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21:21:27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결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91919>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경기 일정
}}} ||
스위스
(5/23 ~ 5/27)
||
플레이오프
(5/30 ~ 6/9)
승자조 패자조
결승
결산

1. 결과
1.1. 세부 결과1.2. 총평
2. 일차별 요약3. 주요 기록
3.1. 결승 MVP3.2. 에이스3.3. 맵 선택/거부
3.3.1. 선택 횟수3.3.2. 거부 횟수3.3.3. 종합
3.4. 요원 선택
4. 리그별 분석
4.1. 파일:VCT_2023_Pacific_League_symbol.png Pacific (아시아 태평양) - 최종 성적: 우승
4.1.1. 1시드 파일:Paper Rex 로고.svg Paper Rex - 플레이오프 패자조 2라운드 탈락4.1.2. 2시드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 우승4.1.3. 3시드 파일:T1 로고.svg T1 -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탈락
4.2. 파일:VCT EMEA 심볼.png EMEA (유럽, 중동, 아프리카) - 최종 성적: 준우승
4.2.1. 1시드 파일:Fnatic 로고.svg Fnatic -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탈락4.2.2. 2시드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eam Heretics - 준우승4.2.3. 3시드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FUT Esports - 플레이오프 패자조 2라운드 탈락
4.3. 파일:600px-VCT_2023_Americas_League_allmode.png Americas (아메리카) - 최종 성적: 플레이오프 패자조 결승
4.3.1. 1시드 파일:100 Thieves 로고.svg 파일:100 Thieves 로고 white.svg 100 Thieves - 플레이오프 패자조 준결승 탈락4.3.2. 2시드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G2 Esports - 플레이오프 패자조 결승 탈락4.3.3. 3시드 파일:Leviatán_2021.png Leviatán - 스위스 스테이지 3라운드 탈락
4.4. 파일:VCT CN logo.png China (중국) - 최종 성적: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4.4.1. 1시드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탈락4.4.2. 2시드 파일:FPX 로고 2021.svg FunPlus Pheonix - 스위스 스테이지 3라운드 탈락4.4.3. 3시드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Dragon Ranger Gaming -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탈락

[clearfix]

1. 결과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131313>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마스터스
상하이
챔피언
}}}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경기 득실 기본 상금 비고
1위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 6 6 0 +6 $350,000[1] 우승
2위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H 9 6 3 +3 $200,000 준우승
3위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G2 6 4 2 +2 $125,000 패자조 결승
4위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100T 4 2 2 0 $75,000 패자조 준결승
5-6위 파일:Paper Rex 로고.svg PRX 3 1 2 -1 $50,000 패자조 R2
파일:FUT Esports 로고.svg FUT 6 3 3 0
7-8위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G 2 0 2 -2 $35,000 패자조 R1
파일:Fnatic 로고.svg FNC 2 0 2 -2
9-10위 파일:FPX 로고 2021.svg FPX 3 1 2 -1 $25,000 스위스 스테이지 R3
파일:Leviatán_2021.png LEV 3 1 2 -1
11-12위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DRG 2 0 2 -2 $15,000 스위스 스테이지 R2
파일:T1 로고.svg T1 2 0 2 -2

1.1. 세부 결과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스위스 스테이지 순위표
<rowcolor=white> 순위 R1 상대 R2 상대 R3 상대
1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2 0 파일:T1 로고.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
1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 2 0 파일:Leviatán_2021.png 파일:FPX 로고 2021.svg -
3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FUT 2 1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파일:Leviatán_2021.png
3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H 2 1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FPX 로고 2021.svg
5 파일:FPX 로고 2021.svg FPX 1 2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5 파일:Leviatán_2021.png LEV 1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7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DRG 0 2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
7 파일:T1 로고.svg T1 0 2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Leviatán_2021.png -
초록색: 라운드 승리 | 빨간색: 라운드 패배
파란색: 플레이오프 진출 | 노란색: 탈락 | 회색: 라운드 미참여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플레이오프 대진표
<rowcolor=#fff>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4라운드
{{{#!wiki style="margin: -12px -5px" <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91919>
파일:Paper Rex 로고.svg 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1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5.31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1
6.02 20: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6.07 16: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0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5.31 20: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2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5.30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0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6.02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파일:Fnatic 로고.svg 1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5.30 20: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3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wiki style="margin: 30px -5px -12px -5px" <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91919>
<colbgcolor=#F5F5F5,#282828>
M4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0
M3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Paper Rex 로고.svg 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
6.01 20: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3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7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2
파일:Paper Rex 로고.svg 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1
6.03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0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6.07 19: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6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1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3
6.08 16:00
}}}
{{{#!wiki style="margin: 30px -5px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2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Fnatic 로고.svg 1
M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6.01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3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8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6.03 20:00
}}}


