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0 16:38:37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전투 크림 최고 라다 점령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친러 미승인국 도네츠크 · 루간스크 · 하리코프 · 오데사
돈바스 전쟁
경과 2014년 (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전선
도네츠크 전선
[첨자1]
아르테미우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포위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마리우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일로바이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데발체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우디이우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반응 조지아 민족군단 · 전술그룹 벨라루스 · 성 스테파노 군단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요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경과 경과 요약 · 침공 이전( 쿠데타 시도)
· 2022년(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전선 및 전투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
동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 하르키우 전투파일:ongo.png · 이지움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스타로빌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파일:ongo.png · 크레민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루비즈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시찬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만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졸로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파스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솔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바흐무트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차시우야르 전투파일:ongo.png · 아우디이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오체레티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피스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크라스노호리우카 전투파일:ongo.png · 마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부흘레다르 전투파일:ongo.png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파일:ongo.png · 마리우폴 포위전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파일:ongo.png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 헤르손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미콜라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드니프로강 공방전파일:ongo.png · 크린키 전투파일:ongo.png · 자포리자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멜리토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베르댠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에네르호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오리히우 전투파일:ongo.png ) · 오데사 상륙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파일:ongo.png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체르니히우 전투 · 체르노빌 전투 · 키이우 전투 ( 호스토멜 공항 전투) · 수미 전투
각지 특수작전 및 전투
[첨자3]
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벨고로드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타간로크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크림 대교 붕괴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 모스크바 공습(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파일:모호 아이콘.svg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파일:모호 아이콘.svg )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항공우주군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엥겔스 비행장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쿠르스크 공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림 대교 2차 붕괴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전쟁범죄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흐로자 공습
경제제재와 영향 영향 · 경과 (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반응
전쟁 당사국 지지

국제기구 · 러시아 지지 · 우크라이나 지지 ( 유럽 · 아시아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중립
상징

Z · 백청백기 · 백록백기
인터넷 밈

키이우의 유령 · 테크노 하우스 전투 · 아조우짱 · 성 재블린
의용군

우크라이나 국제군단( 자유 러시아 군단)· 워스태시 · 카이사르 · 데니스 카푸스틴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그룹( 바그너 그룹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입) · 모차르트 그룹 · 상트 안드레이 십자가 · 애국자
무기 지원

무기대여법(렌드리스) · 푸틴을 위한 선물 ( 빅토르 방공시스템) · 우크라이나 민간 스타트업( 트렘비타)
러시아의 대응 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헤르손 인민공화국 ·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 군민정청( 헤르손[A] · 자포로지예[A] · 하리코프[B] · 니콜라예프[B]) ·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 바그너 선
사건 사고 64km 돈좌 · 러시아 재벌 의문사 사건 · 데니스 키리예우 처형 사건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 · 2022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사건 ·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공습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암살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 경과) ·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 · 2024년 러시아 Il-76 추락 사고 · 막심 쿠즈미노프 피살 사건
기타 알렉산드르 두긴 · 이고르 기르킨 ·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 크림 공화국 · 2022년 나토 마드리드 정상회의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탈나치화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 UEFA 유로 2024/예선( C조) · Ukraine War Stories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전쟁의 현재 진행 상황은 경과/24년 3월 문서의 오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첨자1]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러시아군/친러반군의 승리 [첨자2] 파일:ongo.png : 진행중,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러시아군의 승리, ▣: 무승부 [첨자3]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군의 공격, 파일:모호 아이콘.svg : 공격주체 미상, 그 외 각주 참조 [BLR] 벨라루스 파르티잔 공격 [A]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 러시아 연방에 편입된 군민정청 [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당시 독립적인 주로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지 않은 군민정청 [B]
}}}}}}}}}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
Бої за Сіверський Донець[우]
Бои за Северский Донец[러]
Battle of Siverskyi Donets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5월 2일 ~ 5월 10일
공격을 당한 지역 일대 좌표
파일: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1).jpg
파일: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2).webp
파괴되고 침수된 러시아군 기갑장비와 부교
교전국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병력
파일:우크라이나군 엠블럼.svg 우크라이나군
파일:우크라이나 육군기.svg 우크라이나 육군
파일:제17전차여단 엠블럼.svg 제17전차여단
파일:제30기계화여단 엠블럼.svg 제30기계화여단
파일:우크라이나 공수군 엠블럼.svg 우크라이나 공수군
파일:우크라이나 공수군 엠블럼.svg 제80 공중강습여단
총 인원 불명
파일:러시아 연방군기.svg 러시아 연방군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러시아 육군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제41제병합동군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제74차량화소총병여단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제90근위전차사단
총 인원 불명
피해규모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수 대의 장비 손실
파일:러시아 국기.svg
기갑장비 80대 이상
대대급 병력 손실
(더 타임즈 보도: 1000~1500명 전사 추정 #)
결과
우크라이나군의 승리
영향
러시아군의 리시찬시크 포위 실패

