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5 16:46:37

Y01-TELLUS

아머드 코어 포 앤서의 AC 프레임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0px"

[[GA#s-1|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541px-Gaamerica-large.jpg

GA]]

[[인테리올 유니온|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541px-Interiorunionwallpaper-large.jpg

인테리올
유니온
]]

[[오메르 사이언스|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541px-OmerWallpaper-large.jpg

오메르
사이언스
]]

[[레이레너드|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541px-RayleonardWallpaper-large.jpg

레이레너드]]

[[BFF#s-2|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541px-BFFwallpaperFix-large.jpg

BFF]]

[[이크발(아머드 코어 시리즈)|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541px-EqbalWallpaper-large.jpg

이크발]]

[[로젠탈(아머드 코어 시리즈)|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830px-Rosenthal-large.jpg

로젠탈]]
GAN01-SS
GAN01-SS-L
GAN01-SS-E
GAEN01-STARLET

GAN02-NSS
Y01-TELLUS
Y02-ALBIREO
Y06-AURORA
Y09-RIGEL

Y11-LATONA
Y12-OPS
TYPE-JUDITH
TYPE-KRAKEN

TYPE-LAHIRE
03-AALIYAH
04-ALICIA
047AN
049AN
061AN

063AN
SALAF
TAWHID
INJIL
TYPE-HOGIRE
TYPE-LANCEL

[[알제브라#s-2|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541px-Algebrawallpaper-large.jpg

알제브라]]

[[아쿠아비트(아머드 코어 시리즈)|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541px-Akvavitwallaper-large.jpg

아쿠아비트]]

[[아리사와 중공|
파일:rEnIAl7.png

아리사와
중공
]]

[[알브레히트 드라이스|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541px-AlbrechtdraisWallpaper-large.jpg

알브레히트
드라이스
]]

[[토러스#s-3.1|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5597426_m.png

토러스]]

[[아스피나 기관|
파일:Aspina_Logo.webp

아스피나
기관
]]

[[라인 아크|
파일:Line_Ark%27s_Logo.webp

라인 아크]]
EKHAZAR
DUSKAROR
EKLAKH
LINSTANT
MADNESS
KIRITUMI
RAIDEN
HILBERT-G7
SOLDNER-G8
SOLDNER-G9
ARGYROS
HYDOR-ARGYROS
X-SOBRERO WHITE-GLINT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Y01-TELLUS'''
파일:NEXT_Schematic_ACFA_Y01-TELLUS.webp

1. 개요2. 특징3. 파생형: Y02-ALBIREO4. 파생형: Y06-AURORA5. 파생형: Y09-RIGEL6. 기타

1. 개요

아머드 코어 4 포 엔서에 등장하는 넥스트 프레임.

2. 특징

인테리올 유니온이 제작한 넥스트용 표준기 타입 외장 프레임. 특징은 뛰어난 EN 연비로, 다른 파트에 비해 EN소비량이 매우 적어 강력한 레이저 무장을 사용하기 쉽다. 제작사가 아무래도 인테리올인 만큼... AC4에서는 구작 시리즈보다 기업의 특성이 더더욱 강조되는 파트 패러미터를 보유하고 있으니, 이런 식으로 전작에서는 생각하기 어려웠던 외장만으로 기체를 구분하는 분류 방법도 존재한다. 특성상 GA GAN01-SS-L과는 정반대 지향.

장점은 역시 EN 연비가 뛰어나다는 점이며, 그 외 EN 방어력도 약간 높다. 하지만 그 외 패러미터는 이 녀석이 표준인지 중장인지 구분이 애매할 정도의 괴이한 성능. 무겁고 실탄방어도 낮고 PA 정파성능도 그리 높지 않다. BFF가 사격명중률을 위해 다른 모든 것을 희생했듯 인테리올은 EN 특화를 위해 다른 모든 것을 희생한 셈이라고 하면 될까... 아무튼 너무 무거워서 부스터를 연비가 나쁜 고성능으로 바꾸어 주어야 기동력이 나오게 되므로, 실상 EN 연비를 기동력으로 돌리는 어셈블리는 사실상 단점을 덮어버리는 거지 장점을 살리게 되는 것은 아닌 셈이다. 선회력도 엉망이라 사실상 기동전 컨셉으로 이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은 약간 어려운 편이다.

인테리올제 프레임이니만큼 인테리올 소속, 즉 AC4의 레오네 메카니카와 메리에스 소속 링크스가 많이 사용했다. 인테리올의 오리지널님이나 셀렌 헤이즈의 실리에지오도 이 프레임.

파생 프레임으로는 EN특화형 탱크로 각부를 교체한 Y02-ALBIREO와 경량 탱크 다리를 사용한 Y09-RIGEL이 있으며, 후속 프레임으로 윈 D. 팬션의 기체 레이텔패러쉬에 사용된 Y11-LATONA가 있다.

