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MC-3 Supershell LMC-3 초거품 |
||
|
||
관측 정보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초거품 | |
거리 |
160,000
광년 49,000 파섹 |
|
명칭 | ||
LMC-3 초거품 |
1. 개요
LMC-3 초거품LMC-3 초거품은 타란툴라성운 서쪽에 위치해 있는 초거품 구조로 약 3,000 광년의 크기를 가지고 있는 거대한 초거품(Super Giant Shell)이다.
2. 상세
|
LMC-3 초거품의 사진 |
- Large-Scale Diffuse X-Ray Emission from the Large Magellanic Cloud # - S. D. POINTS
3,000 광년이라는 거대한 크기로 인해 일반적인 장노출 사진에서는 초거품의 구조를 확인할 수 없지만, 몇십시간을 노출시킨 초장노출 사진이나 Hα 선으로 촬영한 사진에서는 희미한 초거품구조가 식별된다.
대마젤란은하 내부의 개별 초거품 구조에 대한 연구가 LMC-4 초거품이나 LMC-2 초거품 정도를 제외하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약 1,000만년 내외로 추정되는 나이 정도를 제외하면 자세한 형성과정이나 성운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확실하게 확인되는 초거품의 구조와 중심에 밀집되어 있는 OB 성협과 N144등을 포함한 다채로운 성운들이 모여있기 때문에 N135 지역의 주요한 천체중 하나라는 점은 분명하다.
가시광선 파장에서는 거품이 남쪽 방향으로는 N143 내지 N142까지만 퍼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적외선 및 중성수소가스 관측에서는 초거품이 대마젤란은하의 막대의 최남단 부근까지 퍼져 있어 최대 N132 지역까지 확장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N132와 LMC-3 초거품간의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에 따르면 LMC-3 초거품은 LMC-2 초거품과 충돌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타란툴라 성운의 3세대 항성인 R136 및 기타 항성들의 별 형성이 촉진되었다고 한다. 이는 초거품의 충돌, 붕괴과정이 성간물질간 직접충돌, 고질량 항성의 항성풍과 함께 분자운을 형성하는 기초적 원인중 하나라는 것을 방증하는 단편적인 예시이기도 하다.
3. 구성 천체
|
LMC3 내부의 OB 성협 및 발광성운 |
- 여기서 LH 68은 나이가 1억년 이상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LMC-3 초거품과는 상관없는 별개의 OB 성협으로 보인다.
3.1. N138
N 천체[A] | ||||
N137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3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3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NGC 천체 | ||||
NGC 194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
← |
NGC 1949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1950 황새치자리 및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
LHA 120-N138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24m 29.7s |
적위 | -68° 29' 07.6"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6' X 2' | |
명칭 | ||
LHA 120-N 138 | ||
NGC 1949: HD 36301, DEM L 180, MCELS L 238 | ||
LHA 120-N 138B/D: MCELS L-229 | ||
DEM L 174: MCELS L-231 | ||
LHA 120-N 138C: DEM L 179, MCELS L-23 |
|
N138 성운의 사진 |
N138
N138은 LMC-3 초거품의 최서단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으로 북쪽, 서쪽, 남쪽의 개별적인 성운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3개의 Knot 구조가 관찰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지역 내부에서는 KMHK 875으로 명명된 산개성단과 BSDL 1575으로 명명된 OB 성협, [HS66] 272으로 명명된 산개성단이 각각 성운의 북, 중, 남부 지역에 위치해 있다. 그중에서도 KMHK 875에서는 [BE74] 268, 2MASS J05252077-6827411, BI 163등의 B형 주계열성이 , BSDL 1575에서는 SK-68 78, BI 164으로 명명된 O형 주계열성과 SP77 46-10, SP77 46-11으로 명명된 적색 초거성이 발견되었다.
A 부근에서는 NGC 1949로 명명된 작은 발광성운이 관찰되는데, 존 허셜이 19세기 초반인 1836년 12월 30일에 발견할 수 있었을 정도로 매우 밝은 Knot 구조이다. 해당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어떠한 논문에서도 찾을 수 없었지만 적외선 파장에서 밝게 빛난다는 점과 중심에서 IRAS F05253-6830으로 명명된 적외선원이 식별되는 점을 기반으로 하여 여타 다른 Knot 구조처럼 항성이 형성되고 있는 지역으로 추정된다.
