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1 22:12:38


1. 단어
1.1. 한자어
1.1.1.
1.1.1.1. 위치나 방향을 구분하는 단위1.1.1.2. 조직의 단위1.1.1.3. 행정구역 단위1.1.1.4. 차례를 구분하는 단위1.1.1.5. 출판물을 세는 단위
1.1.2.
1.1.2.1. 관청의 단위1.1.2.2. 행정구역 단위1.1.2.3. 요인(要人)을 보좌하는 기관
1.1.3. 1.1.4. 1.1.5. 1.1.6. 1.1.7. 1.1.8.
1.2. 영어
1.2.1. boo
2. 인명
2.1. 부씨(夫), 한국의 성씨2.2. 가상인물
2.2.1. (Boo), 발더스 게이트 시리즈의 캐릭터2.2.2. , 미스터 부의 주인공2.2.3. 부, 지금, 거기에 있는 나의 등장인물2.2.4. 부, 픽사의 애니메이션 몬스터 주식회사의 등장인물2.2.5. (ブー/Boo), 원피스의 등장인물2.2.6. 이월드 마스코트
3. 고유명사
3.1. Boo, 아이유의 노래

1. 단어

1.1. 한자어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그 외 한자

1.1.1.

하나의 개체나 단체에서 어느 한 부분을 뜻하는 말로, 위치를 나타낼 때에는 대개 동부·서부·남부·북부 등으로 일컬으며, 단체에서 일부 조직을 나타낼 때에는 그 조직의 특성이나 관할 업무를 나타내는 단어 뒤에 붙어 접미사로 쓰인다.
1.1.1.1. 위치나 방향을 구분하는 단위
어느 지점을 기준으로 위치나 방향을 구분하거나, 건물· 지역· 단체 등의 안에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접미사이다. 내부(內部)· 외부(外部)· 상부(上部)· 하부(下部)· 동부(東部)· 서부(西部)· 남부(南部)· 북부(北部)· 중부(中部) 등의 예로 쓰인다.
1.1.1.2. 조직의 단위
조직을 나누는 단위의 하나로, 대개 회사와 같은 업무 조직에서 관할 업무를 기준으로 나누는 식으로 많이 사용된다. 부의 지위는 일반적으로 (課)의 위, (室)의 아래이며, 부를 통솔하는 권한자는 부장(部長)이다. 대학교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단과대학 산하에 학부(學部)가 있고, 학부 밑에 학과(學科)가 있는 식이다.
1.1.1.2.1. 국가행정조직의 단위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대한민국정부 흰색 글자.svg
중앙행정기관의 분류 단위
#s-1.5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대한민국정부 흰색 글자.svg
정부조직체계
대통령 직속
, , , 위원회
국무총리 직속
, , 위원회
중앙정부
특별지방행정기관
지방청, 지청
, 지서 본부, , , , 센터
, , 지소
보조기관
본부, , , , 센터
부속기관
시험연구기관, 교육훈련기관, 문화기관, 의료기관, 제조기관, 자문기관
합의제기관
위원회
하부조직
, , , , 센터,

중앙행정기관의 단위. (ex. 법무부, 국방부, 국토부)

동아시아에서는 본래 (省)의 하부 조직으로 주로 쓰였다. 일본이나 북한은 지금도 성을 쓴다.

영어로는 ministry(英) / department(美)에 대응된다. '처'도 영어로는 'ministry'라고 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부'를 나타내는 영어로 'ministry'를 쓰지만 정부수립 초기에는 미국의 영향으로 'department'를 썼다. 제1공화국 당시 미국의 원조물자를 환영하는 플래카드. '대한민국 농림부'라 쓰인 한자 밑에 'Department of Agriculture, Republic of Korea'라 적혀 있다.(美)
1.1.1.3. 행정구역 단위
전근대 한국에서 수도 행정구역을 나누던 단위로, 부(府)와 발음은 같으나, 수도에 설치하던 행정구역은 한자로 를 쓴다.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조선에서 수도의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하였다. 대개 부 앞에 방위명을 붙여 구분하였으나, 신라의 경우는 각자 고유의 명칭으로 구분하였다.