초록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우승

1.2. 총평

2. 일차별 요약

3. 주요 기록

3.1. 결승 MVP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발로란트 마스터스|[[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width=30]]]]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fff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br] {{{#fff 결승 MVP}}}'''
파일:VALORANT MASTERS SHANGHAI FMVP t3xture.png
Gen.G
t3xture

3.2. 에이스

3.3. 맵 선택/거부

3.3.1. 선택 횟수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맵 선택횟수
스위스 스테이지 PO Total
R1 R2 R3
파일:발로란트-어센트-1.png
어센트
0 2 0 6 8
파일:발로란트-바인드-1.png
바인드
0 2 1 7 10
파일:발로란트-브리즈-1.png
브리즈
2 1 0 6 9
파일:발로란트-아이스박스-1.png
아이스박스
4 2 1 9 16
파일:발로란트-로터스-1.png
로터스
3 2 2 7 14
파일:발로란트-스플릿-1.png
스플릿
1 1 0 6 8
파일:발로란트-선셋-1.png
선셋
2 2 2 5 11

3.3.2. 거부 횟수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맵 거부횟수
스위스 스테이지 PO Total
R1 R2 R3
파일:발로란트-어센트-1.png
어센트
4 2 2 8 16
파일:발로란트-바인드-1.png
바인드
4 2 1 7 14
파일:발로란트-브리즈-1.png
브리즈
2 3 2 8 15
파일:발로란트-아이스박스-1.png
아이스박스
0 2 1 5 8
파일:발로란트-로터스-1.png
로터스
1 2 0 7 10
파일:발로란트-스플릿-1.png
스플릿
3 3 2 8 16
파일:발로란트-선셋-1.png
선셋
2 2 0 9 13

3.3.3. 종합

3.4. 요원 선택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요원 선택률
순위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요원 파일:오멘 초상화.png 파일:바이퍼 초상화.png 파일:레이즈 초상화.png 파일:킬조이 초상화.png 파일:제트 초상화.png 파일:소바 초상화.png 파일:케이/오 초상화.png
픽률
(경기 수)
28.95%
(44/152)
25.66%
(39/152)
20.39%
(31/152)
17.76%
(27/152)
14.47%
(22/152)
14.47%
(22/152)
13.16%
(20/152)
아이스 박스, 바인드, 브리즈 정도를 제외하면 반 고정 연막으로 채용되는 오멘이 바이퍼의 부진에 힘입어 1위를 차지했고, 독이빨 너프에도[2] 여전히 독 장막과 독성 연막의 밸류로 채용률이 높은 바이퍼가 마스터스 마드리드 때보다는 후퇴하여 2위를 달성했다.

4. 리그별 분석

이번 마스터스는 1시드 잔혹사, 그리고 2시드의 반란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각 리그에서 최고 성적을 낸 1시드가 한 수 아래로서 스위스 스테이지부터 시작한 2시드에 비해 명백히 밀리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 평균 성적만 따져봐도 2시드가 1시드에 비해 앞서며[3], 상대 전적은 무려 5:0으로 2시드의 압승이다.[4] 일반적으로 1시드의 성적이 2시드보다는 좋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만큼, 1시드가 하위 라운드에서 전멸하고[5] 2시드가 1위-2위-3위를 모조리 싹쓸이한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놀라고 있는 중이다.

지난 마스터스 대비 이번에는 포디움에 퍼시픽-아메리카-EMEA가 나란히 들면서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CN의 경우, 하위 시드 팀들의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및 1시드로 플레이오프 직행한 EDG의 세트 전패 광탈까지 합쳐서 여전히 최약체 리그라는 오명을 씻어내지 못하고 있다.

