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5:47:40

남현동(관악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충청북도 제천시의 동에 대한 내용은 남현동(제천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9944><tablewidth=310><tablebgcolor=#00994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남현동
구청
봉천동
신림동 }}}}}}}}}
관악구 법정동
남현동
南峴洞 | Namhyeon-dong
<colbgcolor=#0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관악구
행정표준코드 1162010300
관할 행정동 남현동
면적 3.27㎢
1. 개요2. 관할 행정동
2.1. 남현동
3. 주요 시설
3.1. 기관3.2. 상업3.3. 교육
3.3.1. 초등학교
3.4. 주거
4. 교통
4.1. 버스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있는 .

본래는 과천군 동면 사당리→시흥군 신동면 사당리→ 사당동의 일부였으나 동작구가 관악구에서 분구되면서 사당동 중 관악구 잔여지역, 즉 남부순환로 이남 지역이 남현동이 되었다.

2. 관할 행정동

2.1. 남현동

관악구 행정동
남현동
南峴洞 | Namhyeon-dong
<colbgcolor=#0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관악구
행정표준코드 3200052
관할 법정동 남현동
하위 행정구역 17통 143반
면적 3.27㎢
인구 17,932명[1]
인구밀도 5,483.79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관악구 갑

박민규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왕정순 (초선)
관악구의원 | 라 선거구

구자민 (초선)

주무열 (재선) }}}}}}}}}
행정복지센터 남현1가길 29[2]
남현동 주민센터
[clearfix]

3. 주요 시설

3.1. 기관

3.2. 상업

3.3. 교육

3.3.1. 초등학교

3.4. 주거

  • 한일건설 남현 한일유앤아이 - 2005년 3월 입주.

4. 교통

4.1. 버스

큰길가( 남부순환로, 동작대로, 과천대로)를 지나는 버스는 매우 많지만[4], 정작 남현동 안쪽으로 들어오는 마을버스는 전혀 없다. 일종의 외화내빈 격이다. 남현동의 주거밀도(즉 원룸건물은 생긴 게 어디나 거기서 거기인 만큼 사실상 아파트 세대수)가 옆의 인헌동보다 더욱 높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사당초등학교 안쪽에 몇십~ 백몇세대의 아파트가 여럿 있다.) 인헌동은 04번의 수혜를 누리는 반면, 남현동 안쪽은 사각지대다. 이는 그나마 동네길 중 마을버스가 지나다닐 만한 '남현로'가 안쪽'예성그린캐슬 2차아파트' 즈음부터 2차전에서 1차선으로 확 좁아져서 버스가 주기적으로 다니기 어렵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1차선으로 좁아지기 이전에도 거주지역에서 남부순환로로 진입하는 차량 때문에 2차선 동네 도로치고는 혼잡하고 길가에 주차하는 차량이 많아 좁으며, 무단횡단도 상당히 많다.[5]

또한 남현동은 동의 크기는 작지 않지만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제 거주 지역은 관악산 수도방위사령부 부대로 인해 매우 좁고, 까치 고개로 인헌동과는 분리되어 있다. 그래서 걸어서 남현동 농협 앞에서 버스를 타거나 사당역으로 걸어가는 시간이 짧아서 의미가 없기도 하다.

[1]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2] 남현동 1086-1 [3] 서울 구 벨기에영사관 건물을 쓰고 있다. [4] 1-1번, 9(-3)번, 11-2번, 11-5번, 103번(사당역-도촌동), 461번, 502번, 540번, 641번, 643번, 777번, 3301번, 4212번, 4318번, 4319번, 5413번, 5524번, 5528번, 5530번, 7000번, 7001번, 7007-1번, 7770번, 7780번, 8155번, 8156번, 8507번, 8541번, M5532번, N15번, N61번 [5] 그런데 난개발과 지형으로 인해 도로 사정이 좋지 못한 부산광역시의 여러 시내버스 마을버스 노선들은 이보다 더 좁은 길도 잘만 다닌다. 대표적으로 사하2번이 있다. 교행이 어렵다면 배차간격을 늘리고 승합차를 투입해서라도 버스 노선을 개설할 수 있지만, 남현동 대중교통 개선에 대한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의 의지가 부족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