고구려 오부 신라 6부의 경우는 연맹왕국 시절부터 정치체로 존재하던 부족들이 중앙집권국가로 개편되면서 행정구역으로 정착한 것이다. 이후에 중앙집권국가였던 고려나 조선도 수도를 5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누어 관할하였다.
1.1.1.4. 차례를 구분하는 단위
몇 차례로 이루어지는 일의 한 차례를 말하는 것으로, 여러 회차로 이루어지는 드라마와 같은 영상물에서 한 회차를 제1부, 제2부로 매기는 식으로 사용된다. 이와 비슷한 용법으로 사용되는 것은 (), (), () 등이 있다.
1.1.1.5. 출판물을 세는 단위
, 신문 따위의 출판물을 셀 때 사용하는 단위이다.

책을 셀 때에는 권()이라는 단위도 많이 쓰이지만, 특히 판매량 표현을 할 때에 ‘부’를 많이 쓴다. ‘1천만 부 베스트셀러’ 같은 식. 신문도 ‘부’ 단위로 세는데, 1일치 분량으로 나온 종이 한 묶음을 한 부로 센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언론사 세 곳의 신문을 구독했다면 집 앞으로 배달 온 신문은 총 3부가 되는 것이다.

1.1.2.

1.1.2.1. 관청의 단위
본래 관청을 뜻하는 한자어로, 일반적인 부서를 나타내는 '부(部)'와는 뜻이 얼추 통하지만, '부(部)'는 단지 국가기관뿐만 아니라 신문부, 방송부, 축구부 등 단체나 조직 전부를 의미하는 한자이다. 조선시대에는 의정부(議政府)· 돈녕부(敦寧府)· 삼군부(三軍府)· 의금부(義禁府) 등의 관청이 있었는데, 이 한자를 쓰는 관청들은 모두 국왕의 직속 기관이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의정부(議政府) 산하에 내부(內部)·외부(外部)· 탁지부(度支部)·학부(學部)·군부(軍部)· 법부(法部)· 농상공부(農商工部)가 있어 部가 府의 하위 조직이었으며, 이외에도 궁내부(宮內府)가 있었다.

현대에는 삼권분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국가 조직을 크게 입법부(立法府)· 행정부(行政府, 정부)· 사법부(司法府)의 삼부(三府)로 나누는 등, 하나의 국가 기능을 지휘하는 단위 기관을 '부(府)'라고 하고 있다.
1.1.2.2. 행정구역 단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행정구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3. 요인(要人)을 보좌하는 기관
과거에 왕족· 제후· 재상 등의 요인과 그의 가문을 보좌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 또한 그 요인의 가문이나 저택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친왕에게는 친왕부(親王府, 혹은 왕부(王府)), 승상에게는 승상부(丞相府) 등이 있었던 것이 그 예이다. 지금으로 따지면 비서실과 같은 개념이다. 이렇게 하나의 부를 여는 것을 개부치사(開府治事)라고 하는데, 고려시대에는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가 바로 개부치사의 권한을 가진 사람이었다.

권신의 권한이 왕권을 넘볼 정도가 되면, 이 권신에게 딸린 부(府)가 거의 조정을 대체하는 경우가 있었다. 막부(幕府)는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사령부를 뜻하는 말이었는데, 즉 장군이 지휘하는 진영이라는 뜻이다. 일본에서는 오래 전부터 천황보다 정이대장군이 실권이 커서 정이대장군이 거느린 막부가 조정을 대신하여 나라를 통치하였다.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최씨 무신정권을 일컬어 최씨막부(崔氏幕府)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대에도 이와 같은 용례로 부(府)를 사용하는 곳이 바로 일본 대만이다. 일본 정부의 최상위 행정기관인 내각부 는 일본의 정부수반 내각총리대신이 통솔하는 기관이며, 대만 총통을 보좌하는 기관인 대만 총통부 역시 이와 마찬가지이다. 청와대, 백악관과 같은 외국의 대통령 공관을 대통령부(大統領府)[1], 또 내각책임제 국가의 총리가 업무를 보는 공관을 총리부(總理府)로 칭하기도 한다.

