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08:29:21

원더랜드(영화)

파일:Semi_protect3.svg   이 문서를 편집한 기록이 있어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9년 애니메이션 영화에 대한 내용은 원더랜드(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태용 감독 장편 연출 작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1999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로고.png 파일:2006 가족의 탄생 로고.png 파일:2011 만추 로고.png
파일:2024 원더랜드 로고.png }}}}}}}}}

<colcolor=#fff> 원더랜드 (2024)
WONDERLAND
파일:원더랜드(영화) 메인 포스터.jpg
장르 SF, 로맨스, 드라마
감독 김태용
각본 김태용, 민예지
기획
제작 오정완, 박관수
촬영
조명
미술
음악
음향
의상
분장 송종희
편집
출연 탕웨이, 배수지, 박보검, 정유미, 최우식
제작사 영화사 봄 | 기린제작사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촬영 기간 2020년 4월 10일 ~ 2021년 5월 14일[1]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6월 5일
화면비
상영 시간 113분 (1시간 53분 15초)
제작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94,777명 (2024년 6월 5일 기준)
월드 박스오피스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
6.1. 주요 인물6.2. 주변 인물6.3. 특별출연
7. 줄거리8. 평가
8.1. 평론가 평
9. 흥행10. 기타
10.1. 배우 관련
11. 관련 문서12.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세상을 떠난 가족, 연인과 영상통화로 다시 만나는 이야기
2024년 6월 개봉 예정인 김태용 감독의 네 번째 장편 연출 영화. 캐스팅 단계부터 화려한 라인업으로 화제를 모았다.

2. 개봉 전 정보

  • 김태용 감독이 만추 이후 약 9년 만에 연출하는 상업영화 작품이다.
  • 2024년 3월 22일, 본작의 개봉 시기가 6월로 확정되었다. #

3. 포스터

파일:원더랜드(영화) 시나리오 표지.jpg
파일:원더랜드(영화) 메인 포스터.jpg
시나리오 표지 메인 포스터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원더랜드(영화) 캐릭터 포스터 바이리.jpg
파일:원더랜드(영화) 캐릭터 포스터 정인.jpg
파일:원더랜드(영화) 캐릭터 포스터 태주.jpg
파일:원더랜드(영화) 캐릭터 포스터 해리.jpg
파일:원더랜드(영화) 캐릭터 포스터 현수.jpg
캐릭터 포스터 }}}

4. 예고편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
캐릭터 설계도 영상

5. 시놉시스

누구나 마주해야만 하는 영원한 이별의 순간, 일상의 모든 빅데이터를 통해 세상을 떠난 사람을 구현해내는 '원더랜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6. 등장인물