여담으로 젠지에게 패배한 팀이 하나같이 힘을 못 쓰고 탈락해버리자 젠염병이 마스터스에 창궐하였다는 밈이 있다.[6]

4.1. 파일:VCT_2023_Pacific_League_symbol.png Pacific (아시아 태평양) - 최종 성적: 우승

가장 먼저 진출을 확정지었던 T1이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탈락하고, 스테이지1 우승팀이었던 PRX마저 아메리카스 1, 2시드에게 패배하며 탈락하였으나, 스테이지1 준우승 팀이었던 젠지가 EMEA 1시드를 시작으로 아메리카스 1, 2시드를 차례대로 격파하여 가장 먼저 결승전에 진출한 것도 모자라 기어이 중국과 아메리카스를 서열정리하고 올라온 EMEA의 강호 헤레틱스를 완파해내며 우승을 해내어 최후의 순간에 웃는 지역이 될 수 있었다.

4.1.1. 1시드 파일:Paper Rex 로고.svg Paper Rex - 플레이오프 패자조 2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PRX Eliminated.jpg
We lose today's match [1-2] GGWP 100T!

Breeze: 5-13
Sunset: 13-10
Icebox: 12-14

With this loss, we end our run in #VALORANTMasters Shanghai. Thank you everyone for your support! We will take the time now to come back stronger for Stage 2.

See you then 👊🏻 #WGAMING

이번 패배로 마스터스 상하이를 끝냅니다. 지원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제 스테이지 2를 위해 더욱 강해져서 돌아오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PRX 탈락 코멘트
퍼시픽에서 단연 공격적인 색채로 스테이지1 우승을 거머쥐며 모든 매체에서 이번 마스터스의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힌 PRX는 예상과 달리 승자조 1라운드부터 G2에게 판정패를 당했고, 결국 패자조 2라운드에서 지난 마스터스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1시드 팀에 의해 탈락하며 이번에는 포디움에도 들지 못하는 굴욕을 당하면서 짐을 싸게 되었다.

이전부터 PRX가 선보였던 공격적인 컨택 싸움, 수비 진영에서의 전진 포지션을 통한 잘라먹기 식의 경기 운영은 상대하는 팀들로 하여금 템포에 말려들게 하거나 같이 템포를 올리다가 역으로 사고가 나는 등 쉽사리 따라하지 못하는 PRX만의 스타일로 정형화되어왔다. 하지만 이 스타일은 요원 조합에서 척후대나 감시자를 제외하는 등 정석 조합에 비해 운영적으로 인포를 통한 상황 조율이 어려워 특정 상황에서는 직접 피킹을 하거나 경우의 수를 배제하고 템포를 올려야 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이는 결국 그날의 교전 컨디션에 7~8할을 걸고 하는 겜블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상대가 타이밍을 읽고 템포를 지연시키며 잡아먹는 운영을 하거나 오히려 에임이 동등한, 혹은 그 이상인 팀이 맞컨택 싸움을 받을 경우 라운드를 쉽게 던져주게 되는 양날의 검과 같은 리스크를 안을 수밖에 없었다. 퍼시픽 스테이지1 우승 당시만 해도 이러한 우려는 기우에 불과하다는 평이었지만, 마스터스에서 만난 아메리카 팀들에게 교전에서 제압당하면서 기존 플랜이 먹히지 않았을 때 플랜 B를 이제는 진지하게 고민해야 될 수순까지 와버렸다고 보고 있다. 또한 자유로운 요원 조합을 표방하는 티저에서의 모습과는 달리 포세이큰을 제외한 선수들의 요원 폭이 좁아서 오히려 고착화된 플레이 스타일이라 변화하기 어려운 게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미 이전부터 대두되었던 고착화된 플레이 스타일에 대한 다른 전략은 일절 짜지 않은 체 다소 오만한 자세로 임한 이번 마스터스에서 PRX는 지속적으로 파훼당하며 결국 탈락의 길로 가고 말았다. 본인들을 제대로 공략한 G2에게 충격적인 역전패를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우틀않을 시전하며 1번 플랜을 계속 들이민 결과는 1강으로 평가받던 PRX 입장에서는 참담하게 끝나고 말았다. 분명 뛰어난 체급을 통해 그 어떤 상대든 충분히 제압할 만한 무력을 지닌 팀임에는 반박할 수 없으나, 유기적인 전술 전환을 보여준 다른 팀에 비해 일차원적인, 피지컬을 믿고 밀고 들어가는 PRX의 아이덴티티는 이번 마스터스에서 오히려 독이 되었다.