C 지역은 중심의 OB 항성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는 구형 성운으로 추정되나, 중심의 이온화 별에 대한 정보는 식별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남쪽 성운(DEM L 174)는 N138 지역 전체에서 가장 거대한 발광성운으로 중심에 위치해 있는 볼프-레이에별과 OB별로 이루어진 쌍성계, HD 269485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성운의 북쪽 부근에서는 N138B, D로 명명된 Knot 구조가 발견되었다.
3.2. N143
N 천체[A] | ||||
N142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43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4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LH 천체 | ||||
LH 56 테이블산자리의 OB성협 |
← |
LH 57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LH 58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LHA 120-N138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26m 21.7s |
적위 | -69°17' 45.8"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5' X 5' | |
명칭 | ||
LHA 120-N 143, DEM L 197, MCELS L 254 |
N143
N138은 LMC-3 초거품의 최남단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으로 5분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 실제 크기는 대략 140 광년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구형성운이다.
성운 내부에는 LH 57으로 명명된 OB 성협이 위치해 있으며, 특히 성운의 중심부분에는 상대적으로 밝은 별이 밀집되어있는 것을 여러 초장노출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항성들의 분광형, 특성등에 대한 자세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성운의 북쪽에서는 3개의 YSO 및 4개의 적외선원이 식별되는데 이는 해당 성운에서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음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성운의 북쪽에서는 2E 0526.8-6920으로 명명된 X선원이 확인된다.
3.3. 섀플리 II(Shapley II)
Shapley II섀플리 II는 LMC-3 초거품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거대한 OB 성협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인 Harlow Shapley의 이름을 따서 Shapley II라는 이름이 명명되었다. 원문에서는 단순히 밝은 별들이 모여 있는 성군으로 취급되었지만, 해당 성협의 구성원이 LMC-3 초거품 내부에 위치해 있다는 점과 비교적 늦게 형성되고 있는 N144 정도를 제외한다면 나머지 항성들의 나이가 약 200 ~ 400만년으로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실제로 거대한 OB 성협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이 논문에선 SHapley II를 거대한 OB 성협으로 언급하고 있다.
해당 성협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N144 및 LH 58
- NGC 2001(LH 64)
- NGC 1983(LH 61)
- NGC 1984 산개성단
- NGC 1990 산개성단
- NGC 1967 산개성단
3.3.1. N144
N 천체[A] | ||||
N143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4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45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LH 천체 | ||||
LH 57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LH 58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LH 59 황새치자리 및 테이블산자리의 OB 성협 |
N144의 내부 NGC 천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GC 천체 | |||||
NGC 1961 기린자리의 중간나선은하 |
← |
NGC 1962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GC 1963 비둘기자리의 산개성단 |
NGC 천체 | |||||
NGC 1964 토끼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
NGC 1965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GC 1966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NGC 천체 | |||||
NGC 1965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GC 1966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1967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NGC 천체 | |||||
NGC 1969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1970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1971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Tulip Nebula 튤립 성운 LHA 120-N144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26m 37.8s |
적위 | -68° 48' 21.6"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12' X 13' | |
명칭 | ||
LHA 120-N 144, MCELS L-258, DEM L 199 |
N144
N144는 LMC-3 초거품의 서쪽 경계에 위치해 있는 거대한 발광성운으로 상대적으로 다른 LMC-3 초거품 내부 성운들보다 밝은데다 꽃 내지 튤립 같은 생김새로 인해 튤립 성운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4]
대부분의 논문에서는 N144를 중심의 LH 58 OB 성협에 의해 이온화된 전리수소영역으로 식별하고 있지만, 논문에서는 N144를 대상으로 한 H-α 선 관측에서 껍질 구조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N144가 LH 58에서 유래한 초거품 구조라고 제안하였다.
