든 : 에드가 J 후버 FBI 국장 귀하. 이 투서의 목적은 기밀 문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J.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소련의 간첩일 가능성이 높다는 제 의견을 밝히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타당하다고 주장합니다.
첫째, 1929년에서 1942년 사이에 J.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소련에 정보를 제공할 만큼 열성적인 공산주의자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둘째, 오펜하이머는 이후 소련의 간첩으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셋째, 오펜하이머는 이후 소련의 지시에 따라 미국 군사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을 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항의의 표시로 변호사 자리에서 일어나 오펜하이머 자리 옆으로 옮겨 앉으며)
I'm sorry, Robert.
개리슨 변호사 : 오펜하이머 씨. 유감입니다.

Is anyone ever going to tell the truth about what's happening here?
오펜하이머 : 지금 여기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해 (훗날) 진실을 말해줄 사람이 있을까요?
Why don't you have a Nobel Prize?
레슬리 그로브스: 왜 노벨상이 없으시죠?

Why aren't you a general?
오펜하이머: 왜 별이 없으십니까?

They're making me one for this.
레슬리 그로브스: 이걸로 하나 달 겁니다.[61]

Perhaps I'll have the same luck.
오펜하이머: 저에게도 같은 행운이 있겠군요.

The Nobel Prize for making a bomb?
레슬리 그로브스: 폭탄 개발로 노벨상을?

Alfred Nobel invented dynamite.
오펜하이머: 알프레드 노벨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했습니다.[62]
이지도어 라비: 난 이 계획에 참여하지 않아, 로버트.

오펜하이머: 왜지?

라비: 폭탄을 떨구면 죄 있는 사람 없는 사람 가리지 않고 터져버려. 난 물리학의 300년 역사의 정점이 대량학살무기로 변질되는 것을 원치 않네.

오펜하이머: 이지, 나도 우리가 그런 무기를 신뢰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나치를 믿을 수 없다는 건 잘 알아. 선택의 여지가 없어.

라비: 그럼, 자네가 두 번째로 할 일은 한스 베테를 이론부 부장에 임명하는 거야.

오펜하이머: 좋아. 첫 번째는?

라비: 그 볼썽사나운 군복부터 벗어 던져버려. 자네는 과학자야.[63]

오펜하이머: 그로브스 장군은 우리가 군의 일원이 되길 원하네.

라비: 그자는 엿이나 먹으라고 해. 그들은 우리가 과학자이기 때문에 필요한 거야. 그러니 자네 본분에 맞게 차려입어. ....성질 좀 줄이고.[64]
레슬리 그로브스: 잠깐만, 그 버튼을 누르면, 세상이 파괴될 수도 있단 말인가요?

오펜하이머: 3년간 연구해 보았지만, 그걸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못 찾았어요.

레슬리 그로브스: 확률이 얼마나 됩니까?

오펜하이머: 가능성은 0에 가깝습니다.

레슬리 그로브스: '0에 가깝다'? ("Near Zero"?)

오펜하이머: 이론 뿐인데, 뭘 더 바라나요?

레슬리 그로브스: '0'이라면 안심이 되겠지. ("Zero" will be nice.)[65]
닐스 보어: 충분히 큰가?[66]

오펜하이머: 이 전쟁을 끝내기에 말인가요?

닐스 보어: 모든 전쟁을 끝내기에 말일세.[67]
닐스 보어: 로버트, 난 자네들을 도우러 여기 온 것이 아닐세. 나 없이도 충분히 해내리라고 믿었으니까.

오펜하이머: 그럼 왜 이곳에 오신 겁니까?

보어: 앞으로의 일을 논하기 위해서라네. 자네가 곧 선보일 힘은 나치가 사라져도 세상에 영원히 남을걸세. 그리고 그 세상은 준비되지 않았어.

오펜하이머: '드러나는 뱀에 대한 준비 없이도 돌을 들 수 있다' 라는 거죠.

보어: 우리는 정치인들에게 반드시 알려줘야 하네. 이건 신무기가 아니라, 신세계라는 것을. 나는 밖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을 하겠지만[68], 자네는 이제 '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가 된거야. 인류에게 스스로를 파괴할 힘을 건네준 바로 그 인물로서 자네는 사람들에게 추앙받을 것이고, 거기서부터 자네의 과업이 진정으로 시작되는 거야.
모리슨: 이 무기를 인류에게 사용하는 것을 우리가 어떻게 정당화할 수 있죠?

오펜하이머: 우린 이론가들이네. 우리는 미래를 상상할 수 있고, 그 상상은 우리를 두렵게 하지. 하지만 저들은 그 위력을 이해하기 전까지는 그 무기를 두려워하지 않을 테고, 그것들이 사용되지 않는 한 진정으로 실감하지 못할 걸세. 세상이 로스 앨러모스의 끔찍한 비밀을 알게 되는 날, 우리의 작품은 인류가 여태껏 보지 못한 평화를 가져올 걸세. 루스벨트가 늘 예견했던 일종의 국제 협력에 기반한 평화[69] 말일세.
자네는 위대한 과학 세일즈맨이라네. 그 어떤 것도 누구에게든 납득시킬 수 있지. 자네 자신에게도 말일세.
레오 실라르드[70]
You can lift the stone without being ready for the snake that's revealed.
드러나는 뱀에 대한 준비 없이도 돌을 들 수 있다네.[71]
닐스 보어
볼페: 로버트, 어차피 자넨 이길 수 없어. 이건 결과가 뻔한 마녀사냥이야. 왜 더 큰 고초를 자초하나?

오펜하이머: 다 그럴 이유가 있지.

아인슈타인: 저 사람 말 일리있네. 자네는 마치 변심한 여자를 쫓아다니는 남자처럼 미국 정부를 짝사랑하고 있어.

오펜하이머: 당신은 제 심정을 몰라요, 알버트.

아인슈타인: 내가? 난 내 나라를 영영 떠나온 사람이네. 독일에서 일어났던 수년 전의 재앙이 지금 반복되고 있고, 사람들은 저항없이 순응하고 악의 세력과 쉽게 결탁하지. 자네는 조국을 위해 큰 일을 했는데 이게 그 대가라면 이 나라를 떠나는 게 옳지 않겠나?

오펜하이머: 전 이 나라를 사랑한다고요![72]

아인슈타인: 그럼 저들에게 지옥으로 꺼지라고 말하게.
로저 롭 검사: 소련은 자신들의 무기 증강을 위해 어떤 짓도 마다하지 않을 텐데요?

오펜하이머: 우리가 먼저 하는 순간[73], 저들도 반드시 따라하게 된단 말입니다. 원자폭탄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노력은 저들의 노력을 부추길 뿐이라고요!
키티: (뜰에서 눈물을 글썽이며)그렇게 혹독한 벌을 묵묵히 견디면, 세상이 당신을 용서할 거 같았어? ...용서 안 할 거야.

오펜하이머: ...보면 알겠지.
And one day, when they've punished you enough, they'll serve you salmon and potato salad, make speeches, give you a medal. Pat you on the back, tell you all is forgiven. Just remember, it won't be for you. It will be for them.
그리고 언젠가, 그들이 자네를 충분히 벌하고 나면, 자네를 불러 연어와 감자샐러드를 제공하고, 연설을 하고, 도 수여하겠지. 자네 등을 토닥이며 자네는 모든 것을 용서받았다고 할 걸세. 다만 기억하게. 그것은 자네를 위한 게 아니야. 자신들을 위한 것이지.
아인슈타인
오펜하이머: 알버트, 제가 그 계산 문제를 들고 찾아갔을 때 우린 말했죠. 어쩌면 파괴의 연쇄반응이 시작될 수도 있다고.

아인슈타인: 똑똑히 기억하고 있지. 그게 왜?

오펜하이머: 시작된 것 같아서요(I believe we did).[74]

7. 사운드트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펜하이머(영화)/사운드트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펜하이머(영화)/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수상 및 후보

<rowcolor=#ee602e> 연도 시상식 부문 수상자(작)
2024년 골든 글로브 시상식 작품상(드라마) 오펜하이머
감독상 크리스토퍼 놀란
남우주연상(드라마) 킬리언 머피
남우조연상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음악상 루드비히 고란손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작품상 오펜하이머
감독상 크리스토퍼 놀란
남우조연상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앙상블상 오펜하이머
촬영상 호이트 반 호이테마
편집상 제니퍼 레임
시각효과상 오펜하이머
음악상 루드비히 고란손
새턴상 스릴러 영화상 오펜하이머
영화 여우조연상 에밀리 블런트
영화 편집상 제니퍼 레임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작품상 오펜하이머
감독상 크리스토퍼 놀란
남우주연상 킬리언 머피
남우조연상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음악상 루드비히 고란손
촬영상 호이트 반 호이테마
편집상 제니퍼 레임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오펜하이머
감독상 크리스토퍼 놀란
남우주연상 킬리언 머피
남우조연상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음악상 루드비히 고란손
촬영상 호이트 반 호이테마
편집상 제니퍼 레임
  • 제7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BAFTA)에서 최다 부문 노미네이트(13개), 최다 부문 수상(7개)을 하는 쾌거를 올렸다.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최다 부문 노미네이트(13개) 되었다. 영국 아카데미의 회원들은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을 주최하는 'AMPAS'에도 속하는 경우가 많아 3월에 있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좋은 성과를 올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결국 오펜하이머는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과 아카데미 시상식(오스카) 모두에서 최다 부문 노미네이트(13개 부문), 최다 부문 수상(7개 부문)이라는 좋은 성과를 얻었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그간 인셉션, 덩케르크 등으로 아카데미 감독상 후보에 수차례 올랐지만 고배를 마셨는데, 처음으로 영국 아카데미(BAFTA) 감독상과 아카데미 시상식(오스카)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10. 흥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펜하이머(영화)/흥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도서

<rowcolor=#ee602e> 분류 표지 제목 발매일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각본집
파일:오펜하이머각본집.png
오펜하이머 각본집[국문]
저자: 크리스토퍼 놀란[83]
출판사: 허블
2023.08.29.[84] 파일:YES24 아이콘.svg
아트북
파일:oppenheimer_artbook.jpg
오펜하이머 아트북
저자: 제이다 유안
출판사: 아르누보
2023.10.31 yes24 알라딘 교보문고