4.1.2. 2시드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 우승

파일: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CHAMPIONS.jpg
𝟐𝟎𝟐𝟒 𝐕𝐚𝐥𝐨𝐫𝐚𝐧𝐭 𝐌𝐚𝐬𝐭𝐞𝐫𝐬 𝐒𝐡𝐚𝐧𝐠𝐡𝐚𝐢 𝐂𝐇𝐀𝐌𝐏𝐈𝐎𝐍𝐒, 𝑮𝒆𝒏.𝑮 🏆

Gen.G VALORANT is the first Pacific team to reach the top of the world.
A precious victory, achieved by our dedicated team who ushered in Gen.G's GOLDEN GENERATION.
Today, we have proven ourselves and show our sincerest appreciation for our supporters. Thank you for sharing in this moment with us.

퍼시픽 팀 최초로 세계 최정상의 자리에 오른 젠지 발로란트 팀.
젠지가 마스터스 상하이 마지막 페이지를 우승으로 장식합니다.
눈부신 실력으로 젠지의 황금세대를 열어준 선수단,
그리고 그 모든 여정을 함께 응원하며 기다려주신 팬분들께 마음 깊이 감사드립니다.

𝐖𝐞𝐥𝐜𝐨𝐦𝐞 𝐭𝐨 𝐆𝐨𝐥𝐝𝐞𝐧 𝐆𝐞𝐧𝐞𝐫𝐚𝐭𝐢𝐨𝐧 🏆

#TIGERNATION #GENGWIN #GENGVAL #GOLDENGENERATION
GEN 우승 코멘트
참 번뜩이는 재능을 갖고있던 선수들이었는데, 시기가 달랐고, 환경이 달랐고, 함께하지 못했기 때문에 오랜 기간 흩어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말 좋아하는 일이었고, 재미있어서 버텨왔기 때문에 그 가능성이라는 길고 어두웠던 터널을 이겨냈고 버텨내면서,
결국엔 퍼시픽 팀 국제 대회 우승이라는 그런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마스터즈 상하이 우승팀 젠지입니다!
한국 중계진 우승콜
마스터스 마드리드에서 모두의 예상을 뒤엎으며 결승까지 진출하는 이변을 만들어냈으나, 결승에서 센티널에게 가로막혀 결국 한끗 차이로 이루지 못했던 우승의 꿈을 이번 마스터스 상하이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리며 해피엔딩으로 이번 마스터스를 마무리했다. 이로서 젠지는 창단 첫 우승을 해냄과 동시에 퍼시픽 최초 국제 대회 우승에다 마스터스 무패 우승이라는 타이틀까지 가져가며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에 커다란 획을 그었다. 이 모든 게 팀 로스터의 리빌딩을 감행한 후에 만들어낸 업적이라는 걸 생각하면 더더욱 대단한 우승임을 알 수 있다.

젠지는 이번 마스터스에 오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상술했듯 마드리드에서 끝내 준우승을 기록한 이후 시작한 리그는 T1에게 첫 마스터스 진출권을 허용하며 불안한 전망을 보이더니, 마지막 티켓을 둔 DRX와의 경기에서 힘겹게 이기고 겨우 티켓을 따냈다. 또한 사투 끝에 올라간 결승전은 당시 절정의 폼이던 PRX에게 가로막혀 또 한 번의 준우승으로 끝나며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 하지만 이 두 번의 준우승에 마음을 제대로 먹은 것인지 스위스 스테이지부터 다른 팀들을 상대로 압도적인 격차를 통해 손쉽게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유럽과 북미의 1시드인 프나틱 100T를 상대로 연달아 승리하면서 우승 후보로 올라섰고 G2를 짓밟으며 올라온 결승에서는 이번 마스터스의 또 다른 주인공이자 본인들과 비슷한 서사를 가지고 기적적인 결승 진출에 성공한 헤레틱스를 상대로 5꽉 매치 끝에 우승을 거머쥐었다.