성운의 별 형성은 약 200만년 전에 촉발된 것으로 추정되며 #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로 인해서 현재 N144 내부에선 초신성잔해가 단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 상술했듯이 N144는 현재 초거품 구조로 추정되고 있는데, 해당 제안이 맞다면 N144에서의 별 형성은 이전 약 200만년 전에 이전 세대 항성의 연쇄적인 초신성 폭발에서 기원한 초거품의 확장으로 인해 촉발되었을 것이다. 북서쪽 능선과 남쪽의 암흑성운에서는 분자운과 YSO 천체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N144에서 항성형성활동이 현재진행형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LH 58은 N144의 중심에서도 특히 북서쪽의 분자운쪽에 밀집되어 있으며 WN4(h)a의 분광형을 가진 Brey 33, WC4+O6III/V+O형으로 관측되어 볼프-레이에별과 두 O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삼중성계로 추정되는 HD 36521, WN5b(h)+B3I으로 관측되어 볼프-레이에별과 청색 초거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중성계로 추정되는 HD 269546의 총 3개의 볼프-레이에별이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적색 초거성인 [W60] A2, 황색 초거성으로 추정되는 2MASS J05265532-6853513, 2개의 청색 초거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GMP94] 100등의 초거성이 존재하며 2개의 미라형 변광성, 6개의 탄소별이 확인되었다. 또한, O5V의 [GMP94] 496, O6.5V의 W61 9-64, LH 58-16, 세페우스자리 VV형 변광성으로 추정되는 적색 극대거성과 O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쌍성계인 HD 269551를 포함한 37개 이상의 OB별이 식별되었다. 여담으로 성운의 남쪽에서 식별되는 HD 269541는 여러 문헌에서 청색 초거성으로 언급되나 스텔라리움등의 일부 사이트에서는 해당 항성을 1,100 광년 떨어져 있는 A형 주계열성으로 식별한다.
3.3.2. DEM L 210
DEM L 천체 | ||||
DEM L 20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DEM L 210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DEM L 211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N 천체[A] | ||||
N145 황새치자리의 적색초거성 |
← |
N146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47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DEM L 210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28m 13.5s |
적위 | -69° 00' 13.0"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17' X 8' | |
명칭 | ||
DEM L 210, MCELS L-269, LHA 120-N-146 |
DEM L 210
DEM L 210은 LMC-3 초거품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희미한 발광성운으로 내부에 NGC 1983, NGC 1984, NGC 1994등의 젊은 산개성단들이 위치해 있어 해당 산개성단들이 형성된 성운의 잔재일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성운에 대한 명칭은 대부분 DEM L 210으로 통용되나, 성운의 최북단에 위치한 가장 밝은 구역은 헤나이즈 목록에 따로 N165로 등재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후술할 3개의 NGC 산개성단들을 제외하더라도 성운 중심의 북쪽에 위치해 있는 HS 661 산개성단, BHRT 52a(HS319)등의 산개성단이 식별되지만 전자는 약 700 ~ 800만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는 반면 후자는 약 8,000만년에서 최대 2억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HS319는 LMC-3 초거품의 형성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별개의 산개성단으로 추정된다.[6] #
3.3.2.1. NGC 1983
NGC 천체 | ||||
NGC 1982 오리온자리의 발광성운 |
← |
NGC 1983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1984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NGC 1983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27m 44.2s |
적위 | −68° 59′ 10″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9.9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약 15만 8천
광년 약 48,5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1.0' | |
명칭 | ||
NGC 1983, ESO 56-SC133 |
NGC 1983
NGC 1983은 황새치자리 방향으로 약 15만 8천 광년 떨어져 있는 산개성단이다.