12. 기타

  • 영화 초반부, 물리학(특히 블랙홀과 관련된 이론)에 대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갖고 있었으나 영국으로 건너온 이후 우울증에 시달리던 오펜하이머의 혼란스러운 심리를 대변하는 예술작품으로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의 시 황무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발레음악 봄의 제전의 악보, 그리고 파블로 피카소의 그림 팔짱을 끼고 앉아 있는 여인이 등장한다. 셋 모두 오펜하이머를 둘러싼 서구사회가 20세기라는 (당시 기준) 현대에 들어섰음을 의미하는 혁신적인 작품이며, 청년 오펜하이머의 감정, 그의 이론의 학문적 혁신성, 나아가 그가 주도하게 될 맨해튼 계획과 그 이후의 미래를 암시하는 장치로 볼 수 있다.
  • 놀란의 페르소나로 유명하지만 주로 조연으로만 출연한 킬리언 머피의 첫 주연 작품이도 하다.[86] 머피는 선샤인에서 핵 물리학자 역을 맡은 바 있다. 이때는 인류를 위해 반드시 터트려야 하는 입장.
  • 테넷 촬영을 끝낸 직후의 자축 파티에서 로버트 패틴슨이 놀란에게 오펜하이머의 연설집 책을 선물했으며, 이미 이때부터 차기작을 계획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 배트맨 비긴즈부터 놀란 영화에 빠짐 없이 출연한 마이클 케인이 이번에도 출연할 지 이목이 쏠렸는데, 결국 이번 영화에는 출연하지 않는다고 <시네마 블랜드> 인터뷰에서 놀란 감독이 밝혔다. 이로써 <배트맨 비긴즈> 이후 18년 동안 모든 놀란 감독 영화에 출연한 케인의 기록은 영화 <오펜하이머>로 기록이 깨지게 되었다. 이후 인터뷰에서 놀란은 "그는 이번에 참여하지 못했지만 우리와 정신을 공유한다."라며 출연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케인의 나이가 90세를 넘었기에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번 영화에 출연한 케네스 브레너나 게리 올드만이 케인의 뒤를 이어 놀란영화에 지속적으로 출연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예측도 있다.
  • 영화의 작중 주요 역할들이 인종적, 성별적 편향이 크다는 지적이 있다. 맨해튼 계획의 흑인 과학자 명단. 다만 당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것과 오펜하이머에게 서사를 맞추기 위하여 타 백인 과학자들 또한 상당수가 배제되었다는 것을 감안하여야 한다. [87]
  • IMAX 흑백 아날로그로 찍은 최초의 영화이다.
  • 2023년 공개되는 아이맥스 촬영 영화 중에, 듄: 파트 2와 더불어 유일한 GT레이저 화면비로 상영되는 풀 아이맥스 영화다. 그렇기에 오펜하이머 상영 전, 듄 파트 2 예고편이 상영되었다. 2023년 8월 24일 듄 파트 2의 개봉일이 2024년 봄으로 미뤄지면서, 오펜하이머는 2023년 개봉작 중 유일한 필름 아이맥스 촬영영화가 됐다.
  • 놀란이 토탈 필름 신년호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오펜하이머'에서 흑백 장면들은 실제 역사를, 컬러 장면들은 오펜하이머의 관점을 따르는 장면들이라고 한다. 또한 컬러 장면은 주로 트리니티 실험 과정을, 흑백 장면은 전후의 시간대를 묘사할 예정이다. 즉 색으로 시간뿐만 아니라 주관과 객관도 구별한 것. 놀란 감독은 그 이유에 대해 " 메멘토에서 정말로 좋아했던 흑백과 컬러의 교차 대조를 다시 활용할 완벽한 계기라고 생각했다. '오펜하이머'의 이야기의 전달 방식은 매우 주관적이지만, 동시에 좀 더 많은 객관적인 이야기의 가닥들이 그 사이에 얽혀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실제 영화공개 후 컬러 장면에 해당되는 각본은 주인공인 오펜하이머의 1인칭 시점으로 작성되었다. # 그래서 일본에서 원폭 장면이 없는 이유도 영화가 그 사건에 대한 특정 시점에서 확장되어 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참고로 흑백 장면들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연기한 스트로스의 관점이라고 한다. 서술 관점에 따라 색감 연출에 차별화를 두고 있는 셈이다.
    • 오프닝이 지나고 본격적으로 영화가 시작하면 1. 핵분열과 2. 핵융합으로 컬러와 흑백을 구분한다. 쳅터가 아닌 컬러와 흑백 전환을 구분하는 연출. 이동진 평론가의 해설영상에 의하면, 1 핵분열은 오펜하이머 시점의 원자폭탄의 폭발, 2 핵융합은 스트로스 시점의 수소폭탄의 폭발을 의미한다고.
  • 할리우드 리포터에 의하면 오펜하이머에 출연하기로 한 배우들 상당수가 놀란의 비밀 정책으로 인해 자신의 역할이나 출연 분량을 모르고도 출연 계약을 한 경우가 많았다. 그럼에도 이들은 놀란 작품에 참여하는 것에 큰 의의를 두고 계약을 했다고 한다.
  • 전작 테넷에서 오펜하이머의 이름이 잠시 언급되었는데, 그 다음 작품에서 놀란은 자신의 영화에서 언급된 인물을 다루는 영화를 만들게 되었다.
  • 전작 테넷의 스태프들이 다시 합류했다. 놀란과 계속해서 작업해 온 음악 감독 한스 짐머는 테넷에 이어 이 작품도 함께하지 않는데, 듄 시리즈의 광팬이라 2021년에 새 영화로 만들어진 듄 시리즈와 그 차기작들의 사운드트랙을 도맡아 제작하느라 그랬다고 한다. 이로 인해 한스 짐머가 직접 놀란 감독에게 추천한 루드비그 예란손 테넷에 이어 음악을 맡게 되었다. 그동안 놀란과 함께 했던 편집 감독 리 스미스 역시 테넷에 이어 불참한 대신, 테넷의 편집 감독 제니퍼 레임이 다시 편집 감독을 맡았고, 인터스텔라부터 함께 한 촬영 감독 호이트 반 호이테마가 이번에도 카메라를 잡았다.
  • 한국에서는 2023년 세 번째로 화요일에 개봉한 영화다.[89] 게다가 본래 북미처럼 7월 말로 잡혔던 개봉일을 8월 15일로 늦췄는데, 광복절에 맞추기 위함이라고 추측한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유니버설 픽처스의 한국지사가 영화를 한국에서는 미국 현지보다 늦게 개봉하는 경우가 빈번했고[90], 7월 12일에 개봉한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톰 크루즈의 내한 등의 대대적인 홍보로 맞불경쟁이 불가피한 것과 더불어 스크린 쿼터제로 인해[91] 한국 개봉 날짜를 8월 15일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 영화의 보조출연자로 실제 과학자들이 출연했다고 한다.
  • IMAX사와 유니버설 픽처스가 오펜하이머 개봉 주부터 3주 동안 IMAX 독점 상영 계약을 맺어, 북미 모든 지역의 IMAX관은 개봉 주부터 3주간은 오직 오펜하이머만이 상영된다. 때문에 북미 기준 동시기 경쟁작인 바비 돌비 시네마 포멧으로만 개봉한다.
  • 일본은 자신들의 역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을 다루는 영화라는 점에서 개봉이 미뤄지거나 혹은 아예 극장 개봉이 되지않고 vod나 블루레이로만 풀릴 가능성이 있다. 정치적, 역사적 문제를 떠나 핵무기에 대한 여론 자체가 매우 좋지 않은 일본이기 때문에 배급사에서도 손해가 예상된다면 사실 굳이 개봉 할 이유가 없다. 게다가 일본에서는 오펜하이머에서 파생된 밈인 바벤하이머에 대해서도 굉장히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지만 그래도 개봉은 했다 물론 부정적 평가가 지배적이다.[94]

    앞서 미국 버라이어티 지에서 《오펜하이머》의 일본 개봉 가능성을 점쳐보는 기사를 올린 적 있다. # 요약하자면 일본 개봉 여부는 유니버설 영화의 일본 내 배급을 맡은 도호도와( 도호의 국외 영화 배급 전문 자회사)에서 수입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라고 한다. 현재 일본에는 공식 일본어 홈페이지는 물론, 공식 일본어 자막 예고편조차 공개되질 않아 일본 내에서도 이와 관련하여 의견이 분분하다. 일본 시장의 특성상 할리우드 영화도 수개월 뒤에나 개봉하는 영화가 많아 오펜하이머도 같은 케이스가 아니냐는 주장은 같은 7월 개봉작들이 개봉 날짜가 미국 기준으로 한달 반을 지나지 않는다는 것으로 반박된다. 이미 도호는 7월에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를 개봉한데 이어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31편이 2023년 8월 4일에 개봉하는 점을 생각하면 《오펜하이머》의 일본 개봉은 매우 늦어지거나 2차 시장으로만 풀릴 가능성이 있다.
    2023년 12월 7일 중소규모 예술영화 배급사인 비터즈 엔드[95]에서 일본 개봉을 발표했다. 직배 및 광역 개봉은 포기하고 독립영화 규모의 소규모 상영을 추진하는 듯 하다.
  • 필름 상영을 고집하는 놀란의 성향 때문에 이번에도 필름이 쓰였으나, 필름 무게의 한계 때문에 최대 러닝타임은 3시간으로 제한되었다.
  • 각본가이자 영화 감독 폴 슈레이더가 "금세기 최고이자 가장 중요한 영화"라고 평했다. #
  • 영화 감독 올리버 스톤 역시 오펜하이머 프로젝트를 포기한 적이 있는데, 놀란은 그 본질을 잘 발견하였다고 칭찬했다. (imdb trivia)
  • 놀란 감독의 작품답게 또다시 음향 문제로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이번 작품에서도 일부 관객들이 대사가 잘 들리지 않는다는 후기들이 올라오고 있다고 한다. 미 버라이어티는 왜 놀란의 작품들만 유독 음향 문제로 구설수에 오르는지에 대해 기사를 올렸는데 # 첫 번째 이유로 놀란 감독 특유의 작가주의 성향으로 인한 고집과 두 번째로 아이맥스 필름 촬영으로 인한 현실적 문제가 있다고 진단했다.
    • 놀란 감독은 후반부 작업에서 다른 감독과는 다른 방법을 고집하고 있는데 아이맥스 필름 촬영, 그리고 후반부 작업에서 사운드 말고는 아이맥스 필름의 품질을 떨어트리는 어떤 후반부 작업도 기피한다는 것이다. 아이맥스 필름은 사운드 트랙이 필름에 기록되는 게 아니라 별도 트랙으로 따로 기록(주로 CD)되어 상영때 틀어주기 때문에 사운드는 아무리 후처리해도 필름과 같은 디지털 변환에 따른 열화를 피할 수 있다. 그런데 유독 놀란 감독은 이상하게 감독의 작가적 주장을 사운드 믹싱에 포함함으로 관객들과는 충돌이 생긴다는 것이다. 또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 제작에 있어 이젠 당연하게 쓰이는 ADR(Automated Dialogue Replacement)기술을 놀란 감독은 쓰지 않는데 이 ADR 기술은 쉽게 말하지면 후시녹음이다. 이 ADR기술은 현장에서 촬영할 때 배우의 대사와 현장에서의 배경 소리를 분리 녹음한다. 이 분리 녹음된 소리들을 디지털로 서라운드, 특수 음향 처리를 한후 배우가 후시녹음 한 대사를 다시 입히는 기술인데 이 기술이 가장 완벽하게 구현된 영화가 바로 캐스트 어웨이[96]이다. ADR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여 음향에 신경쓰는 감독들은 대부분 이 기술을 채용하는 편인데 놀란 감독은 이 기술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배우들의 연기를 현장에서 바로 한 컷에 완성하는 걸 선호하면 편인데 대사까지도 현장에서의 느낌을 중시하는 것이라는 것. 거기다 배우들도 후시녹음을 따로 해야 할 필요가 없으니 놀란 감독의 방식을 좋아하는 편이다.
    • 또한 아이맥스 필름 촬영은 한 가지 기술적 한계가 있는 게 바로 카메라 소음이다. 촬영 시 아이맥스 카메라의 필름 통에서 필름을 감을 때 모터 구동음과 필름의 감기는 소리가 아직까지는 너무 크다는 것이다. 때문에 현장에서는 사운드 녹음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괜히 아이맥스 필름 촬영에 노하우가 있는 음향 녹음 팀이 따로 있는 게 아니며 몸값이 높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앞으로도 놀란 감독이 계속해서 아이맥스 필름 촬영을 고집하는 한, 그리고 관련된 기술적 한계가 극복되지 않는 한 놀란 감독의 작품에 음향 논란은 계속 이어질 듯하다.
  • 유튜브와 같은 SNS에 오펜하이머 Post-credit scene이라고 설명하는 영상이 올라와있지만 전부 가짜이다. 놀란 감독은 자신의 작품에 쿠키 영상을 넣은 적이 없으며 이번에도 마찬가지이다. # 가짜 여부와는 별개로 핵으로 인한 상호확증파괴의 위험을 경고하는 엔딩과 혼란스러운 세계 정세 때문에 '오펜하이머의 쿠키 영상은 사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세계다'라는 웃지 못할 농담도 있다.
  • 크리스토퍼 놀란이 영화 홍보를 위해 알쓸별잡에 출연한 회차가 2023년 8월 10일 2화에 방영되었다. 유현준이 본인 채널에서 홍보하기도 했다.
  • ' 존 폰 노이만은 맨해튼 계획에 있어 폭축렌즈[97]의 설계와 폭파 고도의 계산 등 오펜하이머 못지않은 중추적인 역할을 했음에도 이 영화에서는 단 한 장면도 등장하지 않았다'는 것이 기존 문서의 서술이었으나 로스앨러모스에서의 핵심은 누가 뭐래도 오펜하이머이다. 폰 노이만도 일정 부분 기여는 했지만 영화 상에는 아쉽게도 등장하지 않았다는 것이 적절한 기술일 것이다. 폭탄의 내파 설계 작업은 세스 네더마이어에 의해 시작되었고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동반되었는데, 1943년 9월에 폰 노이만은 원통형에서 구형으로 폭탄 설계를 바꾸자고 제안한다. 1944년 8월에 오펜하이머가 내파에 초점을 맞추면서 로스앨러모스 실험실을 개편하였고(영화상에서도 묘사된다) 폭발 전문가인 조지 '키스티' 키스티아콥스키가 이끄는 X 디비전(폭발물 담당)과 로버트 바셔의 G 디비전(장치 담당)으로 구성한다. 폭탄의 새 디자인은 폭발을 구형으로 집중시키는 렌즈가 핵심이었으며 그것의 개발을 담당한 것이 키스티다. 폰 노이만의 렌즈 모델을 사용한 시도는 실패했고 키스티가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었다. 그래서 키스티가 영화상에서 트리니티 실험 당시 중요한 비중으로 표현된 것이다. 참고 폰 노이만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를 투하 장소로 결정한 위원회의 위원이었으며 최적의 충격파 발산을 위한 폭탄이 터져야 하는 지상에서의 높이를 계산하는 것을 감독했다.
  • 옥의 티 장면이 있는데 비공개 청문회 장면에서 왼쪽 커튼너머로 보이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들의 디자인이 1950년대와는 달리 매우 현대적인 디자인의 경차들이다.
  • 영화관 자막에 문법 오류가 있다. '바라'를 '바래'로 오기하였다. 다만 해당 표현의 경우는 워낙 익숙하기에 국립국어원 표기를 따르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 컬러장면은 오펜하이머의 관점이며 흑백은 루이스 스트로스의 시점으로 좀 더 카메라를 멀리두었다. #
  • 제임스 우즈가 제작에 참여했다. 우즈 같은 경우 우파 성향 발언으로 논란이 있었던 배우였지만 작가조합과 배우조합등을 지지했고 작품의 제작에 도움을 줬다고 한다.
  • 스튜디오 관계자를 제외하고 가장 먼저 본 관객은 스티븐 스필버그였다고 한다. 같이 보고 있었던 놀란은 자신의 영화보다 스필버그의 반응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
  • 당시 아내를 위해 맷 데이먼은 쉬고 있지만 만약 크리스토퍼 놀란이 연락하지 않는 이상 이라고 조건을 남겨놨다고 한다. #