이번 우승의 주역에는 젠지의 엔트리인 텍스쳐의 퍼포먼스가 돋보였으며, 특히 FPX전과 G2전에서 선보인 두 번의 오퍼레이터 플릭샷, 그것도 같은 상황, 같은 위치에서 똑같이 따낸 데자뷔 킬은 이번 마스터스 최고의 명장면으로 꼽힌다. 또한 메테오의 변수 창출 능력과 클러치 플레이는 젠지가 무너지는 상황에서도 최후의 보루로써 위기를 극복하는 기점이 되었으며, 이번 마스터스에서 IGL의 역할을 맡은 먼치킨은 이를 매우 훌륭히 수행하며 팀의 구심점이 되어 교전을 진두지휘하며 활약했고, 라키아는 팀에게 도움이 되는 인포를 족족 얻어내며 운영 면에서 젠지에게 편안함을 안겨줬으며, 카론은 저점이 높은 덕에 든든하게 팀을 받춰주며 팀에 완벽함을 더했다. 결론적으로 5명 모두 동등한 위치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게 이번 마스터스 우승의 이유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캐리 라인이 확실한 여타 다른 팀들과 달리 모든 선수가 캐리를 할 수 있다는, 어찌 보면 가장 이상적이라고 볼 수 있는 팀이 젠지였기 때문에 우승이 가능했다는 평이다.

4.1.3. 3시드 파일:T1 로고.svg T1 -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T1 Eliminated.jpg
상하이 마스터즈에서의 일정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짧은 기간동안 얻은 경험을 통해 더욱 발전된 모습으로 돌아오겠습니다.

Our journey at Masters Shanghai has come to an end today.
We will move forward with the experience we gained during this period.
T1 탈락 코멘트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마스터스 진출을 확정지었던 T1이었지만, G2전 아쉬운 패배 이후 0승 1패 그룹에서 가장 위협적인 레비아탄을 만났고 결국 가장 먼저 탈락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모든 선수들의 폼이 조금씩 아쉬웠다. 특히 퍼시픽 스테이지1 플레이오프 젠지전부터 저점을 찍기 시작한 사야플레이어가 이번 마스터스에서도 폼 회복을 하지 못하면서 팀의 발목을 제대로 잡아버린 것이 컸다. 중계를 하던 해설진들과 스트리머들도 탄식을 자아낼 정도였다.

4.2. 파일:VCT EMEA 심볼.png EMEA (유럽, 중동, 아프리카) - 최종 성적: 준우승

마스터스 출범 이래로 제일 많은 트로피를 가져왔던 지역이지만 리그제 전환 이후로는 프나틱 외에는 이렇다할 소득이 없던 EMEA로서는 이번에 결승까지 가면서 부활을 노렸으나 헤레틱스의 패배로 인해 퍼시픽 리그에 우승컵을 넘겨주며 수포로 돌아갔다. 1시드인 프나틱은 컨디션 난조로 인한 광탈, 2시드 헤레틱스와 3시드 FUT 이스포츠는 나란히 패자조에서 내전을 벌이는 등 수난을 겪었다. 마지막 남은 헤레틱스가 패자조에서 남은 아메리카의 두 팀을 모두 꺾고 올라가면서 지난 마드리드의 0 포디움의 굴욕 및 아메리카에 대한 설욕을 해준 것에 위안을 삼을 수 밖에 없게 되었다.

4.2.1. 1시드 파일:Fnatic 로고.svg Fnatic -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FNC Eliminated.jpg
Didn’t show up even near our best in Shanghai, and our run ends as quick as it started. No choice but to turn this disappointment into fuel for the rest of the year.
상하이에서 최고의 성적을 내지 못했고, 시작과 동시에 대회가 끝이 났습니다. 이 실망감을 남은 한 해를 위한 원동력으로 삼겠습니다.

The support in China has been incredible, and we want to thank all of you for turning out and watching on.
중국에서의 응원은 정말 놀라웠고, 현장에 나와서 지켜봐 주신 모든 팬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FNC 탈락 코멘트
EMEA 스테이지 1을 우승하고 1시드로 호기롭게 마스터스에 진입한 프나틱은 연거푸 2패를 당하며 플레이오프에서 광탈하게 되었다. 첫 경기 젠지전까지만 해도 더크의 아쉬운 모습을 제외하면 유연한 운영과 레오- 알파예르를 위시한 2선 라인이 건재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패자조 FUT전에서는 그 힘은 온데간데없이 역전패를 당하면서 위상이 곤두박질치게 되었다. 팬들이 이번 마스터스의 행보가 플레이오프 때 반짝한 것마냥 고점을 찍었다가 다시 풀리그 당시의 저조한 폼으로 돌아온 것이라는 평을 남길 정도로 프나틱의 경기력 낙차 폭은 심각했다.