1826년 9월 25일 제임스 던롭이 처음 발견하였으며 LMC-3 초거품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LMC-3 초거품 내부에서 가장 밝은 산개성단 및 OB 성협이다. 나이가 700만년에서 900만년 # 사이로 LMC-3 초거품 내부에선 젊은 편에 속하는데, 실제로도 성단을 형성한 후 남은 성운의 잔재로 추정되는 DEM L 210 발광성운이 성단 전체를 덮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부분적으로 질량분리가 발생하였음이 드러났다. #
산개성단의 크기는 4분에 불과하지만 대부분의 고질량 항성들은 산개성단 외부 5분 내지 6분거리에 퍼져 있으며, 특히 NGC 1984 및 NGC 1994 방향으로는 눈에 띄는 곡선으로 배열된 성협이 관찰된다. 이는 비록 형성시간이 약 100만년 내외로 차이는 있을지언정 NGC 1983 산개성단이 독단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주변에 위치해 있는 산개성단인 [HP99] 774, [HS66] 319, NGC 1994, NGC 1984와 함께 연쇄적인 별 형성 과정을 밟았으며 별 형성활동이 DEM L 210 너머까지 상대적으로 거대한 규모로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산개성단 내부에서 가장 밝은 별은 HD 269578로 이름 붙여진 황색 초거성이다. 이외에도 성단 주변에서는 SK-68 85, SK-68 87, SK-68 91등의 OB별들과 SK-69 139의 청색 초거성, W61 15-4의 황색 초거성, W61 17-53/54로 명명된 적색 초거성과 HD 269582으로 알려진 볼프-레이에별이 식별되었는데 특히 HD 269582는 일부 논문에서 LBV로 분류한다.
3.3.2.2. NGC 1984
NGC 천체 | ||||
NGC 1983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1984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1985 마차부자리의 반사성운 |
NGC 1984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27m 40.9s |
적위 | −69° 08′ 04″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9.99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약 15만 8천
광년 약 48,5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1.5' x 1.2' | |
명칭 | ||
NGC 1983, ESO 56-SC132, GC 1187, h 2882 |
NGC 1984는 LMC-3 초거품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산개성단이다.
1836년 11월 11일 존 허셜이 처음 발견했으며 NGC 1994와 매우 가까이 위치해 있다. 나이는 추정치에 따라 다르지만 약 700만년 ~ 800만년으로 추정되며 이는 NGC 1983의 값과 거의 동일하다. # 남쪽에서는 NGC 1984와 별개의 천체로 식별되는 산개성단 BSDL 1818이 위치해 있으나, NGC 1984와 연결 내지 동일한 산개성단일 것으로 추정된다.
산개성단 내부에선 WOH G 347으로 알려진 적색 초거성과 OH 279.6-32.6으로 알려진 OH/IR 별이 발견되었으며 산개성단의 SMP LMC 64의 pAGB 별[7], B1V의 청색 초거성인 MCPS 081.90965-69.14163, M0.5Iab의 적색 초거성인 W61 12-16, B형으로 관찰되는 방출선 별인 [BE74] 292등이 확인된다.
또한, 성단 남서쪽에서는 SNR B0527-69.1으로 명명된 초신성 잔해가 위치해 있으나, 초신성잔해 중심에 단주기 펄사가 위치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해당 초신성잔해에 대해 알려진 점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3.3.2.3. NGC 1994
NGC 천체 | ||||
NGC 1993 토끼자리의 렌즈형은하 |
← |
NGC 1994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1995 화가자리의 쌍성 |
NGC 1994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28m 16.4s |
적위 | -69° 07' 24.1"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9.8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약 15만 8천
광년 약 48,5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1.5' | |
명칭 | ||
NGC 1994, ESO 56-136 |
NGC 1994
NGC 1994는 LMC-3 초거품 내부에 위치해 있는 산개성단으로 1835년 12월 16일 존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NGC 1984와 굉장히 가까이 위치해 있으며 실제 나이도 NGC 1983, NGC 1984등과 거의 동일한 약 720만년으로 추정되어 동반 형성된 산개성단 및 성협으로 추정된다. # 산개성단 내부에서는 Be 초거성, 적색 초거성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삼중성계인 HD 269599, SK-69 149, MCPS 082.12971-69.13503, UCAC4 105-012337의 B형 주계열성[8], [W60] A15, W61 12-31의 적색 초거성이 존재하며 볼프-레이에별과 O3V의 O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IRSF J05282712-6906362 역시 성단 근처에서 식별된다.
3.3.3. NGC 1967
NGC 천체 | ||||
NGC 1966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1967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1968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NGC 1967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26m 33s |
적위 | -69° 04’ 53”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10.8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약 15만 8천
광년 약 48,5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1' | |
명칭 | ||
NGC 1967, ESO 56-126, [SL63] 478, [WZ2011] 507 |
NGC 1967
NGC 1967은 NGC 1984의 서쪽에 위치해 있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산개성단으로 1830년대에 존 허셜이 처음 발견하였다.