12.1. 바벤하이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벤하이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둘러보기

2023년 대한민국 주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주 차 제목 국가 관객수 매출액
1주 차
(01/02~01/08)
아바타: 물의 길 미국 8,776,608명 109,635,532,854원
2주 차
(01/09~01/15)
9,414,358명 118,401,546,990원
3주 차
(01/16~01/22)
교섭 대한민국 660,670명 6,783,227,814원
4주 차
(01/23~01/29)
1,439,955명 14,716,438,251원
5주 차
(01/30~02/05)
더 퍼스트 슬램덩크 일본 2,348,323명 24,253,068,916원
6주 차
(02/06~02/12)
2,856,956명 29,466,109,930원
7주 차
(02/13~02/19)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미국 862,945명 9,230,382,306원
8주 차
(02/20~02/26)
1,312,796명 13,905,524,867원
9주 차
(02/27~03/05)
대외비 대한민국 496,712명 4,934,237,130원
10주 차
(03/06~03/12)
스즈메의 문단속 일본 972,478명 10,484,236,072원
11주 차
(03/13~03/19)
1,951,079명 20,602,080,115원
12주 차
(03/20~03/26)
2,964,810명 31,093,458,647원
13주 차
(03/27~04/02)
3,784,725명 39,189,746,494원
14주 차
(04/03~04/09)
4,344,045명 44,785,553,803원
15주 차
(04/10~04/16)
존 윅 4 미국 726,256명 7,685,168,144원
16주 차
(04/17~04/23)
1,232,024명 12,940,626,230원
17주 차
(04/24~04/30)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미국
일본
769,099명 7,721,308,808원
18주 차
(05/01~05/07)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미국 1,630,894명 17,437,607,892원
19주 차
(05/08~05/14)
2,729,308명 29,149,264,528원
20주 차
(05/15~05/21)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미국 843,294명 8,932,140,474원
21주 차
(05/22~05/28)
1,447,765명 15,218,788,613원
22주 차
(05/29~06/04)
범죄도시3 대한민국 4,512,223명 44,614,489,126원
23주 차
(06/05~06/11)
7,782,660명 77,064,301,585원
24주 차
(06/12~06/18)
8,912,381명 88,323,849,756원
25주 차
(06/19~06/25)
9,667,845명 95,817,966,270원
26주 차
(06/26~07/02)
엘리멘탈 미국 2,247,123명 22,275,991,395원
27주 차
(07/03~07/09)
3,406,604명 33,728,291,730원
28주 차
(07/10~07/16)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미국 1,768,058명 18,077,141,491원
29주 차
(07/17~07/23)
2,940,445명 29,925,329,083원
30주 차
(07/24~07/30)
밀수 대한민국 1,724,874명 16,672,943,495원
31주 차
(07/31~08/06)
3,535,571명 34,166,190,541원
32주 차
(08/07~08/13)
콘크리트 유토피아 대한민국 1,546,167명 15,119,120,439원
33주 차
(08/14~08/20)
오펜하이머 미국, 영국 1,592,541명 16,948,217,585원
34주 차
(08/21~08/27)
2,323,511명 24,902,557,072원
35주 차
(08/28~09/03)
2,774,670명 29,621,073,825원
36주 차
(09/04~09/10)
대한민국 538,862명 5,300,444,456원
37주 차
(09/11~09/17)
1,031,031명 10,186,316,194원
38주 차
(09/18~09/24)
1,319,853명 12,659,687,871원
39주 차
(09/25~10/01)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대한민국 1,173,542명 11,341,138,213원
40주 차
(10/02~10/08)
30일 대한민국 619,780명 6,114,077,682원
41주 차
(10/09~10/15)
1,210,225명 11,979,273,459원
42주 차
(10/16~10/22)
1,595,799명 15,780,558,027원
43주 차
(10/23~10/29)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일본 947,951명 9,186,002,236원
44주 차
(10/30~11/05)
1,482,083명 14,481,087,790원
45주 차
(11/06~11/12)
더 마블스 미국 446,899명 4,511,845,426원
46주 차
(11/13~11/19)
프레디의 피자가게 미국 340,614명 3,315,386,458원
47주 차
(11/20~11/26)
서울의 봄 대한민국 1,892,356명 18,345,367,538원
48주 차
(11/27~12/03)
4,654,825명 44,532,413,953원
49주 차
(12/04~12/10)
6,971,667명 67,199,660,314원
50주 차
(12/11~12/17)
8,941,093명 86,503,082,371원
51주 차
(12/18~12/24)
노량: 죽음의 바다 대한민국 1,680,415명 16,728,785,209원
52주 차
(12/25~12/31)
3,437,308명 34,203,743,403원
본 자료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주간 박스오피스 집계 자료를 출처로 하고 있으며, 관객수와 매출액은 주마다 갱신된 총 수를 기준으로 한다. }}}}}}}}}

파일:CGV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No. 1-20 ]⠀
테넷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파이널컷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특별전 원더우먼 1984 소울
No. 1

2020. 8. 26.
No. 2

2020. 10. 28.
No. 3

2020. 11. 12.
No. 4

2020. 12. 23.
No. 5

2021. 1. 20.
미나리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자산어보 서복 내일의 기억
No. 6

2021. 3. 3.
No. 7

2021. 3. 3.
No. 8

2021. 3. 31.
No. 9

2021. 4. 15.
No. 10

2021. 4. 21.
더 스파이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크루엘라 캐시트럭 루카
No. 11

2021. 4. 28.
No. 12

2021. 5. 19.
No. 13

2021. 5. 26.
No. 14

2021. 6. 9.
No. 15

2021. 6. 17.
킬러의 보디가드 2 발신제한 블랙 위도우 랑종 보스 베이비 2
No. 16

2021. 6. 23.
No. 17

2021. 6. 23.
No. 18

2021. 7. 14.
No. 19

2021. 7. 14.
No. 20

2021. 7. 21.
}}}}}}
⠀[ No. 21-4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296EAF> 모가디슈
정글 크루즈 블랙핑크 더 무비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 귀문
No. 21

2021. 7. 28.
No. 22

2021. 7. 28.
No. 23

2021. 8. 4.
No. 24

2021. 8. 4.
No. 25

2021. 8. 25.
인질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007 노 타임 투 다이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No. 26

2021. 8. 18.
No. 27

2021. 9. 1.
No. 28

2021. 9. 29.
No. 29

2021. 10. 13.
No. 30

2021. 10. 20.
고장난 론 이터널스 귀멸의 칼날: 남매의 연 귀멸의 칼날: 나타구모산 편 장르만 로맨스
No. 31

2021. 10. 27.
No. 32

2021. 11. 10.
No. 33

2021. 11. 10.
No. 34

2021. 11. 17.
No. 35

2021. 11. 17.
유체이탈자 연애 빠진 로맨스 엔칸토: 마법의 세계 귀멸의 칼날: 주합회의 · 나비저택 편 타짜
No. 36

2021. 11. 24.
No. 37

2021. 11. 24.
No. 38

2021. 11. 24.
No. 39

2021. 12. 1.
No. 40

2021. 12. 1.
⠀[ No. 41-6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447BBE>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매트릭스: 리저렉션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해피 뉴 이어 경관의 피
No. 41

2021. 12. 15.
No. 42

2021. 12. 22.
No. 43

2021. 12. 22.
No. 44

2021. 12. 29.
No. 45

2022. 1. 5.
특송 킹메이커 해적: 도깨비 깃발 나일 강의 죽음 언차티드
No. 46

2022. 1. 12.
No. 47

2022. 1. 26.
No. 48

2022. 1. 26.
No. 49

2022. 2. 9.
No. 50

2022. 2. 16.
극장판 주술회전 0 더 배트맨 뜨거운 피 모비우스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No. 51

2022. 2. 23.
No. 52

2022. 3. 1.
No. 53

2022. 3. 23.
No. 54

2022. 3. 30.
No. 55

2022. 4. 13.
앵커 로스트 시티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범죄도시2
No. 56