이후 식중독에 걸렸었다는 레오의 트윗이 올라오며 팬들은 경기력의 낙차 원인으로 보고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

4.2.2. 2시드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eam Heretics - 준우승

파일:2024MastersSH TH Eliminated.jpg
We arrived in Shanghai with the goal of having fun.
우리는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위해 상하이에 도착했습니다.

Today, we leave Shanghai knowing that we are the second best team in the world.
오늘 우리는 우리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좋은 팀이라는 것을 알고 상하이를 떠납니다.

THANK YOU FOR YOUR SUPPORT 🤍🖤
여러분의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

#VamosHeretics
TH 탈락 코멘트
마스터스 상하이를 진행하며 성장 스토리로 미라클 런을 써오던 헤레틱스는 결승전 5세트 끝에 젠지에게 무너지며 준우승에 머무르게 되었다. 분명 플레이오프를 거치면서 기존에 미흡했던 맵 풀을 넓히고 진일보하여 결승전에서 어센트와 아이스박스를 따내는 등 선전한 것은 괄목상대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젠지의 맵 밴픽 어드밴티지 속에서 정해진 브리즈와 스플릿에서 맵 풀의 약점을 드러냈고, 결과적으로 G2를 꺾으며 발전했다고 여겨졌던 4세트 로터스에서 젠지에게 분석당하면서 결착을 짓지 못한 것이 패배로 이어졌다. 경기 운영을 상대적으로 간결하게 가져가면서도 괴물같은 교전 폼으로 쟁취한 2, 3세트를 통해 상대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것까지는 분명 유의미한 성과였지만, 패배한 세트들에서는 상대의 운영에 휘말리며 사이트를 채우는 판단이 흐려지거나 감시자 셋업을 파훼당하는 등 아직은 경험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스터스 직전 로스터 변동으로 인한 식스맨 기용, 기존 선수의 포지션 변경 등 단기간에 합을 새로이 맞춰서 준비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헤레틱스의 이러한 결과가 결코 낮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결과는 아쉽겠지만 헤레틱스의 이러한 성장력은 향후 대회에 있어서 밑거름이 될 것이다.

4.2.3. 3시드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FUT Esports - 플레이오프 패자조 2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FUT Eliminated.jpg
VCT 2024: Masters Şanghay serüvenimiz burada sona eriyor.
VCT 2024: 마스터스 상하이에서의 여정을 여기에서 마무리합니다.

Turnuva boyunca destekleyen herkese teşekkür ederiz.
대회 내내 응원해 주신 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Split 2’de görüşmek üzere!
스테이지 2에서 만나요!

#FUTWIN | #VALORANTMasters
FUT 탈락 코멘트
1라운드에서 아메리카 1시드인 100T를 상대로 0:2, 그것도 라운드 7:26이라는 압도적인 경기력 차이로 셧아웃 패배를 당한 뒤 굴러떨어진 패자조에서 프나틱을 혈전 끝에 제압하며 역배의 기적을 보여주나 싶었으나, 이어지는 헤레틱스전에서 별 손쓸 틈 없이 패배하며 이번 마스터스를 마무리하게 되었다.

제아무리 EMEA 3시드라 해도 그럭저럭 괜찮은 조직력으로 나름 저력은 있다는 대회 전 평가와 같이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레비아탄을 제압하는데 성공하며 플레이오프 막차를 타는 데 성공했으나, 대회의 벽이 높았던 듯 이번에 극악의 폼을 보여준 프나틱을 이기는데 성공한 것을 제외하면 100T와 헤레틱스에게 참패를 당하며 존재감 없이 무기력하게 대회를 끝마치게 되었다.

4.3. 파일:600px-VCT_2023_Americas_League_allmode.png Americas (아메리카) - 최종 성적: 플레이오프 패자조 결승

이번 마스터스 상하이의 아메리카는 용두사미로 요약할 수 있다. 스위스 스테이지를 제일 먼저 탈출한 G2와, 타 지역 1시드들의 거듭된 추락에도 꿋꿋이 승자조를 버텼던 100T였지만, 결국 승자조 젠지에 패배 이후 패자조 헤레틱스에 의해 탈락하는 시나리오를 반복하면서 마스터스 상하이 기준 3부리그라는 평가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그와중에 헤레틱스와의 끝장전에서 두 팀 모두 스윕 패배를 달성, 급락한 경기력으로 지탄받으면서 지난 마스터스 마드리드를 석권해주었던 센티넬이 몹시 그리운 아메리카가 되었다. ???: 그래그래 우린 저 두 팀을 마드리드에서 다이겼어

4.3.1. 1시드 파일:100 Thieves 로고.svg 파일:100 Thieves 로고 white.svg 100 Thieves - 플레이오프 패자조 준결승 탈락

파일:2024MastersSH 100T Eliminated.jpg
Top 4 will have to do. #100T

One thing is for sure, we'll be back on the international stage at Champs.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우리는 챔스로 돌아올 것이라는 점입니다.