LMC-3 초거품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4개의 주요 산개성단중 하나이지만, 상술했듯이 서로 나이 추정값이 비슷하며 중간의 호 모양으로 배열된 성협으로 이어져 있는 것으로 보이는 세 성단과는 달리 서쪽으로 조금 동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나이도 약 1,500만년으로 추정되기 # 때문에 세 산개성단의 이전 세대에 형성된 산개성단으로 추정된다.[9] 또한, 산개성단 남쪽에서는 DEM L 198으로 명명된 발광성운이 확인되며 LMC-3 초거품의 이온화된 벽면일 것으로 추정된다.
성단 중심에는 CPD-69 377으로 명명된 적색 초거성과 BI 170의 O형 주계열성이 위치해 있으며 성단에서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선 HD 269549으로 알려진 볼프-레이에별과 SK -69 127의 OB 별, [KDM2001] 4074로 명명된 탄소별이 확인된다. 또한. 산개성단 북동쪽으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BSDL 1769 산개성단 또는 OB성협이 위치해 있는데 거리가 굉장히 가깝기 때문에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해당 산개성단에서는 W61 17-21의 적색 초거성와 [MR72] 44로 명명된 O형 주계열성등 10개 이상의 항성이 식별된다.
3.4. NGC 2001(LH 64)
NGC 천체 | ||||
NGC 2000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001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NGC 2002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LH 천체 | ||||
LH 63 황새치자리의 OB성협 |
← |
LH 64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LH 65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NGC 2001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28m 53s |
적위 | -68° 45’ 01”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OB 성협 | |
거리 |
약 15만 8천
광년 약 48,5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7' X 4' | |
명칭 | ||
NGC 2001, ESO 056-SC137, SL 507 |
NGC 2001
NGC 2001은 LMC-3 초거품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개성단 또는 OB 성협으로 1826년 9월 27일 제임스 던롭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해당 성협과 e135등의 산개성단을 포함해 조금 더 넓은 범위에 분산되어 있는 OB 성협이 LH 64로 알려져 있다. 나이는 대략 2,500만년 정도로 추산되어 DEM L 210에서의 별 형성 이전 세대에서 형성되었던 항성들로 구성되어 있으리라고 추정된다. #[10]
산개성단에서는 ON2III(f*)이라는 특이한 분광형을 가지고 있는 W61 16-8, O5.5V의 분광형을 가지고 있는 W61 16-71, O8.5V의 W61 16-38등의 20개 이상의 OB별들과 3개 이상의 청색 초거성, 5개의 적색 초거성, 4개의 탄소별, 그리고 WN3b의 분광형을 가지고 있는 볼프-레이에별 HD 269618이 식별되며 10개 이상의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역시 산개성단 내부에서 확인되었다.
3.5. DEM L 224
DEM L 천체 | ||||
DEM L 223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DEM L 22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DEM L 225 황새치자리의 은하 |
DEM L 224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30m 55.8s |
적위 | -69° 18' 16.7"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25' X 20' | |
명칭 | ||
DEM L 224, MCELS L-280 |
DEM L 224
DEM L 224는 LMC-3 초거품의 남서쪽 벽면에 해당하는 발광성운으로 NGC 2009, NGC 2015, LH 67등의 산개성단 및 OB 성협이 식별된다. 다만, 해당 천체의 나이가 3,100만년에서 최대 3,600만년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DEM L 224가 두 천체의 형성과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11]
이외에도 성운의 끝자락에서는 N147 성운이 위치하고 있으며 [BE74] 309으로 알려진 B형 주계열성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5.1. NGC 2015(LH 74)
NGC 천체 | ||||
NGC 2014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015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NGC 2016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
LH 천체 | ||||
LH 73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LH 74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LH 75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NGC 2015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32m 01.4s |
적위 | -69° 13' 33.6"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10.4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OB 성협 | |
거리 |
약 15만 8천
광년 약 48,5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5' X 4' | |
명칭 | ||
NGC 2015, ESO 56-147, BRHT 15a, LH 74, KMK88 71 |
NGC 2015
NGC 2015는 DEM L 224의 북쪽에 위치해 있는 OB 성협으로 1834년 11월 24일 존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SIMBAD같은 사이트에서는 NGC 2015라는 명칭이 성협 중심에 위치해 있는 상대적으로 밝은 산개성단인 SL 557으로 오인되고 있지만, 엄연히 실제 기록상 NGC 2015는 5' X 4'의 넓은 범위를 포괄하기 때문에 실제로 존 허셜이 관측했던 NGC 2015는 중심에 위치한 SL 557이 아니라, SL 557을 포함한 조금 더 넓은 지역에 퍼져 있는 OB 성협인 것으로 보인다.