2022. 4. 20.
No. 57

2022. 4. 20.
No. 58

2022. 4. 21.
No. 59

2022. 5. 4.
No. 60

2022. 5. 18.
⠀[ No. 61-8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50B9E1>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브로커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버즈 라이트이어 탑건: 매버릭
No. 61

2022. 6. 1.
No. 62

2022. 6. 8.
No. 63

2022. 6. 15.
No. 64

2022. 6. 15.
No. 65

2022. 6. 22.
헤어질 결심 토르: 러브 앤 썬더 엘비스 미니언즈 2 외계+인 1부
No. 66

2022. 6. 29.
No. 67

2022. 7. 13.
No. 68

2022. 7. 13.
No. 69

2022. 7. 20.
No. 70

2022. 7. 20.
한산: 용의 출현 비상선언 헌트 불릿 트레인 귀멸의 칼날: 아사쿠사 편
No. 71

2022. 7. 27.
No. 72

2022. 8. 3.
No. 73

2022. 8. 10.
No. 74

2022. 8. 24.
No. 75

2022. 8. 25.
공조2: 인터내셔날 귀멸의 칼날: 장구저택 편 늑대사냥 아바타 리마스터링 정직한 후보2
No. 76

2022. 9. 7.
No. 77

2022. 9. 15.
No. 78

2022. 9. 21.
No. 79

2022. 9. 21.
No. 80

2022. 9. 28.
⠀[ No. 81-10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FBDB00> 인생은 아름다워
블랙 아담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동감 데시벨
No. 81

2022. 9. 28.
No. 82

2022. 10. 19.
No. 83

2022. 11. 9.
No. 84

2022. 11. 16.
No. 85

2022. 11. 16.
올빼미 스트레인지 월드 원피스 필름 레드 압꾸정 더 메뉴
No. 86

2022. 11. 23.
No. 87

2022. 11. 23.
No. 88

2022. 11. 30.
No. 89

2022. 11. 30.
No. 90

2022. 12. 7.
아바타: 물의 길 영웅 젠틀맨 3000년의 기다림 스위치
No. 91

2022. 12. 21.
No. 92

2022. 12. 21.
No. 93

2022. 12. 28.
No. 94

2023. 1. 4.
No. 95

2022. 1. 6.
교섭 유령 더 퍼스트 슬램덩크 상견니 파코니의 방구석 어드벤처
No. 96

2023. 1. 18.
No. 97

2023. 1. 18.
No. 98

2023. 1. 20.
No. 99

2023. 1. 25.
No. 100

2023. 2. 1.
⠀[ No. 101-12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ffd700> 바빌론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대외비 스즈메의 문단속
No. 101

2023. 2. 1.
No. 102

2023. 2. 15.
No. 103

2023. 3. 1.
No. 104

2023. 3. 1.
No. 105

2023. 3. 15.
소울메이트 사잠! 신들의 분노 모나리자와 블러드 문 거울 속 외딴 성 존 윅 4
No. 106

2023. 3. 15.
No. 107

2023. 3. 15.
No. 108

2023. 3. 22.
No. 109

2023. 4. 12.
No. 110

2023. 4. 12.
킬링 로맨스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드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롱디
No. 111

2023. 4. 14.
No. 112

2023. 4. 26.
No. 113

2023. 4. 26.
No. 114

2023. 5. 3.
No. 115

2023. 5. 10.
메리 마이 데드 바디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슬픔의 삼각형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리마스터링 남은 인생 10년
No. 116

2023. 5. 17.
No. 117

2023. 5. 17.
No. 118

2023. 5. 17.
No. 119

2023. 5. 24.
No. 120

2023. 5. 24.
⠀[ No. 121-14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183942> 인어공주
범죄도시3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플래시
No. 121

2023. 5. 24.
No. 122

2023. 5. 31.
No. 123

2023. 6. 6.
No. 124

2023. 6. 14.
No. 125

2023. 6. 14.
엘리멘탈 귀공자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애스터로이드 시티 여름날 우리
No. 126

2023. 6. 14.
No. 127

2023. 6. 21.
No. 128

2023. 6. 21.
No. 129

2023. 6. 28.
No. 130

2023. 6. 28.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풍재기시 보 이즈 어프레이드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하늘의 유토피아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No. 131

2023. 6. 28.
No. 132

2023. 7. 5.
No. 133

2023. 7. 5.
No. 134

2023. 7. 8.
No. 135

2023. 7. 12.
바비 밀수 더 문 비공식작전 콘크리트 유토피아
No. 136

2023. 7. 19.
No. 137

2023. 7. 26.
No. 138

2023. 8. 2.
No. 139

2023. 8. 2.
No. 140

2023. 8. 9.
⠀[ No. 141-16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000000> 오펜하이머
여름을 향한 터널, 이별의 출구 플로라 앤 썬 30일 화사한 그녀
No. 141

2023. 8. 15.
No. 142

2023. 9. 14.
No. 143

2023. 9. 22.
No. 144

2023. 10. 3.
No. 145

2023. 10. 11.
소년들 톡 투 미 만추 리마스터링 다크 나이트 서울의 봄
No. 146

2023. 11. 1.
No. 147

2023. 11. 1.
No. 148

2023. 11. 8.
No. 149

2023. 11. 15.
No. 150

2023. 11. 22.
극장판 파워 디지몬 더 비기닝 겨울왕국 / 겨울왕국 2 쏘우 X 류이치 사카모토 | 오퍼스 시민덕희
No. 151

2023. 11. 29.
No. 152

2023. 11. 30.
No. 153

2023. 12. 13.
No. 154

2023. 12. 27.
No. 155

2024. 1. 24.
데드맨 소풍 비트 태양은 없다 골드핑거
No. 156

2024. 2. 7.
No. 157

2024. 2. 7.
No. 158

2024. 3. 6.
No. 159

2024. 3. 13.
No. 160

2024. 4. 10.
⠀[ No. 161-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3a4980> 범죄도시4
악마와의 토크쇼 별처럼 빛나는 너에게 더무비 드림 시나리오 존 오브 인터레스트
No. 161

2024. 4. 24.
No. 162

2024. 5. 8.
No. 163

2024. 5. 22.
No. 164

2024. 5. 29.
No. 165

2024. 6. 5.
키타로 탄생 게게게의 수수께끼
No. 166

2024. 6. 12.
}}}||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빨강.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0%"
{{{#!folding ⠀[ No. 1-20 ]⠀
반도 강철비2: 정상회담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테넷 나의 소녀시대
No. 1

2020. 7. 15.
No. 2

2020. 7. 29.
No. 3

2020. 8. 5.
No. 4

2020. 8. 26.
No. 5

2020. 8. 26.
기기괴괴-성형수 뮬란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위플래쉬
No. 6

2020. 9. 9.
No. 7

2020. 9. 17.
No. 8

2020. 10. 22.
No. 9

2020. 10. 28.
No. 10

2020. 11. 20.
조제 원더우먼 1984 새해전야 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No. 11

2020. 12. 10.
No. 12

2020. 12. 23.
No. 13

2021. 2. 10.
No. 14

2021. 1. 8.
No. 15

2021. 1. 21.
소울 캐롤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미나리 고질라 VS. 콩
No. 16

2021. 1. 20.
No. 17

2021. 1. 27.
No. 18

2021. 3. 4.
No. 19

2021. 3. 18.
No. 20

2021. 3. 25.
}}}}}}
⠀[ No. 21-4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E1E1E1> 자산어보
서복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No. 21

2021. 3. 31.
No. 22

2021. 4. 15.
No. 23

2021. 4. 16.
No. 24

2021. 4. 22.
No. 25

2021. 4. 29.
스파이럴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크루엘라 캐시트럭 콰이어트 플레이스 2
No. 26

2021. 5. 12.
No. 27

2021. 5. 19.
No. 28

2021. 5. 26.
No. 29

2021. 6. 9.
No. 30

2021. 6. 16.
루카 킬러의 보디가드 2 인 더 하이츠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블랙 위도우
No. 31

2021. 6. 17.
No. 32

2021. 6. 23.
No. 33

2021. 6. 30.
No. 34

2021. 6. 30.
No. 35

2021. 7. 14.
랑종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 보스 베이비 2 이도공간 정글 크루즈
No. 36

2021. 7. 14.
No. 37

2021. 7. 14.
No. 38

2021. 7. 21.
No. 39

2021. 7. 21.
No. 40

2021. 7. 28.
⠀[ No. 41-6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296EAF> 모가디슈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 인질 레미니센스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No. 41

2021. 7. 28.
No. 42

2021. 8. 4.
No. 43

2021. 8. 18.
No. 44

2021. 8. 25.
No. 45

2021. 9. 1.
기적 007 노 타임 투 다이 용과 주근깨 공주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No. 46

2021. 9. 15.
No. 47

2021. 9. 29.
No. 48

2021. 9. 29.
No. 49

2021. 10. 13.
No. 50

2021. 10. 20.
고장난 론 이터널스 엔칸토: 마법의 세계 매트릭스 리슨
No. 51

2021. 10. 27.
No. 52

2021. 11. 10.
No. 53

2021. 11. 24.
No. 54

2021. 12. 9.
No. 55

2021. 12. 9.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매트릭스: 리저렉션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경관의 피 특송
No. 56

2021. 12. 15.
No. 57

2021. 12. 22.
No. 58

2021. 12. 22.
No. 59

2022. 1. 5.
No. 60

2021. 1. 12.
⠀[ No. 61-8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000000> 레지던트 이블: 라쿤시티
해적: 도깨비 깃발 킹메이커 나일 강의 죽음 언차티드
No. 61

2022. 1. 19.
No. 62

2022. 1. 26.
No. 63

2022. 1. 26.
No. 64

2022. 2. 9.
No. 65

2022. 2. 16.
시라노 더 배트맨 모비우스 수퍼 소닉 2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No. 66

2022. 2. 23.
No. 67

2022. 3. 1.
No. 68

2022. 3. 30.
No. 69

2022. 4. 6.
No. 70

2022. 4. 13.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범죄도시2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브로커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No. 71

2022. 5. 11.
No. 72

2022. 5. 18.
No. 73

2022. 6. 1.
No. 74

2022. 6. 8.
No. 75

2022. 6. 15.
버즈 라이트이어 탑건: 매버릭 헤어질 결심 토르: 러브 앤 썬더 엘비스
No. 76

2022. 6. 15.
No. 77

2022. 6. 22.
No. 78

2022. 6. 29.
No. 79

2022. 7. 13.
No. 80

2022. 7. 13.
⠀[ No. 81-10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FB7344> 미니언즈 2
외계+인 1부 한산: 용의 출현 비상선언 헌트
No. 81

2022. 7. 20.
No. 82

2022. 7. 20.
No. 83

2022. 7. 27.
No. 84

2022. 8. 3.
No. 85

2022. 2. 16.
불릿 트레인 공조2: 인터내셔날 인생은 아름다워 정직한 후보 2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No. 86

2022. 8. 24.
No. 87

2022. 9. 7.
No. 88

2022. 9. 28.
No. 89

2022. 9. 28.
No. 90

2022. 10. 12.
블랙 아담 자백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데시벨 스트레인지 월드
No. 91

2022. 10. 19.
No. 92

2022. 10. 26.
No. 93

2022. 11. 9.
No. 94

2022. 11. 16.
No. 95

2022. 11. 23.
올빼미 원피스 필름 레드 아바타: 물의 길 영웅 젠틀맨
No. 96

2022. 11. 23.
No. 97

2022. 11. 30.
No. 98

2022. 12. 21.
No. 99

2022. 12. 21.
No. 100

2022. 12. 28.
⠀[ No. 101-12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D15345> 스위치
더 퍼스트 슬램덩크 교섭 유령 바빌론
No. 101