6.1. 주요 인물

6.2. 주변 인물

6.3. 특별출연

7.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8.1. 평론가 평

9. 흥행

9.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94,777명, 누적매출액 844,762,867원[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11,902명 11,902명 미집계 101,253,000원 101,253,000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82,875명 -명 1위 743,509,867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 개봉 전
    •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 설계자〉, 〈 그녀가 죽었다〉, 〈 범죄도시4〉 순의 1강 3중 박스오피스 구도가 형성된 때에 개봉한다.
      • 가볍게 보기 좋은 로맨스 장르라는 강점을 발휘하기 용이한 개봉 시기,[4] 이의 연장선으로 2024년 들어 가볍게 보기엔 거리가 있는 장르의 영화가 주로 박스오피스 상위권을 차지해온 극장 상황에[5] 지친 관객들이 가볍게 볼 수 있는 장르의 영화로 시선을 향할 가능성, 폭넓은 출연진의 명성, 작년 개봉한 로맨스 영화 〈 30일〉, 〈 달짝지근해: 7510〉이 손익분기점을 돌파하는 등 좋은 흥행을 기록한 선례 등이 흥행의 요소다.
      • 그러나 한국 내에서 대체적으로 저조한 흥행을 보이는 SF 요소가 섞여 있어 장르의 강점이 희석될 가능성,[6] 로맨스보다는 휴먼 드라마의 성향이 강해 마냥 가볍지만은 않은 장르, 관점에 따라 다소 갈리는 사전 평가, 더욱 가볍게 보기 좋은 장르에 높은 사전 관심도를 보이고 있는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 인사이드 아웃 2〉가 개봉 2주 차에 개봉해 이와 예정된 경쟁과 같은 위험 요소 또한 있다.
    • 개봉일인 6월 5일 수요일 자정을 기준으로 10만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28.6%의 예매율로 예매율 1위를 기록했다.
  • 1주 차
    • 이 주 차의 타 주요 개봉작으로는 〈 나쁜 녀석들: 라이드 오어 다이〉, 〈 명탐정 코난 VS 괴도 키드〉 등이 있다.
    • 예매율 2위에 있는 기존 박스오피스 1위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의 2배를 상회하는 예매율로 보아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할 것이 매우 유력한 가운데, 전술했듯 높은 흥행을 보일 가능성이 큰 〈인사이드 아웃 2〉의 개봉이 예정돼 있어 초기 흥행이 더욱 중요하다. 관건은 개봉 이후의 관람객 평가로, 무난한 사전 관심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관점에 따라 갈리는 사전 평가를 좋은 축으로 끌어내지 못할 경우 〈인사이드 아웃 2〉의 개봉으로 인한 피해가 더욱 크게 와닿을 것이다. 때문에 SF 장르의 한계를 비롯한 위험 요소들을 극복하고자 극 전개 및 출연진의 연기력을 비롯한 호평을 받아내는 것이 이 주 차의 관건으로 여겨진다.
    • 개봉 첫날인 6월 5일 수요일, 8만 2천여 명의 관객을 동원해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박스오피스 2위에 있는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의 일일 관객 수 3만 6천여 명의 2배를 상회하는 일일 관객 수로 보아 한동안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 개봉일 관객 수를 지금까지의 2024년 한국 개봉 영화의 경우와 비교할 경우 약 290만 명의 손익분기점을 돌파하기에는 가능성이 낮게 전망되며,[7] 거기에 관점에 따라 갈렸던 사전 평가가 개봉 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갈리는 평을 받고 있는 것까지 고려하면 더욱 그 가능성이 낮다.

9.2. 중국

9.3. 기타 국가

10. 기타

10.1. 배우 관련

11. 관련 문서

12. 외부 링크



[1] 탕웨이의 추가 촬영 기준 [2] 당초 2020년 3월 크랭크인을 준비 중이었지만, 갑작스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 확산으로 제작에 차질이 생기면서 4월 초로 첫 촬영이 연기됐다. [3]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4] 전술한 네 기존 작품들 〈그녀가 죽었다〉, 〈범죄도시4〉, 〈설계자〉,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의 경우 기본적으로 15세 이상 관람가 등급으로, 미스터리, 범죄, 스릴러, 액션과 같이 가볍게 보기엔 거리가 있는 장르를 갖고 있다. [5] 2024년 한국 개봉 영화 중 유의미한 성과를 거둔 가벼운 장르의 영화는〈 위시〉, 〈 웡카〉, 〈 쿵푸팬더 4〉뿐이며, 2024년 1월 1일서부터 작품 개봉 직전까지의 6월 4일까지 155일 중 저들이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한 기간은 이의 30% 정도인 42일에 해당한다. [6] 예시로 전개 면에서 인공지능 영상통화 소재가 등장하는데, 비슷한 소재를 담았으나 그다지 흥행하지 못한 OTT 드라마〈 욘더〉의 사례가 있다. [7] 이전의 2024년 한국 개봉 영화 중 8만 2천여 명과 비슷한 개봉일 관객 수를 기록한 영화로 9만 4천여 명의 〈 외계+인 2부〉, 7만 5천여 명의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가 꼽힌다. 〈외계+인 2부〉의 경우 143만여 명의 성적을 거뒀고, 상영 중인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의 경우 장기 흥행이 이어지지 않는 이상 100만 명대 중후반 정도의 성적이 예상됨을 고려하면 약 290만 명의 손익분기점을 돌파하기에는 화력이 부족하다. 범위를 조금 넓혀 개봉일이 관객 동원에 유리한 공휴일 또는 문화가 있는 날과 겹쳐 10만 명대 초반의 개봉일 관객 수를 기록한 〈그녀가 죽었다〉, 〈 댓글부대〉, 〈설계자〉와 비교해도 상영 중인 〈그녀가 죽었다〉의 예상 성적 100만 명대 초반이 최고 성적임을 고려하면 역시 화력이 부족하다. [8] 사실 알고 보면 정확히는 다섯 번째로 2013년 tvN 드라마 연애조작단; 시라노 9화에서 짧게 호흡을 맞춘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