1. 개요2. 경과3. 주요 사건들4. 분석
4.1. 러시아군
4.1.1. 러시아군의 조급함4.1.2. 비효율적인 병력 운용
4.2. 우크라이나군
4.2.1. 철저한 정찰 및 관측4.2.2. 병력의 효율적인 유기적 운용
5. 작전 참가자의 증언6. 관련 자료

[clearfix]

1. 개요

2022년 5월 2일부터 2022년 5월 10일 경까지 러시아 육군 제90근위전차사단이 시베르스키도네츠강에서 도하 작전 중 벌어진 전투이다.

도하 작전은 매우 치밀하게 해야하는 종류의 작전이다. 그런데 러시아군은 주변 정찰도 제대로 하지 않고 무작정 도하하려 한 반면, 우크라이나군은 이미 며칠 전부터 도하가 준비되는 정황을 파악하고 도하가 가장 쉬울 만한 곳을 사전 정찰하여 포격 좌표를 산출한 뒤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그리고 예상대로 러시아군이 도하하는 타이밍을 맞춰 공격해서 승리하게 된다.

우크라이나군은 목표 좌표를 포병 자산과 손쉽게 공유해서 화력지원 요청을 돕는 앱인 GIS 아르타(Arta)를 이용해서 공격했다고 한다. #

한쪽에서 밀어내지 않는 한 이 전선은 강변을 중심으로 고착화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세베르도네츠크-리시찬스크 전투의 결과로 러시아군이 승리하면서 그 후로 전투가 벌어진 해당지역은 러시아의 점령하에 있었고, 우크라이나의 가을 공세로 다시 우크라이나 영토로 탈환되었다.

2. 경과

파일:1652523226.jpg
대략적인 이 전투의 경과는 다음과 같다.
  • 1 - 5월 2일 러시아군 병력이 슈필리우카 교량을 통해 시베르스키도네츠 강을 건너 진격 시도.
  • 2 - 3일까지 국지적인 전투가 프리빌랴, 빌로호리우카 방면에서 벌어짐.
  • 3 - 5월 4일 우크라이나군이 건너 온 러시아군을 격파 후 슈필리우카 교량을 폭파함.
  • 4 - 5월 5일 러시아군이 세레브랸카 교량을 통해 진격을 시도했으나 격퇴됨.
  • 5 - 5월 7-8일 러시아군이 7개 이상의 부교를 투입해 연대 단위의 기갑병력을 도하시키며 전투가 벌어짐
  • 6 - 5월 9-10일 러시아군의 모든 부대 격파. 일부는 후퇴용으로 가설한 부교를 통해 도주하는데 성공했으나 그 부교도 후속 포격으로 파괴되어 전멸.

3. 주요 사건들

  • 5월 7일, 우크라이나군은 정찰을 통해 부교가 어디에 설치될 지를 파악했다. #
  • 5월 8일 러시아군의 도하 작전에 맞춰 공격이 시작되었다.
    • 러시아군은 교란을 위해 들판에 불을 질렀다 #
  • 이 전투 후 반대로 강 너머 루한시크로 향하려는 우크라이나군의 부교를 마찬가지로 공격하여 파괴하는 러시아측의 영상도 공개되었다. #
  • 시베르스키도네츠 강 전투에서 우크라이나군의 정확한 사격에는 미국이 공여한 M777 155mm 곡사포의 활약이 컸던 것으로 밝혀졌다. #

4. 분석

4.1. 러시아군

4.1.1. 러시아군의 조급함

러시아군 수뇌부가 돈바스 방면의 우크라이나군을 포위섬멸하고 루간스크 도네츠크 주의 행정 경계까지 완벽히 점령하기 위해 조급하게 공세를 벌인 것으로 보인다.