2023. 1. 4.
No. 102

2023. 1. 14.
No. 103

2023. 1. 18.
No. 104

2023. 1. 18.
No. 105

2023. 2. 1.
타이타닉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대외비 스즈메의 문단속 사잠! 신들의 분노
No. 106

2023. 2. 8.
No. 107

2023. 2. 15.
No. 108

2023. 3. 1.
No. 109

2023. 3. 8.
No. 110

2023. 3. 15.
소울메이트 던전 앤 드래곤: 도적들의 명예 존 윅 4 거울 속 외딴 성 킬링 로맨스
No. 111

2023. 3. 15.
No. 112

2023. 3. 29.
No. 113

2023. 4. 12.
No. 114

2023. 4. 12.
No. 115

2023. 4. 14.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슬픔의 삼각형 스즈메의 문단속
No. 116

2023. 4. 26.
No. 117

2023. 5. 3.
No. 118

2023. 5. 10.
No. 119

2023. 5. 17.
No. 120

2023. 5. 17.
⠀[ No. 121-14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5f504b>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리마스터링 인어공주 범죄도시3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No. 121

2023. 5. 16.
No. 122

2023. 5. 24.
No. 123

2023. 5. 24.
No. 124

2023. 5. 31.
No. 125

2023. 6. 6.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엘리멘탈 플래시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귀공자
No. 126

2023. 6. 14.
No. 127

2023. 6. 14.
No. 128

2023. 6. 15.
No. 129

2023. 6. 21.
No. 130

2023. 6. 21.
애스터로이드 시티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여름날 우리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밀수
No. 131

2023. 6. 28.
No. 132

2023. 6. 28.
No. 133

2023. 6. 28.
No. 134

2023. 7. 12.
No. 135

2023. 7. 26.
바비 더 문 비공식작전 콘크리트 유토피아 오펜하이머
No. 136

2023. 7. 26.
No. 137

2023. 8. 2.
No. 138

2023. 8. 2.
No. 139

2023. 8. 9.
No. 140

2023. 8. 15.
⠀[ No. 141-16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151c2f>
닌자터틀: 뮤턴트 대소동 거미집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1947 보스톤
No. 141

2023. 9. 6.
No. 142

2023. 9. 14.
No. 143

2023. 9. 27.
No. 144

2023. 9. 27.
No. 145

2023. 9. 27.
크리에이터 화란 블루 자이언트 플라워 킬링 문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No. 146

2023. 10. 4.
No. 147

2023. 10. 11.
No. 148

2023. 10. 18.
No. 149

2023. 10. 19.
No. 150

2023. 10. 25.
톡 투 미 키리에의 노래 서울의 봄 괴물 싱글 인 서울
No. 151

2023. 11. 1.
No. 152

2023. 11. 1.
No. 153

2023. 11. 22.
No. 154

2023. 11. 29.
No. 155

2023. 11. 29.
나폴레옹 3일의 휴가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노량: 죽음의 바다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
No. 156

2023. 12. 6.
No. 157

2023. 12. 6.
No. 158

2023. 12. 20.
No. 159

2023. 12. 20.
No. 160

2023. 12. 27.
⠀[ No. 161-18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182b70> 위시
립세의 사계 웡카 소풍 파묘
No. 161

2024. 1. 3.
No. 162

2024. 1. 10.
No. 163

2024. 1. 31.
No. 164

2024. 2. 7.
No. 165

2024. 2. 22.
가여운 것들 밥 말리: 원 러브 메이 디셈버 오멘: 저주의 시작 유미의 세포들 더 무비
No. 166

2024. 3. 6.
No. 167

2024. 3. 13.
No. 168

2024. 3. 13.
No. 169

2024. 4. 6.
No. 170

2024. 4. 10.
쿵푸팬더 4 범죄도시4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이프: 상상의 친구
No. 171

2024. 4. 10.
No. 172

2024. 4. 24.
No. 173

2024. 5. 8.
No. 174

2024. 5. 15.
No. 175

2024. 5. 15.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청춘 18X2 너에게로 이어지는 길 설계자 드림 시나리오 존 오브 인터레스트
No. 176

2024. 5. 22.
No. 177

2024. 5. 22.
No. 178

2024. 5. 31.
No. 179

2024. 5. 29.
No. 180

2024. 6. 5.
⠀[ No. 181-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ffcc9f> 원더랜드
인사이드 아웃 2
No. 181

2024. 6. 5.
No. 182

2024. 6. 12.
⠀[ Special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947EA9>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팬텀: 더 뮤지컬 라이브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비상선언
Sp. 1

2021. 9. 9.
Sp. 1

2021. 9. 9.
Sp. 2

2021. 12. 1.
Sp. 3

2022. 4. 21.
Sp. 4

2022. 8. 3.
모가디슈(재개봉) 원피스 필름 레드 탑건: 매버릭 아바타: 물의 길 초속 5센티미터
Sp. 5

2022. 9. 7.
Sp. 6

2022. 11. 30.
Sp. 7

2022. 12. 7.
Sp. 8

2022. 12. 14.
Sp. 9

2023. 4. 20.
BTS Solo Documentaries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올드보이 그래비티 다크 나이트
Sp. 10

2023. 6. 16.
Sp. 11

2023. 7. 5.
Sp. 12

2023. 9. 20.
Sp. 13

2023. 10. 25.
Sp. 14

2023. 11. 15.
시간을 달리는 소녀 러브 액츄얼리 냉정과 열정사이 겨울왕국 스즈메의 문단속
Sp. 15

2023. 11. 22.
Sp. 16

2023. 12. 6.
Sp. 17

2023. 12. 6.
Sp. 18

2023. 12. 7.
Sp. 19

2024. 1. 10.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작은 아씨들 이프 온리 추락의 해부
Sp. 20

2024. 1. 17.
Sp. 21

2024. 1. 17.
Sp. 22

2024. 2. 14.
Sp. 23

2024. 2. 21.
Sp. 24

2024. 2. 28.
패스트 라이브즈 로봇 드림 이승윤 콘서트 도킹 : 리프트오프 남은 인생 10년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
Sp. 25

2024. 2. 29.
Sp. 26

2024. 3. 4.
Sp. 27

2024. 3. 22.
Sp. 28

2024. 4. 3.
Sp. 29

2024. 4. 10.
목소리의 형태 김준수 콘서트 무비 챕터 원: 레크리에이션 태극기 휘날리며 너는 달밤에 빛나고 그녀
Sp. 30

2024. 5. 9.
Sp. 31

2024. 6. 5.
Sp. 32

2024. 6. 6.
Sp. 33

2024. 6. 12.
Sp. 34

2024. 6. 12.
}}}||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No. 1-25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라이온 킹 나랏말싸미 타짜: 원 아이드 잭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파일:OGT1.jpg 파일:OGT2.jpg 파일:OGT3.jpg 파일:OGT4.jpg 파일:OGT5.jpg
No. 1

2019. 7. 4.
No. 2

2019. 7. 19.
No. 3

2019. 7. 24.
No. 4

2019. 9. 11.
No. 5

2019. 9. 25.
조커 말레피센트 2 날씨의 아이 겨울왕국 2 포드 V 페라리
파일:OGT6.jpg 파일:OGT7.jpg 파일:OGT8-1.jpg 파일:OGT9.jpg 파일:OGT10.jpg
No. 6

2019. 10. 2.
No. 7

2019. 10. 17.
No. 8

2019. 10. 30.
No. 9

2019. 11. 21.
No. 10

2019. 12. 4.
캣츠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남산의 부장들 버즈 오브 프레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파일:OGT11.jpg 파일:OGT12.jpg 파일:OGT13.jpg 파일:OGT14.jpg 파일:OGT15.jpg
No. 11

2019. 12. 24.
No. 12

2020. 1. 8.
No. 13

2020. 1. 22.
No. 14

2020. 2. 5.
No. 15

2020. 2. 19.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 반도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테넷 뮬란
파일:OGT16.jpg 파일:OGT17.jpg 파일:OGT18.jpg 파일:OGT19.jpg 파일:OGT20.jpg
No. 16

2020. 6. 17.
No. 17

2020. 7. 15.
No. 18

2020. 8. 5.
No. 19

2020. 8. 26.
No. 20

2020. 9. 17.
원더우먼 1984 소울 톰과 제리 미나리 자산어보
파일:OGT21.jpg 파일:OGT22.jpg 파일:OGT23.jpg 파일:OGT24.jpg 파일:OGT25.jpg
No. 21

2020. 12. 23.
No. 22

2021. 1. 20.
No. 23

2021. 2. 24.
No. 24

2021. 3. 3.
No. 25

2021. 3. 31.
}}}}}}
⠀[ No. 26-50 ]⠀
||<width=20%><bgcolor=#1C8195> 서복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크루엘라 루카 인 더 하이츠
파일:OGT26.jpg 파일:OGT27.jpg 파일:OGT28.jpg 파일:OGT29.jpg 파일:OGT30.jpg
No. 26

2021. 4. 15.
No. 27

2021. 5. 19.
No. 28

2021. 5. 26.
No. 29

2021. 6. 17.
No. 30

2021. 6. 30.
블랙 위도우 정글 크루즈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 프리 가이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파일:OGT31.jpg 파일:OGT32.jpg 파일:OGT33.jpg 파일:OGT34.jpg 파일:OGT35.jpg
No. 31

2021. 7. 14.
No. 32

2021. 7. 28.
No. 33

2021. 8. 4.
No. 34

2021. 8. 11.
No. 35

2021. 9. 1.
007 노 타임 투 다이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고장난 론 이터널스
파일:OGT36.jpg 파일:OGT37.jpg 파일:OGT38.jpg 파일:OGT39.jpg 파일:OGT40.jpg
No. 36

2021. 9. 29.
No. 37

2021. 10. 13.
No. 38

2021. 10. 20.
No. 39

2021. 10. 27.
No. 40

2021. 11. 10.
유체이탈자 리슨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파일:OGT41.jpg 파일:OGT42.jpg 파일:OGT43.jpg 파일:OGT44.jpg 파일:OGT45.jpg
No. 41

2021. 11. 24.
No. 42

2021. 12. 9.
No. 43

2021. 12. 15.
No. 44

2021. 12. 22.
No. 45

2022. 1. 12.
킹메이커 나일 강의 죽음 더 배트맨 모비우스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파일:OGT46.jpg 파일:OGT47.jpg 파일:OGT48.jpg 파일:OGT49.jpg 파일:OGT50-1.jpg
No. 46

2022. 1. 26.
No. 47

2022. 2. 9.
No. 48

2022. 3. 1.
No. 49

2022. 3. 30.
No. 50

2022. 4. 13.
⠀[ No. 51-75 ]⠀
||<width=20%><bgcolor=#000300>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범죄도시2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버즈 라이트이어 탑건: 매버릭
파일:OGT51.jpg 파일:OGT52.jpg 파일:OGT53.jpg 파일:OGT54.jpg 파일:OGT55.jpg
No. 51

2022. 5. 11.
No. 52

2022. 5. 18.
No. 53

2022. 6. 1.
No. 54

2022. 6. 15.
No. 55

2022. 6. 25.
헤어질 결심 토르: 러브 앤 썬더 미니언즈 2 비상선언 헌트
파일:OGT56.jpg 파일:OGT57.jpg 파일:OGT58.jpg 파일:OGT59.jpg 파일:OGT60.jpg
No. 56