Thank you Shanghai. ❤️‍🔥
고마워요 상하이. ❤️‍🔥
100T 탈락 코멘트
지난 마스터스 우승팀을 배출한 아메리카의 1시드로서 PRX에 버금가는 우승 후보로 점쳐졌던 100T는 패자조 준결승에서 헤레틱스에게 미라클 런을 허용하며 결국 무너지고 말았다. 수월하게 패자조 결승에 진출할 거라는 예상과 달리 결과는 0:2 완패였으며, 그나마 접전을 달리던 1세트와는 반대로 2세트는 1:13이라는 가히 충격적인 스코어의 대참사가 나며 이번 마스터스 여정을 끝맺었다.

100T는 부스티오를 중심으로 뛰어난 교전력과 이를 극대화하는 끈끈한 팀 플레이와 교전 집중력이 돋보이던 팀으로, 리그에서는 이미 극강의 퍼포먼스를 뽐내고 있었으며 이번 마스터스에서는 PRX가 플레이오프에 들어서 완전히 망가진 폼을 보여 실질적으로 젠지와 2강 체제를 이루던 강팀이었다. 하지만 우승 라이벌인 젠지에게 승자조 2라운드에서 2:0 셧아웃을 당하며 패자조로 떨어진 것에서 불안해지더니, PRX를 겨우 넘어서 마주한 상대적 약팀 헤레틱스와의 경기에서 장점이던 팀합에 균열이 생기더니 결국 집중력마저 완전히 무너지며 아메리카 1시드로서의 자존심이 구겨지고 말았다.

4.3.2. 2시드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G2 Esports - 플레이오프 패자조 결승 탈락

파일:2024MastersSH G2 Eliminated.jpg
From Ascension to Top 3 in the World.
어센션에서 시작해서 세계 3위에 올랐습니다.

Thank you for the support ❤️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G2 탈락 코멘트
VCT 4대 리그 승격팀들 중 유이한 마스터스 진출팀 중 하나인 G2는 만만치 않은 실력으로 레비아탄을 꺾고 2시드로 마스터스에 진출하여 스위스 스테이지부터 승자조 결승까지 무패 행진을 이어갔다. 하지만 같은 무패 행진 팀 젠지와 만나서 0:2 패배를 당하여 패자조 결승으로 떨어졌고, 이번 마스터스에서만 3번째 맞붙는 헤레틱스에게 당한 단 한 번의 패배로 인해 탈락했다. 물론 2부 리그에서 올라오자마자 이룬 성과라는 점을 고려하면 대단한 기록이다.

4.3.3. 3시드 파일:Leviatán_2021.png Leviatán - 스위스 스테이지 3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LEV Eliminated.jpg
Nos volvemos a casa con las manos vacías, gracias a todos los fans que estuvieron madrugando para apoyarnos 💙
비록 빈손으로 이른 시점에 집에 돌아와 버렸지만, 그럼에도 응원해 주신 팬분들의 사랑에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VALORANTMasters
LEV 탈락 코멘트
아메리카 3시드지만 충분히 강하다는 평가를 받은 레비아탄은 T1전에서 보여줬던 매서운 모습과는 달리 C0M이 저점을 갱신하며 올라오지 못했고, 텍스 아스파스 FUT전에서 전과는 다른 활약을 보여주면서 저점을 찍은 탓에 결국 탈락하게 되었다. 아스파스 원맨팀이라는 평가도 있었지만 텍스와 마지노, k1Ngg 모두 한 번씩 터져줬지만 기복 있는 플레이도 자주 나오면서 결국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탈락했다.