4.1.2. 비효율적인 병력 운용

전쟁 초반부터 따져봐야 하는 문제인데, 러시아군은 개전 초부터 우크라이나 전역을 점령하기 위해 키이우 방면, 하르키우 방면, 돈바스 방면, 남부 방면으로 전력을 분산시키는 전략을 취했다 키이우 포위작전 실패를 인정한 뒤 러시아군이 북부전선에서 철수하고, 크림 반도를 지키고 돈바스를 확보하기 위해 동부와 헤르손, 마리우폴이 위치한 남부에 집중하기로 했는데 애초에 처음부터 전력을 돈바스 방면에 더 집중해 도하 작전 시에 강 건너 교두보를 마련하는 식으로 사용했다면, 도하 작전은 훨씬 수월하게 진행되었을 것이다.

4.2. 우크라이나군

4.2.1. 철저한 정찰 및 관측

하술한 우크라이나군 공병의 증언에서 보듯, 우크라이나군은 가용 정보자산을 최대한 활용해 진작에 시베르스키도네츠 강 주변을 샅샅이 정찰하여 러시아군이 도하 작전을 할 만한 장소를 사전에 다 알고 있었다. 이는 우크라이나군에게 대응 계획을 짤 충분한 시간을 제공했다.

4.2.2. 병력의 효율적인 유기적 운용

러시아군이 도하하려는 장소를 확인한 우크라이나군은 아르타를 활용한 신속한 전후방간 연계로 그 곳에 포병 화력을 집중하였고, 타 전력도 이미 장소를 알고 있었기에 빠른 투입이 가능해 유기적인 작전을 펼처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5. 작전 참가자의 증언

이 전투에 큰 역할을 한 우크라이나군 공병대 장교가 트위터에 증언을 남겨 이번 작전이 우크라이나 측의 시점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I am UA military engineering + EOD officer. I have served one turn in Donbas prior to the recent invasion. Recently, I have accomplished a mission which made huge impact on Russian losses and completely screwed up their plans to encircle Lysychansk.

Initially, there was intelligence from frontline units that there are Russians on the other side of the river and they gather various vehicles. So, my commander asked on 6th May me as one of the best military engineers to do engineering reconnaissance on Siverskyi Donets river.

Together with recon units for backup, I went to explore the area of Hryhorivka and Bilohorivka on 7th May. Frontline units in Bilohorivka reported multiple RU vehicles gathering on the other side of the river.

I explored the area and suggested a location where Russians might attempt to mount a pontone bridge to get to the other side. And, used rangefinders to figure out river is 80m wide, thus Russians would need 8 parts (10m each) of the bridge connected to get to the other side.

With that flow of the river, I knew they would need motorized boats to arrange such a bridge, and it would take them at least two hours of work. Took me a day to check everything. And I had to do it on 8th of May as well. So, reported this information I had to my commanders.

Also, I told the unit who observed that part of the river that they need to be on the look out for sound of motor boats. Visibility was shit in the area because Russians put fields & forests on fire, and were throwing a lot of smoke grenades. On top of that, it was foggy.

They had to hear the sound. And they did on May 8th early morning. Right at the place I said. I was there to check it as well - and I have seen with my drone as Russians do the pontonne bridge. Reported immediately to commanders.

Looking back, I think my recon + hints to the river unit made the biggest impact. I outplayed RU mil engineers. Russians attempted to place a bridge RIGHT in the place where I guessed. River unit didn’t see RU units, but was able to hear motor boats and report it immediately.

Artillery was ready. We have been able to confirm Russians mounted 7 parts of the bridge out of 8. Russians have even succeeded to move some troops and vehicles over the river. Combats started.

In ~20 minutes after recon unit confirmed Russian bridge being mounted, HEAVY ARTILLERY engaged against Russian forces, and then aviation chipped in as well. I was still in the area, and I have never seen / heard such heavy combat in my life.
After one day of combats, 9th May morning the bridge was down. Some Russian forces (~30-50 vehicles + infantry) were stuck on Ukrainian side of the river with no way back. They tried to run away using broken bridge. Then they tried to arrange a new bridge.