나이는 대략 4,000만년으로 계산되었으며 #[12] 범위 내부엔 상술한 SL 557과 BRHT 15b 산개성단이 위치해 있다.
주요 항성으로는 SK-69 181을 포함하는 7개의 B형 주계열성, MCPS 082.95108-69.23933으로 알려진 청색 초거성, AL 229로 알려진 방출선 별[13], 황소자리 RV형 변광성의 일종인 SV* HV 2635와 미라형 변광성 OGLE LMC-LPV-66678을 포함한 7개의 적색 초거성, 4개의 탄소별이 식별되었다. 이중에서 SL 557에선 B형 주계열성 1개와 탄소별 1개가, BRHT 15b 산개성단에서는 적색 초거성 1개가 포함된다.
3.5.2. NGC 2009
NGC 천체 | ||||
NGC 2008 화가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 |
NGC 2009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010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
NGC 2009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30m 52.4s |
적위 | -69° 10' 03.9"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11.00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약 15만 8천
광년 약 48,5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1.2' | |
명칭 | ||
NGC 2009, ESO 56-140 |
NGC 2009
NGC 2009는 NGC 2015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는 산개성단으로 1834년 11월 3일 존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나이는 대략 3,200만년으로 추산되며 # 해당 논문에서는 각 산개성단의 나이를 상용로그의 소수점 아래 한자리수까지만 나타내기 때문에 오차와 누락된 수치를 고려하면 7.5인 NGC 2015와 7.6인 NGC 2009는 사실상 NGC 2015와 동일한 시기에 형성된 항성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산개성단 내부에서는 OGLE BRIGHT-LMC-MISC-270, [M2002] LMC 149560으로 명명된 2개의 적색 초거성과 OGLE BRIGHT-LMC-LPV-101를 포함한 3개의 장주기 변광성[14], 행성상성운으로 추정되는 물체인 [RP2006] 833등이 확인되었으며 산개성단 인근 1'에서는 MCPS 082.74700-69.16350으로 명명된 B형 주계열성, 방출선 별인 SV* HV 2605[15] SK -69 172와 2개의 탄소별이 식별되며 그외에도 UCAC2 1801945으로 알려진 X선 쌍성과 Brey 44a로 알려진 볼프-레이에별, SV* HV 2621으로 알려진 적색 초거성도 확인되지만, 산개성단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산개성단에 포함되는지는 미지수이다.
3.5.3. LH 67
LH 천체 | ||||
LH 66 테이블산자리의 OB 성협 |
← |
LH 67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LH 68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LH 67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31m 01.9s |
적위 | -69°16' 40.3"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약 16만
광년 약 48,5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5' X 2' | |
명칭 | ||
LH 67 |
LH 67
LH 67은 NGC 2015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는 OB 성협으로 루케 호지 목록 작성 과정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SIMBAD등의 일부 사이트에서는 성협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HS333을 LH 67과 동일한 천체로 서술하고 있지만 HS333의 겉보기 크기가 1'에 미치지 못하는 것과는 반대로 LH 67은 기록상 크기가 5' X 2'에 육박하기 때문에 동일한 천체로 보기는 어렵다.
성협 중심에 위치한 HS 333의 나이는 대략 6,300만년[16]으로 계산되었지만, 지수의 오차가 0.5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위 문단에 있는 두 천체와 동일한 형성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협 전체에서는 9개의 B형 주계열성과 3개의 청색 초거성, 3개의 적색 초거성과 4개의 탄소별, 61개의 장주기 변광성, 23개의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OGLE LMC168.7 73446으로 알려진 세페이드 변광성이 식별되며 [GC2009] J053127.01-691755.5는 YSO로 서술되고 있지만 가시광선 파장에서 붉은색 계열의 별로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기 때문에 적색 초거성이 적외선 파장에서 진행된 관측에서 YSO로 오인된 것으로 보인다.