2022. 6. 29.
No. 57

2022. 7. 13.
No. 58

2022. 7. 20.
No. 59

2022. 8. 3.
No. 60

2022. 8. 10.
오펀: 천사의 탄생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블랙 아담 원피스 필름 레드 아바타: 물의 길
파일:OGT61.jpg 파일:OGT62.jpg 파일:OGT63.jpg 파일:OGT64.jpg 파일:OGT65.jpg
No. 61

2022. 10. 12.
No. 62

2022. 10. 15.
No. 63

2022. 10. 19.
No. 64

2022. 11. 30.
No. 65

2022. 12. 21.
더 퍼스트 슬램덩크 교섭 바빌론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대외비
파일:OGT66.jpg 파일:OGT67.jpg 파일:OGT68.jpg 파일:OGT69.jpg 파일:OGT70.jpg
No. 66

2023. 1. 4.
No. 67

2023. 1. 18.
No. 68

2023. 2. 1.
No. 69

2023. 2. 15.
No. 70

2023. 3. 1.
스즈메의 문단속 샤잠! 신들의 분노 에어 존 윅 4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파일:OGT71.jpg 파일:OGT72.jpg 파일:OGT73.jpg 파일:OGT74.jpg 파일:OGT75.jpg
No. 71

2023. 3. 8.
No. 72

2023. 3. 15.
No. 73

2023. 4. 5.
No. 74

2023. 4. 12.
No. 75

2023. 4. 26.
⠀[ No. 76-100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2D543D> 드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슬픔의 삼각형 인어공주 범죄도시3
파일:OGT76.jpg 파일:OGT77.jpg 파일:OGT78.jpg 파일:OGT79.jpg 파일:OGT80.jpg
No. 76

2023. 4. 29.
No. 77

2023. 5. 3.
No. 78

2023. 5. 17.
No. 79

2023. 5. 24.
No. 80

2023. 5. 31.
플래시 엘리멘탈 보 이즈 어프레이드 바비 밀수
파일:OGT81.jpg 파일:OGT82.jpg 파일:OGT83.jpg 파일:OGT84.jpg 파일:OGT85.jpg
No. 81

2023. 6. 14.
No. 82

2023. 6. 21.
No. 83

2023. 7. 5.
No. 84

2023. 7. 19.
No. 85

2023. 7. 26.
콘크리트 유토피아 오펜하이머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 크리에이터 화란
파일:OGT86.jpg 파일:OGT87.jpg 파일:OGT88.jpg 파일:OGT89.jpg 파일:OGT90.jpg
No. 86

2023. 8. 9.
No. 87

2023. 8. 15.
No. 88

2023. 9. 13.
No. 89

2023. 10. 4.
No. 90

2023. 10. 11.
블루 자이언트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더 마블스 서울의 봄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파일:OGT91.jpg 파일:OGT92.jpg 파일:OGT93.jpg 파일:OGT94.jpg 파일:OGT95.jpg
No. 91

2023. 10. 18.
No. 92

2023. 10. 25.
No. 93

2023. 11. 8.
No. 94

2023. 11. 22.
No. 95

2023. 12. 20.
노량: 죽음의 바다 류이치 사카모토: 오퍼스 위시 도그맨 웡카
파일:OGT96.jpg 파일:OGT97.jpg 파일:OGT98.jpg 파일:OGT99.jpg 파일:OGT100.jpg
No. 96

2023. 12. 23.
No. 97

2023. 12. 27.
No. 98

2024. 1. 3.
No. 99

2024. 1. 24.
No. 100

2024. 1. 31.
⠀[ No. 101-125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F5D34B> 우견니
파묘 듄: 파트 2 가여운 것들 메이 디셈버
파일:OGT101.jpg 파일:OGT102.jpg 파일:OGT103.jpg 파일:OGT104.jpg 파일:OGT105.jpg
No. 101

2024. 2. 14.
No. 102

2024. 2. 22.
No. 103

2024. 2. 28.
No. 104

2024. 3. 6.
No. 105

2024. 3. 13.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 쿵푸팬더4 골드핑거 범죄도시4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파일:OGT106.jpg 파일:OGT107.jpg 파일:OGT108.jpg 파일:OGT109.jpg 파일:OGT110.jpg
No. 106

2024. 3. 20.
No. 107

2024. 4. 10.
No. 108

2024. 4. 13.
No. 109

2024. 4. 24.
No. 110

2024. 5. 22.
드림 시나리오 존 오브 인터레스트 인사이드 아웃 2
파일:OGT111.jpg 파일:OGT112.jpg 파일:OGT113.jpg
No. 111

2024. 5. 29.
No. 112

2024. 6. 5.
No. 113

2024. 6. 12.
⠀[  Re.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EAC900> 라라랜드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위플래쉬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파일:OGTR1.jpg 파일:OGTR2.jpg 파일:OGTR3.jpg 파일:OGTR4-1.jpg 파일:OGTR4-2.jpg
Re. 1

2020. 3. 25.
Re. 2

2020. 6. 11.
Re. 3

2020. 10. 28.
Re. 4

2021. 3. 11.
Re. 4

2021. 3. 18.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러빙 빈센트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너의 이름은.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파일:OGTR4-3.jpg 파일:OGTR5.jpg 파일:OGTR6-1.jpg 파일:OGTR7.jpg 파일:OGTR8-1.jpg
Re. 4

2021. 3. 18.
Re. 5

2021. 3. 17.
Re. 6

2021. 5. 5.
Re. 7

2021. 9. 9.
Re. 8

2021. 9. 15.
그래비티 호빗 3부작 화양연화 중경삼림 사랑은 비를 타고
파일:OGTR9.jpg 파일:OGTR10.jpg 파일:OGTR11.jpg 파일:OGTR12.jpg 파일:OGTR13.jpg
Re. 9

2021. 10. 6.
Re. 10

2021. 11. 18.
Re. 11

2022. 2. 24.
Re. 12

2022. 4. 20.
Re. 13

2022. 9. 21.
브이 포 벤데타 타이타닉 해피 투게더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샤이닝
파일:OGTR14.jpg 파일:OGTR15.jpg 파일:OGTR16.jpg 파일:OGTR17.jpg 파일:OGTR18.jpg
Re. 14

2022. 11. 2.
Re. 15

2023. 2. 8.
Re. 16

2023. 4. 1.
Re. 17

2023. 5. 27.
Re. 18

2023. 6. 28.
오즈의 마법사 다크 나이트 겨울왕국 헤드윅 패왕별희
파일:OGTR19.jpg 파일:OGTR20.jpg 파일:OGTR21.jpg 파일:OGTR22.jpg 파일:OGTR23.jpg
Re. 19

2023. 9. 9.
Re. 20

2023. 11. 15.
Re. 21

2023. 11. 30.
Re. 22

2023. 12. 6.
Re. 23

2024. 3. 27.
쇼생크 탈출 코코
파일:OGTR24.jpg 파일:OGTR25.jpg
Re. 24

2024. 5. 8.
Re. 25

2024. 5. 30.
⠀[  Special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7B608D> 브링 더 소울: 더 무비
겨울왕국 2: 싱어롱 기생충: 흑백판 알라딘 메가박스 20주년 기념 골든 티켓
파일:OGTS1.jpg 파일:OGTS2.jpg 파일:OGTS3.jpg 파일:OGTS4.jpg 파일:OGTS5.jpg
Sp. 1

2019. 8. 7.
Sp. 2

2019. 12. 14.
Sp. 3

2020. 4. 29.
Sp. 4

2020. 7. 23.
Sp. 5

2020. 8. 6.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자우림, 더 원더랜드 마이 샤이니 월드
파일:OGTS6.jpg 파일:OGTS6-2.jpg 파일:OGTS7.jpg 파일:OGTS8.jpg
Sp. 6

2021. 1. 27.
Sp. 6

2021. 6. 16.
Sp. 7

2023. 6. 10.
Sp. 8

2023. 11. 10.
}}}||
{{{#!wiki style="margin:-12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d0d0d> <tablebgcolor=#0d0d0d>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연구 업적 및 프로젝트 <colcolor=#000,#fff> 양자역학( 보른-오펜하이머 근사)
맨해튼 계획( 트리니티 실험)
천체물리학( 스나이더-오펜하이머 모형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생애 생애
소속 하버드 대학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컬리지) · 괴팅겐 대학교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UC 버클리 ·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관련 인물 루이스 스트로스 · 레슬리 그로브스 · 리처드 파인만 · 존 폰 노이만 · 엔리코 페르미 · 클라우스 푹스 · 에드워드 텔러 · 한스 베테 · 닐스 보어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패트릭 블래킷
기타 매체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 오펜하이머(영화)( 바벤하이머)
}}}}}}}}} ||