1.1.3.

지위나 계급 앞에 붙는 접미사로, 이것(副)이 앞에 붙으면 조직의 2인자라는 뜻이다. 즉, 조직이나 집단 내에서 두번째로 높은 사람이다. 부단체장, 부지휘관, 부통령 등이 있다. 영어로는 Deputy. 예) Deputy Attorney General(부 검찰총장) De(Down)+Put(To Think), 즉 누군가의 밑(아래)에서 생각하다 라는 뜻에서 2인자.

규모가 큰 공공기관, 공기업, 대기업 등지에서는 '정'(正)보다 '부'(副)가 더 많은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그만큼 근무를 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직책들도 많기 때문에 정, 부가 모두 존재하는 것이다. 보통 정이 들어가는 직책이 1명이 배치되면, 그 정을 보좌하는 부가 들어가는 직책은 대략 4~6명 정도 배치된다.(예:(정)팀장, 1부팀장, 2부팀장, 3부팀장, 4부팀장, 5부팀장.)

다만 군대에선 한미연합사 부사령관만 빼고 다 직함 앞에 이 '부'자가 붙으면 죄다 한직이다.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은 대장 계급이 보임하고, 대장까지 올라간 사람이 어느 직책을 맡든 그게 한직이라 여길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외에 부도심같은 단어에서도 쓰인다.

1.1.4.

풍요롭고 부유한 것, 혹은 재산을 뜻한다. 순우리말로는 '가멸다'이나 오늘날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경제학 용어 'wealth'의 번역어로도 쓰이는데, 정확한 정의는 '개인, 기업, 국가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이며, 그래서 순자산(, net assets)이라고도 한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을 다루는 이유는, 부채를 고려하지 않고 자산만으로 한 사람의 경제적 사정을 판단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부채가 없고 자산이 500만원인 사람과, 부채가 1000만원이고 자산이 500만원인 사람은 자산이 같아도 전자가 후자보다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것이다. 이 '풍요로움'을 측정하는 측도가 바로 '부'이다. 이 부의 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저축률이다. 소득이 같아도 저축률이 높을수록 자산이 빨리 늘어나기 때문이다.

개인이나 개별 가정의 부도 생각할 수 있지만 나라의 부 역시 생각할 수 있다. 이 나라 전체의 부를 국부(, national wealth)라 한다. 국부는 그 나라에 거주하는 국민의 부의 총합으로, 크게 국내 자본재 재고, 토지와 같은 물리적 자산과 그 나라의 해외자산이라는 두 가지 부문으로 나뉜다. 한 나라의 '순해외자산(, net foreign assets)은 그 나라의 해외자산에서 해외부채를 뺀 값으로, 국부의 일부를 차지한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내국인의 국내 금융자산은 국부의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국내금융자산의 가치는 국내금융부채 때문에 상쇄되기 때문이다.

1.1.5.

논밭을 세는 단위로, 세금을 매길 때 썼다. 한 부는 한 뭇의 열 배, 한 동의 10분의 1로, 그 넓이는 시대에 따라 달랐다.

1.1.6.

고대 중국의 문학 장르 중, 운율을 가진 문학 장르을 일컫는 것으로, 고대 중국[2]에서 풍경이나 미사여구를 동원하는 한부로 정립이 되었고 당나라, 송나라때는 과거시험에 쓰여 형식적으로 변한 율부로 한문문장의 표현에 기여하였다. 소동파 적벽부 등이 유명하다.

1.1.7.

