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6 11:34:15

FIBA 여자 아시아컵

파일:FIBA 아시아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네팔 국기.svg
<colbgcolor=#dcdcdc,#383b40>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colbgcolor=#dcdcdc,#383b40>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olbgcolor=#dcdcdc,#383b40> 대한민국
파일:라오스 국기.svg
<colbgcolor=#dcdcdc,#383b40>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 ||

FIBA 여자 아시아 컵
파일:FIBA 여자 아시아 컵 로고.svg
정식 명칭 FIBA 여자 아시아 컵
(FIBA Asia Cup)
창설 1965년
참가 자격 FIBA 아시아에 등록한 국가대표팀 중
개최국 및 권역별 예선[1]을 통과한 총 12개국
최근 우승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023)
최다 우승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12회)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대 대회 개최국 및 대회 결과3. 역대 MVP4. 역대 대회별 대한민국 대표팀 성적 및 선수 명단
4.1. 1960~70년대4.2. 1980~90년대4.3. 2000년 이후

[clearfix]

1. 개요

FIBA 아시아가 주관하는 국가 대항 농구 대회. 아시안 게임 농구 경기와 더불어 아시아 최강의 농구 국가대표팀을 가리는 대회.

2. 역대 대회 개최국 및 대회 결과

연도 개최지 참가국 수 대회 결과 세계대회 진출권 비고
우승 준우승 3위 4위 올림픽 FIBA
농구 월드컵
196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5 대한민국 일본 대만 필리핀

3. 역대 MVP

대회 MVP 소속팀 성적 대회 베스트 5

4. 역대 대회별 대한민국 대표팀 성적 및 선수 명단

4.1. 1960~70년대

대회 대표팀 성적 선수 명단
순위 전적 가드 포워드 센터

4.2. 1980~90년대

대회 대표팀 성적 선수 명단
순위 전적 가드 포워드 센터

4.3. 2000년 이후

대회 대표팀 성적 선수 명단
순위 전적 가드 포워드 센터


[1] 동아시아(EABA), 동남아시아(SEABA), 중앙아시아(CABA), 남아시아(SABA), 걸프(GBA), 서아시아(WABA)로 구분해 각 지역별 대회를 연다. 각 권역별 대표팀의 전력 차가 크기 때문에, 권역별로 출전권이 다르게 부여한다. 또한 권역별 대회에서 탈락한 국가에 대해서도 FIBA 랭킹 및 전 대회 성적을 기준으로 추가 출전권을 부여, 총 12개국을 선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