이중 HS 333 성단에서는 pAGB인 SSTISAGEMC J053057.64-691728.7, 방출선 별인 AL 265, WBP 232으로 명명된 탄소별, MCPS 082.74904-69.28247으로 알려진 청색 초거성, SK -69 173으로 알려진 B형 주계열성과 8개의 장주기 변광성, 2개의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이 관측된다.
3.6. N148
N 천체[A] | ||||
N147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4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4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LH 천체 | ||||
LH 70 황새치자리의 OB성협 |
← |
LH 71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LH 72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LH 72 황새치자리의 OB성협 |
← |
LH 73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LH 74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LHA 120-N148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32m 07.3s |
적위 | -68° 27' 23.5"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16' X 10' | |
명칭 | ||
LHA 120-N 148, MCELS L-287, DEM L 227 | ||
LH 71: KMHK 1024, SL 552 | ||
LH 73: KMHK 1024 |
N148
N148은 LMC-3 초거품의 북동쪽 모서리에 위치해 있는 거대한 발광성운 또는 발광성운 복합체로 실제 성운의 크기는 최대 18'에 달해 삼각비를 통해 간단하게 계산해보면 전체 발광성운의 크기는 850 광년 에 달하는 거대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크기가 850광년에 달하는 만큼 성운도 하나의 단일 성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성운이 서로 성간물질 덩어리 또는 필라멘트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SIMBAD에서 19개의 YSO 천체가 확인되는 만큼 현재도 성운 깊숙한 곳 내부에선 상당한 양의 항성형성활동이 발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
N148의 사진 및 내부 천체 주석 |
- <아래는 구성 성운들의 목록 및 설명으로 북쪽에서 남쪽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 N148A는 성운 복합체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는 작은 성운으로 본 성운과 얇은 필라멘트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2MASS J05325004-6823544를 비롯한 YSO 천체가 확인되기 때문에 현재도 활발한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성운 내부에서는 2개의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4개의 장주기 변광성과 1개의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이 식별된다.
- N148E는 본성운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으로 여러 초장노출 사진에서는 특이하게도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는 N148C와는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N148C 북동쪽에 위치한 화살표 모양의 밝은 가스 필라멘트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별 형성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분자운은 성운의 남쪽에 집중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성운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는 암흑성운에서는 2개의 YSO 천체와 하나의 적외선원이 발견되었다. 이외에도 BI 190로 명명된 O9V의 O형 주계열성과 Brey 47로 알려진 볼프-레이에별이 성운 내부에서 식별된다. 또한, 1개의 세페이드 변광성와 3개 이상의 적색거성, 수십개의 장주기 변광성등도 관찰되지만 이들 대부분은 성운의 전경 또는 후경에 위치해 있는 별들로 보인다.
- N148C는 LH 71 성협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는 거대한 구형 발광성운으로 이미 1세대에 해당하는 항성의 형성이 거의 완료된 상태로 보이기 때문에 북쪽 끝에 위치해 있는 분자운에서 형성되고 있는 1개 이상의 YSO 천체를 제외하면 별 형성은 일어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LH 71 성협에서 가장 밝은 별은 단연 MCPS 082.94743-68.50536으로 은하 전체에서 손에 꼽을 만큼 적은 O2V의 분광형[18]을 가지고 있는 O형 주계열성 2개로 구성되어 있는 쌍성이다. 이외에도 성협 내부에선 1개의 청색 초거성과 1개의 백색 초거성이 관찰된다.
- N148D는 N148C 서쪽에 위치해 있는 작은 발광성운으로 성운 내부에서 B[e] 분광형으로 관찰되어 HAeB[e] 별로 추정되는 별을 포함한 3개의 YSO 천체가 관찰되기 때문에 현재도 활발한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으리라고 추정된다.
- N148B는 N148C 남쪽에 위치해 있는 작은 발광성운으로 성운 중심에 위치한 분자운에서 3개의 YSO 천체가 식별되기 때문에 현재도 활발한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성운 근처에서는 1개의 세페이드 변광성이 관찰되지만 성운과는 관계가 없는 전경 또는 후경의 항성으로 추정된다.