타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아시아의 체명악기
동아시아 목어 · 목탁 ·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동남아시아 떠릉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유럽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아프리카 마림바 · 음비라( 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아메리카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지역 공통
셰이커 · 주즈하프
막명​악기 아시아의 막명악기
동아시아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중앙아시아 도이라
남아시아 타블라 · 바얀
서아시아 다르부카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유럽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아프리카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아메리카·오세아니아 쿠이카 · 랄리 · 티파
타현악기
양금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피아노 클라비코드 · 피아노 · 그랜드 · 업라이트
이외 베림바우
기명악기
휘슬 · 경적 ·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윈드 머신
}}}}}}}}}

파일:attachment/bu.jpg

아악기로 분류되는 대한민국의 전통 타악기. 흙을 구워 만든, 큰 사발같이 생긴 타악기다.

중국의 고대 악기를 모방해서 만든 악기인 만큼 연주법이 간단하다. 앉은뱅이 의자 같은 받침대에 부를 올려놓고, 대나무를 쪼개 만든 채(견죽)로 그릇 가장자리를 치거나 굴리며 연주한다.

옛날에는 음정별로 하나씩 만들어 아홉 개 정도의 부를 사용했다고 하지만 요즘은 한 개만 사용한다. 문묘제례악의 헌가악에서만 쓰이고, 매 마디 매 박자에 엇박으로 연주한다.

1.1.8.

본래 가마를 뜻하는 한자이나, 한국에서는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의 약자로 많이 사용한다. 경부(京釜)· 부울경(釜蔚慶) 등이 그 예이다.

1.2. 영어

1.2.1. boo

영어로 야유하다.

미국인들이 환호의 챈트로 woo를 많이 쓴다면 야유로는 boo를 쓴다. 그래서 야유하는 행위를 booing이라 한다.

이런 탓에 일부 oo 음절이 들어가는 운동선수의 응원 챈트를 듣다보면 꼭 야유하는 것처럼 들린다. 이를테면 추신수가 타석에 나올때 "Shin soo Chooooooooooo~~". 모르고 들으면 홈관중이 야유하는 것처럼 들리니 오해하지 말자.

어린아이를 놀라게 할 때도 쓰이며 크게 'Boo!'라고 외치면 놀란다고 한다.

욕으로 쓰이는지는 몰라도 브루스 윌리스 주연 영화 마지막 보이스카웃에서 Boo라고 적은 쪽지를 보이자 냅따 총으로 갈기면서 화내는 게 나오기도 했다.

2. 인명

2.1. 부씨(夫), 한국의 성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주 부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가상인물

2.2.1. (Boo), 발더스 게이트 시리즈의 캐릭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발더스 게이트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2. , 미스터 부의 주인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미스터 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3. 부, 지금, 거기에 있는 나의 등장인물

파일:attachment/bu.gif

성우는 코니시 히로코/ 레이첼 릴리스. 해리우드의 소년병으로 나부카와 함께 행동한다. 아직 나이가 어려서인지 나부카처럼 확고한 목표로 해리우드에 봉사하는 건 아니고 항상 자신들이 하는 일에 회의를 가지고 있다. 마츠타니 슈죠의 생각과 동조할 때도 자주 있으며 지하 감옥에 갇혀있는 슈죠에게 그의 물건을 전해줌으로써 슈죠와 라라루의 탈출계기를 만들기도 하였다.

자리바스 공략전에서 나부카에게 원한이 있는 슨[3]의 총에 맞아 최후를 맞았다. 다만 본인도 숨을 거두기 전 재장전을 해 슨을 쏘면서 결국 동귀어진.

부 역시 고향을 잃었을 소년병이라는 거나 슨과 나이가 비슷하다는걸 생각해 보면 여러모로 안타까운 처지의 두 아이가 서로를 돕지 못할 망정 서로를 죽이게 된 셈이며, 그의 죽음의 경위는 전쟁의 참혹함을 여실히 보여주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2.2.4. 부, 픽사의 애니메이션 몬스터 주식회사의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몬스터 주식회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5. (ブー/Boo), 원피스의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원피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6. 이월드 마스코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월드 문서
번 문단을
마스코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고유명사

3.1. Boo, 아이유의 노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oo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대통령의 성공: 비서실서 나온다》 경향신문 1997.10.06 기사 등 [2] 전국시대부터 한나라까지 [3] 이 소녀의 아버지가 자리버스 출신의 암살자였는데 나부카에게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