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16:15:40

만사프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cf0921 5%, #fff 5%, #fff 6%, #cf0921 6%, #cf0921 40%, transparent 40%),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90%, #007b3b 90%)"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f0921>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역사 역사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하심 가문 · 하심 가문 군주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경제 경제 전반 · 요르단 디나르
국방 요르단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만사프 · 마클루바 · 쿠나파 · 후무스 ·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레반트 방언)
인물 압둘라 2세
지리 사해 · 요르단강
민족 요르단인
}}}}}}}}} ||}}}
서아시아·북아프리카 요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통
케밥 초르바 돌마 코프타 바클라바
쿠브즈 참깨빵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레반트·마슈리크·아라비아 반도
라브네 마스코프 사문 하리스 사모사
쿠지 마클루바 쿠나파 훔무스 맛짜
캅사 클레이차 만사프 피데 무자다라
무삭칸 할라(빵) 비르야니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수단
쿠샤리 바스부사 팔라펠 키스라
몰로키야(음식) 하맘 마슈위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파일:베르베르기.svg 마그레브·베르베르(아마지흐)
쿠스쿠스(식재료) 타진 아타이 라블라비 하리라
샥슈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1^
까틀라마 괴즐레메 피데 피슈마니예 로쿰
돈두르마 보르초그 튀르크 커피 이스켄데르 케밥 쉬쉬케밥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이란·쿠르드·기타
페르시안 러브 케이크 필라프 누가(과자) 피티(음식) 헬와
라바시 난(빵) 샤슐릭 파쉬막 캐비아
아이란 잘레비
※ 문서가 있는 음식만 표기
^1^ 남유럽 요리로도 분류된다.
}}}}}}}}}

파일:mansaf-jordanian-food.jpg

1. 개요2. 상세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아랍어: مَنْسَف
영어: Mansaf

요르단 쌀밥 요리.

2. 상세

요르단을 대표하는 국민 음식이자 요르단의 주변 국가들인 팔레스타인[1]·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에서도 먹으며 베두인들도 많이 먹는다.

육수와 향신료를 넣어 지은 쌀밥에 고명으로 삶은 염소고기 양고기[2], 요구르트 또는 자미드[3], 견과류와 일부 채소를 곁들인다.

3. 여담

한국에서는 이태원의 아랍 식당(특히 요르단 식당)에서 맛볼 수 있다.

2023 아시안컵 16강, 이라크와 요르단의 경기에서 잔디 먹방 세리머니가 널리 회자되었는데 만사프를 먹는 시늉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4. 관련 문서


[1] 현재 팔레스타인의 영토인 서안지구가 원래 요르단의 영토였음을 감안하면 요르단의 일부였던 팔레스타인 서안지구의 국민음식이기도 하다. [2] 낙타고기가 쓰이는 곳도 있다. [3] 염소젖 또는 양젖을 말려 만든 레반트 아랍권의 발효 유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