- N148F는 N148H에서 북서쪽 방향의 가스 필라멘트로 연결되어 있는 작은 성운으로 성운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중심에 위치한 오리온 변광성[19] IRAS 05311-6836의 단일 항성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N148H는 N148B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는 상대적으로 희미한 발광성운으로 서쪽에서 남쪽으로 길게 뻗어있는 암흑성운 및 분자운에서 6개의 YSO 천체가 발견되어 해당 지역에서 활발한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성운 중심에는 O7.5V의 O형 주계열성인 SK -68 112와 UCAC4 107-010902의 B[e]별이 확인되며 SOI 403으로 알려진 A형 항성도 확인되나 TESS등의 외계행성 탐사임무에서 해당 항성이 포함된 만큼 우리은하 내부에 위치한 전경 항성으로 보인다.
- N148G는 N148I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성운으로 중심에 위치한 밝은 항성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SIMBAD에서는 해당 항성이 식별되지 않는다. 성운의 북쪽에 위치한 분자운에서는 2개 이상의 YSO 천체가 식별되어 별 형성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성운 동쪽에서도 2개의 YSO 천체가 식별되지만, 해당 천체들은 N148I 성운의 벽면에 해당하는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N148G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 N148I는 N148의 최남단에 위치해 있는 거대한 발광성운으로 성운 전체에서 가장 밝고 거대한 성협인 LH 73 성협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다. LH 73 성협에는 5개의 O형 주계열성과 4개의 B형 주계열성, 1개의 황색 초거성이 포함된다. 또한 성운의 최외곽에는 중심 성협의 항성풍에 의해 밀려난 것으로 보이는 가스들이 뭉쳐서 형성된 분자운과 성간물질이 원형으로 성운을 둘러싸고 있으며 해당 분자운들에서는 1개의 허빅Ae/Be별을 포함한 5개의 YSO 천체가 식별된다.
4. 관련 문서
[A]
[A]
[A]
[4]
백조자리에 위치한 발광성운인
Sh 2-101 역시 튤립성운으로 불린다. 다만, 한국같은 북반구에서 튤립성운이라고 하면 북반구에서 관측이 불가능한 N144 대신 Sh2-101으로 주로 알려져 있다.
[A]
[6]
실제로도 몇몇 초장노출 사진에서 HS 319는 다른 산개성단들보다 더 노랗고 어둡게 보여 마치 구상성단과 비슷한 느낌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해당 항성은
LHA 120-N145로 알려져 있다.
[8]
청색 초거성일 가능성도 존재한다.
[9]
다만 최대 나이가 약 1,000만년밖에 되지 않는
O형 주계열성과 300만년이 채 되지 않는
볼프-레이에별이 산개성단 내부에서 확인된다는 점을 통해서 해당 추정치가 실제 나이와 정확하게 일치하는지에 대해선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10]
다만, 해당 추정치 역시 2,5000만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살아남을 수 없는 O형 주계열성이 성협 내부에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있는 자료인지는 의문이다.
[11]
그러나, 세 천체가 같은 위치에서 식별되기 때문에 DEM L 224의 하위 문단에 서술하고 있다는 점 유의하기 바란다.
[12]
참고로 해당 수치는 NGC 2015의 구성원중 하나인 SL 557 소속 항성들을 대상으로 계산된 수치이다.
[13]
분광형이 B5V이기 때문에
Be별 또는
껍질 별로 추정된다.
[14]
다만, 이중 2개의 번호는 좌표상 위치가 산개성단의 북쪽 부근으로 차이가 불과 2"에 불과할 정도로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두 이름이 동일한 항성을 나타내는 이름일 가능성도 있다.
[15]
논문에서 주계열성 이후의 항성이라고 언급되었기 때문에 준거성 내지 청색 초거성 단계에 위치한 항성으로 추정된다.
[16]
107.8
[A]
[18]
하버드 분류법상 가장 밝은 O형 주계열성에서도 가장 높은 분광형이다. 참고로 O0와 O1 분광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19]
YSO의 일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