Then, Aviation started heavy bombing of the area and it destroyed all the remains of Russians there, and other bridge they tried to make. Rumors say it’s ~1500 RU dead. Their strategic objective was to cross the river and then encircle Lysychansk. They miserably failed.

10th May pontonne bridge was completely down. That’s about time when you started to get all the pictures from the area. I was on the ground, doing the work there, alongside with other Ukrainian heroes. I did my part and it had significant impact. Proud to serve Ukraine!
저는 우크라이나군의 공병 및 폭발물처리반 장교입니다. 이번 침공 전에는 돈바스에서 근무한 적이 있었고, 최근에 러시아군의 리시찬시크 포위 계획을 완전히 돈좌시켜 큰 피해를 준 작전을 완수했습니다.

처음에는 강 건너편에 다양한 러시아군 차량들이 모이고 있다는 전선군의 보고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제 지휘관은 5월 6일에 최고의 공병 중 하나로서 저를 꼽아 시베르스키도네츠강으로 보냈습니다.

5월 7일 정찰 병력의 지원과 함께 흐리호리우카와 빌로호리우카 지역을 정찰하기 위해 나섰고, 빌로호리우카의 병력들도 러시아군 차량들이 강 건너에 모이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지역을 정찰한 후 러시아군이 부교를 가설할만한 위치를 예상해 보고했습니다.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 강의 폭이 80m임을 확인한 후, 각 부교의 폭이 10m이니 부교 8개를 띄워야 할 것임을 확인했습니다.

강의 수류를 감안했을 때 부교를 띄우려면 보트를 동원해야 할 것임을 짐작했는데, 그런 작업은 최소한 2시간은 걸릴 것이었습니다. 하루 만에 모든 것을 확인했고, 8일에도 다시 한 번 점검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지휘관에게 이를 보고했습니다.

또한 그 지역을 경계하고 있는 병력에게 보트 엔진 소리에 주의하라고 일러두었습니다. 러시아군이 들판과 숲에 불을 지르고 연막탄을 피운데다, 안개도 끼어 있었기 때문에 시야가 상당히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도착하는지 여부는 소리로 판별해야 했습니다. 8일 아침에 제가 예상했던 바로 그 자리에서 소리가 들려왔다고 합니다. 저도 그 자리에서 사실을 확인했고, 드론을 통해 러시아군이 부교를 가져왔음을 보았습니다. 지휘관에게 이를 즉시 보고했습니다.

지금 다시 돌아보니, 제 정찰과 현지 병력들의 정보가 가장 큰 역할을 한 것 같습니다. 러시아군 공병은 완전히 놀아난 것이었습니다. 제가 예상했던 바로 그 자리에 부교를 설치하기 시작했고, 직접 보지는 못했지만 보트 소리는 들을 수 있었습니다.

포병은 이미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부교 8개 중 7개가 이미 조립되었고 일부 병력은 이미 도하에 성공해 교전이 시작되었습니다.

약 20분 후 다리가 완성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했고, 대규모의 포병 공격이 시작된 뒤 항공 병력도 동참했습니다. 저는 아직 그 지역에 있었고, 그 정도로 격렬한 전투는 평생 겪어 본 적이 없었습니다.

꼬박 하루의 전투가 끝난 뒤 9일 아침, 다리는 파괴되었습니다. 일부 러시아 병력(약 30-50대의 차량+보병)은 우크라이나 방면에 고립되었고, 부서진 부교라도 이용해 퇴각하려고도 했고 새 부교를 가설하려고도 했습니다.

그 뒤 공군이 일대를 맹렬히 폭격했고 남은 러시아 병력과 새 다리를 모두 파괴했습니다. 소문에 따르면 약 1500명의 러시아군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그들의 전술적 목표는 도하 후 리시찬시크를 포위하는 것이었지만 비참하게 실패했습니다.

10일 들어 부교는 완전히 사라졌고, 여러분이 접하는 사진도 이 때쯤 촬영된 것입니다. 저는 그 때에도 현장에 남아 다른 우크라이나 영웅들과 함게 작업 중이었습니다. 저는 제 역할을 다했고, 큰 변화를 주었습니다. 우크라이나를 위해 복무할 수 있어 자랑스럽습니다.

6. 관련 자료


[우] 우크라이나어 [러] 러시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