3. 파생형: Y02-ALBIREO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Y02-ALBIREO'''
파일:NEXT_Schematic_ACFA_Y02-ALBIREO.webp
Y01-TELLUS에서 각부를 L02-ALBIREO로 교체하면 호버링 탱크 사양인 Y02-ALBIREO가 된다. ALBIREO는 유사한 탱크 부품인 KIRITUMI-L이나 RAIDEN-L과 정반대로 에너지 병기 운용과 대EN 방어에 치중되어 있어 고화력 EN무기를 다수 굴리기에 최적화되어 있다. 대신 선회력은 다른 탱크들과 마찬가지로 영 좋지 않으며, 대탄 방어력이 낮은 터라 대전에서 써먹기에는 아쉬운 점이 존재한다.

스틸레토의 탑승기인 레 자네 폴이 해당 프레임을 사용한다.

4. 파생형: Y06-AURORA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Y06-AURORA'''
파일:NEXT_Schematic_ACFA_Y06-AURORA.webp
Y01-TELLUS에서 완부를 A06-AURORA로 교체하면 무기팔 탑재 사양인 Y06-AURORA가 된다. AURORA는 AS미사일을 발사하는 무기팔로 네타 부품처럼 보이지만 실성능은 꽤나 뛰어난 편이기 때문에 방향과 타이밍만 잘 맞추면 매우 강력한 폭격 성능을 자랑하며, 특히 레귤레이션 1.40에서 AS미사일의 선회력이 대폭 상승했기 때문에 절대 무시해서는 안된다. 여담으로 모드 전환 시 가동되는 모습이 날개를 파닥거리는 것 같아서, 역각 어셈에 데칼을 닭처럼 만들어 기체에 붙이고 날아 다니는 개그 영상도 존재했었다.

에이 플의 탑승기인 베로 노크가 해당 프레임을 사용한다.

5. 파생형: Y09-RIGEL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Y09-AURORA'''
파일:NEXT_Schematic_ACFA_Y09-RIGEL.webp
Y01-TELLUS에서 각부를 L09-RIGEL로 교체하면 경량 호버링 탱크 사양인 Y09-RIGEL가 된다. RIGEL은 KIRITUMI-L이나 RAIDEN-L은 물론 Y02-ALBIREO와도 반대로 경전차에 가까운 탱크로, 탱크 주제에 웬만한 표준급으로 빠르고 ALBIREO의 뛰어난 EN 운용 능력을 온전히 가져왔다. 대신 내장 부스터의 QB 분사 시간이 5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QB의 EN 소모량은 매우 적지만 전진/후진 성능이 매우 낮으므로 퀵캔이나 고성능 사이드 부스터로 이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프랑소와 네리스의 탑승기인 버캐니어가 해당 부품을 사용한다.

6. 기타

  • 2007년 10월 코토부키야의 프라모델로 3800엔에 발매되었다. 무장으로는 레이저 라이플과 레일 건, 배면부 하이 레이저 캐논과 배면부 AS 미사일 및 견부 AS 미사일을 장비. 떡대는 엄청나게 뛰어나고 부속 무장도 많으며 색 분할도 괜찮은 편이지만 파츠 디자인상 가동률이 엄청나게 나쁘다. 물론 VI 시리즈는 재현률로 말하는 물건이니 뭐...
    파일:AC4_Y01-TELLUS_001.jpg 파일:AC4_Y01-TELLUS_002.jpg
    참고로 손에 장비하는 레일 건인 RG01-PITONE은 피스톨 그립이 마치 톤파의 손잡이처럼 되어 있어서 사람이 톤파를 손에 들 때처럼 쥐도록 되어 있는 특이한 구조의 무장이 되어 있어서( SA-01과 비슷한 손잡이 구조다), 많은 프라모델 제작자들이 조립할 때 무장을 어떻게 잡도록 해야 할 지 착각하게 만들기도 했다고 한다. 극중에서는 카스미 스미카의 탑승기인 실리에지오의 주무장으로 나오기도 하는 무장.
  • 옆나라 본토에서 부르는 별명은 잇몸 또는 이빨. 어깨 부분이 이를 꽉 물고 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이런 괴이한 별명을 얻게 되었다. 악마초인 선샤인마냥 인기가 좋은 파트라 하기는 좀 그래서 팬아트를 찾긴 어렵지만, AC 관련 낙서에서는 이를 꽉 문 괴물같은(...) 모습으로 그려지는 것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상상이 안 가면, 금방이라도 침을 질질 흘리며 혓바닥을 내밀 기세인 양산형 에반게리온의 머리를 양어깨에 달고 있다고 생각해보자.
  • 국가 해체 전쟁 당시 인테리올 유니온 소속 링크스였던 세라 엔젤릭 스메라기의 탑승기인 더 블루 넥스트도 이 프레임을 사용했는데, 수소 핵지뢰를 지근거리에서 맞았다고 한다. 하지만 피격 후 손상률은 끽해야 50%에 코어는 매우 멀쩡한 상태였다고. 실탄방어력과 PA 정파성능이 뒤에서 세어야 빠른 이 프레임도 지근탄인 수소폭탄을 견딘다는 건 넥스트의 전투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반증한다. 넥스트의 실성능이 루머대로 1.15 레귤레이션의 2배라면 핵 자체를 맞을 일이 없겠지만, 그 공격 자체가 마지막 한방을 위해 넥스트의 모든 성능을 죽이는 환경을 만든 함정의 마무리 공격이니 별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파일럿이 전장과는 애초 인연이 없던 소녀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