[1] 원제: American Prometheus: The Triumph and Tragedy of J. Robert Oppenheimer. [2] 현재 DC 확장 유니버스 영화들의 제작자. 놀란과는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의 프로듀서를 맡기도 했다. [3] 57일간. 3시간짜리 영화를 두 달도 안돼서 촬영 종료했다는 것이다. # [4] GT Laser에서만 1.43:1로 확장된다. CoLa와 XT Laser는 최대 1.90:1까지만 확장된다. [5] 전세계 30개 극장에서 필름으로 개봉. [6] IMAX사와 유니버설 픽처스가 개봉 주부터 3주 동안 오펜하이머의 북미 IMAX 독점 상영 계약을 맺어 개봉 후 첫 3주간 IMAX관에는 오펜하이머만 독점 상영하며, 돌비시네마로는 상영하지 않는다.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돌비시네마로도 상영할 예정이다. [7]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했던 전작 테넷과 달리 이번에는 아예 애트모스 믹싱 없이 돌비 비전만 지원한다. 이러한 이유로 메가박스 홈페이지에 2D Dolby로 등록된 영화 포맷이 2D Vision으로 수정되었다. 참고로 돌비 비전 상영을 지원하는 상영관은 돌비 시네마관이 유일하다. [8] 놀란 감독의 영화 중 러닝타임이 가장 길다. [개별구매] 개별구매로 시청 가능하다. [개별구매] [개별구매] [개별구매] [개별구매] [14] 등급분류 결정내용: 대량살상무기 개발, 전쟁 등의 소재를 다루고 있는 주제를 비롯하여, 신체 노출 장면, 성행위 장면 묘사, 음주 및 흡연 장면 등에서 선정성 및 약물의 수위가 다소 높으나 지속적으로 표현하지 않아 15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 파일:영등위_선정성_2021.svg 파일:영등위_약물_2021.svg )
[15] 다만 놀란 감독은 이 영화를 전기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전기물은 별로 쓸모 있는 장르가 아닙니다. 저는 유용한 장르를 좋아해요. 이 영화는 맨해튼 프로젝트 부분은 하이스트 무비이고 안보 청문회 부분은 법정 드라마입니다." [16] 다만 프레스티지의 북미 배급사는 디즈니 인터스텔라의 북미 배급사는 파라마운트 픽처스다. [17] 수상자는 제니퍼 레임. [18] 여우조연상, 각색상, 미술상, 의상상, 음향상, 분장상 후보. [19] 요구한 조건은 100일 이상의 극장 개봉, 100% 창의적인 재량권, 1억 달러 제작비, 마케팅에 1억 달러 소요, 개봉 첫날부터 흥행 금액의 20% 수입 보장, 자신의 영화 개봉 3주 전 및 개봉 3주 후 다른 영화 개봉하지 않기다. # [20] 도나 랭글리는 놀란과 오래전부터 일하고 싶었다고 섭외하려 시도했다고 밝힌 바 있다. [21] 블랙클랜스맨 같은 포커스 피처스 작품들 배급 및 코로나 시대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같은 블록버스터 작품 흥행 [22] 에밀리 블런트와 킬리언 머피는 콰이어트 플레이스 2에 함께 출연한 바 있다. [23] 게리도 나름 기대작이라 말한다. 한창 영국 첩보물인 슬로 호시스를 촬영 중이라 미국식 발음으로 하는 연기에 이목이 집중될 것. 또한, 은퇴를 고려하고 있어 놀란과의 작품은 이번이 마지막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측이 이뤄지고 있다. [24] operation teapot에서 기폭된 폭탄 들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25] 오크리지 사이트(현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에서 농축된 우라늄이 사용되었다. 영화 중 테네시에서 우라늄 농축에 성공했다고 언급되는 장면이 나온다. [26] 핸포드 사이트(현재 퍼시픽 노스웨스트 국립연구소)에서 농축된 우라늄이 사용되었다. [27] 만약 나가사키에 투하된 핵폭탄이 제대로 폭발하지 않았다면 세간의 웃음거리로 전락하여 가공할 위력을 보여 항복을 받아내고자 하는 의도에 부합하지 않았을 것이다. [28] 본작에 아예 안 나오는 게 아니라, 화구의 모습은 오프닝에만 잠깐 등장하고 트리니티 실험 시퀀스에서는 전혀 묘사되지 않는다. [29] David Hill(1919~2008). [30] Haakon Chevalier(1901~1985). 오펜하이머의 UC 버클리 시절 친분 관계를 유지한 프랑스어과 교수. [31] Ruth Sherman Tolman(1893~1957). 미국의 심리학자. 리처드 톨먼의 부인이다. 1944년부터 1945년 시기에 OSS 소속 임상 심리학자로 근무했다. [32] 사직서에 따르면 "우편 통화 검열, 외부세계로부터의 완벽한 고립은 나를 우울증에 걸리게 만들거 같다."라고 했다. [33] 맨해튼 계획에서 핵무기의 내폭형 방식을 개발한 물리학자. [34] Giovanni Rossi Lomanitz(1921~2002). 맨하탄 계획 참여 과학자. [35] 프랭크 오펜하이머의 부인이자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제수. [36]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멀라키 역으로 알려진 배우 [37] 아미 오브 더 데드에서 금고 전문가 '루트비히 디터' 역을 맡은 독일인 배우. [38] 오펜하이머의 지도교수 [39] 실제 오펜하이머는 계산에서 잔실수를 종종 하는 편이었으나, 개념적 핵심을 재빨리 간파하는 이해력이 뛰어났다. 타고난 천재이지만 실험물리학에 서툴러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방황하던 대학생 오펜하이머가 닐스 보어의 권유로 당시 양자 역학 이론의 중심지로 막 거듭나던 괴팅겐 대학교로 가서 이론물리학 분야의 대가가 될 것을 암시하는 대화이다. [O] 실제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박사를 상징하는 말. [41] 영화에서는 총 두번 나오는데 첫번째는 비교적 전반부, 진 태트록과 둘이 있을 때 산스크리트어 구절을 인용하였을때, 두번째는 훗날 인터뷰에서의 증언처럼 트리니티 실험에서 가젯이 터지는 것을 보며 독백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 구절의 원전은 바가바드 기타이다. [42] 맨해튼 계획에 참가하도록 자신을 설득하는 오펜하이머에게 하는 말. [43] 여기서 삼위일체는 단순히 기독교의 삼위일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므로 오펜하이머가 즐겨읽던 동서양 문학에서 그 기원을 찾아야 한다. 일단 저 문장 자체는 영국 시인 존 던이 쓴 '성스러운 소네트 14'의 첫 구절에서 따왔단 것을 오펜하이머 본인이 밝혔지만, 여기에 바가바드 기타와 같은 산스크리트어 힌두 경전에서 읽은 삼위일체(브라흐마-시바-비슈누)의 이미지 역시 가미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44] 이 말을 듣자마자 트루먼의 얼굴이 급격히 굳어지는데, 싸한 분위기를 읽은 반즈 국무장관이 화제를 돌리려 오펜하이머가 로스앨러모스에 남아 있으면 좋겠다고 대신 트루먼의 뜻을 전한다. [O] [46] 바로 위에 서술된 대사에서 이어지며, 제임스 번즈 국무장관과 트루먼 대통령이 오펜하이머와 백악관에서 독대할 때의 장면에서 트루먼이 오펜하이머에게 한 발언이다. 오펜하이머는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를 더 발전시켜야 한다며 로스 앨러모스에 오펜하이머가 남아있길 원하는 번즈 국무장관의 요청에 "대통령 각하. 내 손에는 ( 히로시마 나가사키의) 피가 묻어있습니다." 라고 대답하자 트루먼 대통령의 표정이 정색하며 오펜하이머를 힐난하는 발언이다. 요지는 "최고 통수권자인 내가 명령을 내려 수만명의 일본인이 원폭 2발에 몰살당한 터에 (겨우) 그거 발명했다고 책임이 너에게 있다고? 난 직접 폭탄투하 명령을 내린 사람이야. 죄책감을 가져도 미군 총사령관인 내가 가지지 일개 과학자 나부랭이가 죄책감 운운하며 징징거릴 게 아니야."라며 오펜하이머를 까는 맥락이다. 오펜하이머의 표정이 굳어지며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나올때 트루먼이 뒤에서 하는 대사는 아예 결정적으로 못을 박아버리는 매우 모진 어록으로도 유명하다. [47] 한편으로는 원자폭탄 개발의 책임자로서 죄책감을 떨치지 못하는 오펜하이머에게 "당신 잘못이 아니니까 제발 그만 자책하라"고 타이르면서, 어떻게든 오펜하이머가 로스 앨러모스를 떠나지 않도록 설득하려 했던 트루먼 나름의 호의였을 수도 있다. 하지만 오펜하이머의 뜻은 변하지 않았고, 트루먼은 자신의 성의가 무시당했다고 느껴 오펜하이머에게 매우 부정적인 태도로 바뀌었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일본과의 전쟁을 조속히 끝내 더 이상의 불필요한 병력 손실을 막겠다는 목적으로 원폭 투하를 명령한 자신의 결단을, 오펜하이머가 무고한 민간인들에 대한 무차별적 학살로 비판한 것처럼 여긴 트루먼의 불쾌감을 나타낸 것일 수도 있다. 상기했듯 결국 이 무기를 사용해 사람을 죽이게 만든 결정권자는 트루먼 자신이었다. 칼을 실제로 휘둘러 사람을 죽이게끔 결정한 건 자기고 고뇌도 죄책감도 훨씬 더 큰데 대장장이에 불과한 오펜하이머가 그러한 태도를 보이는 것에 마음이 상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거기에 트루먼은 성격부터가 원래 과격했으니. [48] 로렌스가 처음 말하는 대사로, 영화 내에서 자주 나온다. 배경지식으로 알아두어야 할 것은 해당 문구는 이론 물리학을 까는 맥락으로 자주 인용된다. 예를 들어 오펜하이머는 우라늄의 분열이 불가능함을 이론적으로 증명하려 했으나 실제로 분열이 가능했다. 그 사실을 깨달은 오펜하이머는 나중에는 자기가 스스로 이 문구를 인용하며 다른 물리학자들의 오류를 지적하는 등 이론가로서는 파격적인 모습을 보인다. 사실 이는 과학자로써 매우 당연한 태도인데, 과학은 실제로 발생하는 현상을 탐구하면서 이론으로 정립하는 과정이지 현실을 이론에 억지로 끼워맞추는 것이 아니다. 현상이 이론과 대치된다면 잘못된 것은 이론이며, 이론에 매몰되어서 이론에 반하는 실험 결과나 현상을 배척하는 것은 병적 과학에 불과하다. 하지만 과학자들도 사람인지라 평생동안 연구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순순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인지부조화에 빠져 흑화하는 경우도 많은데, 반대로 이러한 한계를 스스로 자각하고 더 훌륭한 이론을 만들어 자신의 한계를 깨고 성장한 과학자들이 더 큰 업적을 이룬 경우가 많다. [49] 이 말을 한 스트로스는 분명히 오펜하이머가 핵폭탄을 개발해 낸 것에 대해 적어도 죄책감은 가지고 있었던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스트로스는 자신이 오펜하이머를 파멸에 이끄는 주도적 역할을 했으면서 오히려 오펜하이머가 몰락함으로서 순교자가 되었다는 어처구니 없는 자기변명과 함께 자신을 오펜하이머와 동급의 존재로 생각하는 과대망상을 하는 것도 분명히 관객들에게 알려준다. [50] 텔러가 '더 큰 폭탄'인 수소폭탄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이는 자기실현적 예언이라고 할 수 있다. [51] 1945년 8월 6일 [52] 극장상영 자막판에서는 "일본은 혼이 좀 났겠죠?"라는 직설적인 대사로 번역되었다. [53] 당시 히로시마 원폭 투하 사실이 발표 된 후 로스 앨러모스 연구원들이 모인 강당해서 실제로 오펜하이머가 한 연설중 일부라고 한다. 그런데 당시. 로스 앨러모스 내에서의 분위기는 확실히 갈렸다고 하는데 군인들과 일부 과학자들은 밤새도록 술자리를 열어 파티를 즐길려고 한 반면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침착하고 차분한 분위기였다. 이 분위기는 티니안 기지에 파견나가 있던 로스 앨러모스 소속 과학자들도 마찬가지였다. 과학자들은 대부분 이 폭탄이 현실 세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이론적으로만 느낀 것을 실제 세계에서 분명히 확인한 것이다. 대사만 보면 평범한 연설 장면처럼 보이겠지만, 실제 영화에서는 오펜하이머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어 한 여자의 끔찍한 비명소리와 함께 연구원들의 환호 소리가 싹 소거되고, 오펜하이머 뒤의 벽이 우르르 떨리며, 눈부신 큰 섬광과 함께 앞줄의 연구원의 얼굴 피부가 벗겨나가고, 그런 다음 모든 연구원이 잿더미가 된 것처럼 사라져버리는 일종의 환상을 경험하는 연출이 들어갔다. 그리고 강당에서 빠져나오던 오펜하이머가 불에 타버린 시체를 밟고 있는 연출, 환호성 속에 우는 여인, 기뻐하던 연인이 슬퍼하는 모습, 일본 소식에 구토하는 연구원을 차례대로 보여주며 이러한 놀란식의 공포 연출이 정점을 찍는다. 참고로 피부가 벗겨지는 여인을 연기한 배우는 놀란 감독의 딸이다. 놀란 감독은 인디펜던스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딸이 굳이 이런 장면을 연기하도록 한 것에 대해, 그 요점은 만일 누군가가 핵폭탄과 같은 궁극의 파괴력을 창조했을 경우 그것은 무엇보다 그 사람에게 가장 가깝고 소중한 사람들도 파괴할 것이라는 점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54] 이 장면의 대사는 각본에 없던 애드리브로, 놀란이 현장에서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고 한다. # [55] 당시 전쟁부(지금의 국방부) 장관이었는데, 교토를 원폭 투하지에서 배제한 것은 그의 의견이 컸다. 그가 밝힌 사유는 이 대사에서도 나와있듯이 일본 문화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이를 파괴한다면 일본인의 극렬한 반감을 사서 전후 처리 및 협정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것이었다. 영화에서 언급된 아내와의 신혼여행지 관련은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야사이지만 세간에서는 거의 정설 급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에서 이를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56] 이때는 키티 오펜하이머가 아니라 키티 해리슨이었다. [57] 1939년에 블랙홀의 존재를 수학적으로 예견한 '연속적 중력 수축에 관해(On Continued Gravitational Contraction)'라는 논문을 발표했으나, 당시에는 과학계에서 무시당했고 오펜하이머도 아이디어만 제시하고 그 이상 블랙홀에 대해 연구하지는 않았다. 이 대사는 놀란 감독 본인의 작품 인터스텔라에 대한 레퍼런스 또는 이스터에그이기도 하다. [58] 이후 블랙홀 논문이 나왔다면서 축하하는 장면이 있는데, 듀나가 당시엔 블랙홀이라는 단어가 아직 없었다고 정정했다. [59] 미국에서는 옛날 독립전쟁 시절에 독립주의자들이 독립에 반대하는 친영파들을 붙잡아다 타르를 붓고 깃털로 뒤덮는 린칭을 가하곤 했다. [60] 침대보를 걷으라는 말과 대비되는 후반부의 대사. 극중에서 침대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침대보를 걷으라는 말이 '영웅으로 부상한 오펜하이머'를 상징하는 대사라면, 침대보를 걷지말라는 말은 '간첩으로 몰려 몰락한 오펜하이머'를 상징한다. [61] 사실 그로브스는 맨해튼 계획을 맡지 않았더라도 어차피 펜타곤 건설의 공로로 준장 진급 최우선 후보자였다. [62] 그로브스의 기분 나쁘기까지 한 비아냥조의 질문에 기지로 받아친 오펜하이머의 대답으로 그로브스는 오펜하이머가 "보통 내기가 아니구나" 하고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된다. 또한 그로브스가 그때까지 가지고 있었던 현실적 문제점들 - 미 국내에 흩어져 있는 여러 연구소들에게 어떻게 원자폭탄 개발이라는 단일 목표를 부여하고 이를 실현해 낼 것인가? - 에 대한 해결책을 그 자리에서 명쾌하게 제시해 주는 오펜하이머에게 깊은 인상을 받는다. 그러나 영화와는 달리 실재 레슬리 그로브스는 이미 오펜하이머를 만나기 이전 오펜하이머를 연구 총책임자로 내정해 두고 있었지만 실제 만남을 통해 더욱 확고하게 확신이 들었다고 한다. [63] 실제로 맨해튼 계획을 위해 명예 장교가 된 오펜하이머는 미군의 규율에 따라 처음에는 장교복만 입었고 스스로도 그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라비는 그에게 그것이 '멍청한 짓'이며 아무리 전시에도 과학자들은 군대의 영향을 받지 말아야 한다고 일깨워주었던 것이다. [64] 영화에서 오펜하이머가 친구 라비의 이 조언을 받아들이고 군복에서 다시 양복에 중절모 차림으로 갈아입는 장면이 연출되는데, 이 차림이 로스 앨러모스 시절 오펜하이머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이미지가 됐다. 또한 오펜하이머의 권한으로 연구소 내 과학자들은 실제 실험을 제외하고 평상시에는 민간인복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 [65] 핵폭발시 대기까지 연소될 수 있다는 텔러의 계산으로 아인슈타인을 찾아간 후, 다시 연구소에 복귀했을때 한스 베테가 텔러의 계산처럼 될 확률은 거의 0라고 말한 부분과 이어진다. [66] 트리니티 실험에 쓰일 원자폭탄의 위력에 대한 질문이다. [67] 핵무기의 위력이 충분히 강해서 미래에는 사람들이 기존의 재래식 전쟁을 아예 생각할 수도 없고 단념시킬 정도인가라는 뜻이다. 이 표현은 1차대전 개전 직후 허버트 조지 웰즈가 낸 동명의 책의 제목에서 유래된 표현인데, 공교롭게도 산업혁명 벨 에포크 끝에 벌어진 제1차 세계 대전모든 전쟁을 끝낼 전쟁(The war to end war, The war to end all wars)으로 각광되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우리 대다수가 알고 있듯이 이 모든 전쟁을 끝낼 전쟁 이후로도 전쟁은 사라지지 않았고, 20년 뒤는 더 비극적인 후편으로 돌아왔으며, 영화가 개봉된 2023년에도 이어진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진 핵무기로도 재래식 전쟁은 사라지지 않았고, 냉전 형태로 반세기 지구를 얼어붙게 했으며, 되려 핵무기는 더욱 확산되어 또 다른 전쟁 위기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를 알고 있는 21세기의 현대인들이 보면 기시감이 느껴질 것이다. 실제로, 모든 전쟁을 끝낸다는 이 표현은 지금은 부정적이자 냉소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68] 핵무기 경쟁을 사전에 막기 위해 정치인들을 설득하고 이해시키겠다는 뜻 [69] 오펜하이머는 루스벨트가 펼친 뉴딜 정책의 열렬한 지지자였고, 본인을 뉴딜연합이라 말할 정도로 진보주의, 세계주의적 믿음이 있었다. 원자폭탄이 촉발할 핵개발 경쟁 시대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선 소련까지 참여한 세계 과학 공동체를 통해 원자력 사용에 대한 국제 통제 체제를 만들어야 하며, 유엔 창설을 추진하던 루스벨트도 이 점을 이해하고 있었다고 믿었다. 다만 이는 오펜하이머와 닐스 보어의 기대에 가까운 믿음이었고, 루스벨트는 히틀러가 사망하기 직전에 먼저 세상을 떠난다. 다만 안타깝게도 오펜하이머가 생각한 유엔은 냉전기 내내 별 힘을 쓰지 못했다. 회원국의 상당수를 점하던 공산국가들과 더불어 이들의 종주국인 소련의 핵무기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 때문에 냉전 동안 유엔은 미국과 소련의 총성 없는 전장일 뿐이었고 군축을 통한 핵무기 통제 체제는 냉전 말기에 이르러서야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레이건-고르바초프 정상회담을 통해 그 모습을 갖췄다. 이마저도 2010년대 후반 및 2020년대 들어 트럼프의 집권과 서방과 러시아 관계 악화, 그리고 중국의 성장으로 인해 무너졌다. [70] 아인슈타인과 함께 루즈벨트에 서한을 보내어 맨해튼 계획을 창설시킨 인물이지만, 독일의 항복 이후에는 원자폭탄이 일본에 사용되는 것을 막으려 노력했고 오펜하이머를 설득하려 했으나 무시당했다. 실라르드는 일단 원자폭탄이 일본에 사용되는 순간 미국과 소련의 핵무기 경쟁은 불가피하다고 여겼다. [71] 핵무기를 만드는 것을 '돌을 드는 것'에, 그리고 그 이후의 발생할 수 있는 핵 군비 경쟁과 같은 문제점을 '드러나는 뱀'에 비유한 것이다. [72] 실제로 오펜하이머가 당시 친구에게 했던 말로, 영화에서는 아인슈타인에게 하는 대사로 각색했다. 친구의 말에 의하면 당시 오펜하이머는 눈물을 글썽이며 말했다고 한다. [73] 먼저 수소폭탄을 만드는 순간 [74] 처음엔 대기가 연소되는 핵분열 연쇄파괴 가능성을 걱정한 말이었지만, 상호확증파괴 원칙에 따른 핵전쟁으로 인한 인류멸망의 가능성을 우려하는 영화의 마지막 대사.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80] 제76회 미국 감독 조합상. [81] 킬리언 머피 배우는 아쉽게 크리틱스 초이스를 수상하지 못했다. [국문] [83]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박권 교수의 해설집이 별책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안될과학의 멤버 궤도와 영화 평론가 이동진이 추천사를 썼다. [84] 2023년 8월 초 예약판매를 시작했다. [85] 1991년에 개봉한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도 핵폭발 묘사 장면을 아날로그적인 방법으로 연출했다. 미니어처 모형을 만들고 강풍을 동반하여 모조리 불태워 날려버는 것. 사라 코너가 불에 타는 장면은 뼈대까지 심어놓은, 담당 배우인 린다 해밀턴을 본뜬 모형을 이용한 것이다. 핵무기의 위력을 표기할 때 쓰는 kt은 같은 무게의 TNT를 기준으로 한다. 실제 트리니티 실험에서의 핵무기가 18.6kt이었으므로 18,600t의 TNT를 동시에 폭발시킨다면 비슷한 위력을 낼 수 있는 것. 다만 영화 오프닝에 나오는 화구의 모습은 미니어처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영화 본편에서의 핵폭발의 화염은 핵무기의 폭발과는 동떨어진 가솔린을 이용한 화염이다. [86] 놀란도 이를 각별하게 생각하는지 킬리언 머피가 자신의 각본집을 보여주는 영상에서 각본 표지에 '마침내 당신이 주연하는 작품을 보게 되다니'라며 감격하는, 놀란이 직접 자필로 쓴 문구가 공개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87] 오펜하이머의 부인인 키티도 엄연히 관여했던 생물학자였고, 내연녀였던 진은 정신과의사였다. 대부분의 서사를 오펜하이머에게 관련시키기 위해 설정을 배제시킨 의도가 보이는 부분. [88] 참고로 하하가 이 책을 고른 이유는 가장 두껍고 가장 비쌀 거 같아서였다. [89] 첫 번째는 6월 6일에 개봉한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두 번째는 7월 25일에 개봉한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90]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91] 영화관들이 의무적으로 일정 기간동안은 국산 영화만을 상영해야 하는데, 오펜하이머가 필수적으로 걸려야 할 IMAX 상영관들도 이 스크린 쿼터제를 지켜야 한다. 그렇기에 7월부터 8월 사이에는 국산 영화들만이 아이맥스관에 올라간다. 그렇지 않으면 한 해 마지막 대목인 연말에 개봉할 아이맥스 전용 영화들을 아이맥스 상영관에 못 올리는 사태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 # [92] 놀란 감독은 제작 전 유니버설 픽처스에 R등급으로 촬영할 거라고 미리 고지했다. [93]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진 태틀록이 정사를 나누던 도중에 일을 멈추고, 태틀록이 책장에서 힌두교 경전인 바가바드 기타를 집어들고 오펜하이머한테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도다."라는 구절을 읊게 한다. 정사 장면 도중에 자신들 경전의 구절이 나왔으니, 힌두교도에게는 신성모독일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해당 문구는 트리니티 실험으로 인한 핵폭발 직후에도 한번 다시 언급되는데, 곱씹어보면 영화 내적으로는 나름 죄책감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두 장면이 연결되는 문구기도 하다. [94] 하지만 객관적으로 보자면 미국은 일본에 먼저 진주만 공습 치치지마 식인 사건으로 선제공격을 받았고 이후에 미국이 승기를 잡아 항복을 권했는데 일본 제국은 항복을 거절을 해 전쟁이 길어져 빨리 끝내려고 했으며 일본 주민들 역시 자기 나라가 전쟁으로 미쳐가고 타국을 수탈하고 그것에 살고 있는 주민들을 학살하는 것에 항의도 없었고 국가 체급으로는 이길 수 없는 미국에 선제공격을 한 일본을 막지 않았으므로 주민들 역시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없다 [95] 드라이브 마이 카(영화)의 일본 배급사이자 한국 영화 기생충의 일본 수입사이다. [96] 이 영화의 음향 감독인 랜디 쏨과 톰 존슨은 ADR 기술 효과를 가지고 아카데미 음향상까지 받았다. [97] 트리니티 실험 장면에 등장하는 구를 둘러싼 껍질 조각 모양의 물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