4.4. 파일:VCT CN logo.png China (중국) - 최종 성적: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2, 3시드인 FPX DRG는 스위스 스테이지 탈락, EDG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광탈하면서 이번 마스터스에서 최하위 성적을 낸 지역이 되었다. 그 중에서 DRG와 EDG는 세트 무승 전패, FPX가 유일한 1승을 거두면서 4부 리그의 위치를 떠안게 되었고, 결국 프랜차이즈 독립 리그 출범 당시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왔던 과도한 CN 지역 밀어주기 및 시드 분배 특혜 논란[7]으로 인한 저평가를 이번에도 떨쳐내지 못하며 안방에서 개최된 마스터스를 남의 집 잔치로 바라볼 수밖에 없게 되었다.

4.4.1. 1시드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EDG Eliminated.jpg
ggs, our journey at Masters Shanghai ends.
GG, 상하이에서의 여정은 이것으로 끝입니다.

We tried but still can't find the right way.
최선을 다했지만, 결국 정답을 찾지는 못했습니다.

But we won't give up, knights will find themselves back, rebulid confidence, to face every challenge in the future.
그럼에도 저희는 포기하지 않습니다. 기사들은 앞으로의 모든 도전을 마주하기 위해 스스로를 다잡고, 자신감을 되찾을 것입니다.
EDG 탈락 코멘트
마드리드에서의 아쉬움을 뒤로하고 본인들의 홈 그라운드에서 재기를 노리는 듯 했으나, 오히려 그때보다 더 퇴보한 실력으로 해설진들과 시청자들로부터 이 팀이 정녕 1시드가 맞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게 할 정도로 경악스러운 모습만 보여주었다. 중간중간 스모기 캉캉이 분전해주나 싶었으나 결국은 처참한 전패와 함께 자국에서 열린 이번 마스터스를 마무리했다.

오히려 FUT를 상대로 매치승을 거두고 젠지 헤레틱스를 벼랑 끝까지 몰아붙인 FPX가 더 1시드다운 모습을 보여줬다는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EDG는 매치승은 커녕 세트승조차 따지 못하고 광탈했기 때문이다.

4.4.2. 2시드 파일:FPX 로고 2021.svg FunPlus Pheonix - 스위스 스테이지 3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FPX Eliminated.jpg
GGWP @HereticsVal What a game 🔥
Though we lost the match after a hard BO3, the wonderful journey at #VALORANTMasters Shanghai will definitely remembered by us. And, the Phoenix will always come back stronger 👊
Thank you for all your love and support, see you in future games ❤️!

상하이에서의 멋진 여정은 우리에게 확실히 기억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언제나 더 강해져서 돌아올 것입니다.👊
여러분의 모든 사랑과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다음 경기에서 뵙겠습니다 ❤️!
FPX 탈락 코멘트
모든 경기를 3꽉으로 치르면서 분전했지만 이번에도 스위스 스테이지의 벽을 넘지 못했다. 팀의 알파이자 오메가였던 라이프의 독단적인 변수 플레이와 어텀을 필두로 한 매서운 교전은 분명 FUT를 상대로 승리를 이끌어냈고, 이후 두 경기에서도 팽팽한 접전을 이끌어낼 정도로 잠재력이 보였지만 상대하는 팀들이 로우 템포로 컨택 싸움을 거는 등 점점 파훼법을 찾아오고 수비 진영일 때의 플랜이 공격 진영일 때보다는 취약하다는 점이 끝내 발목을 잡아 어떻게든 이끌어낸 연장전에서 결국 패배로 이어졌다. DRG에 비하면 양반이었지만 역시나 세계구급 강팀을 상대로는 한 끗이 모자라다는 평을 떨쳐내지 못했다.

이후 FPX를 패배시킨 결승에 진출하면서 두 팀과 풀 세트 승부를 한 FPX에 대한 소소한 재평가가 이뤄지기도 했다.FPX 당신들은 무슨 싸움을 해온 겁니까 대진 억까

4.4.3. 3시드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Dragon Ranger Gaming -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DRG Eliminated.jpg
DRG 0:2 FUT

Pity, we'll be prepared for next time.
아쉽지만 다음을 준비하겠습니다.
DRG 탈락 코멘트
EMEA의 2, 3시드인 헤레틱스 FUT을 차례로 만나 2경기 모두 2:0 스윕을 당하면서 세트 무승으로 이번 마스터스를 떠나게 되었다. 마스터스 직전에 인원 변동이 발생한 헤레틱스를 상대로도, 기복이 심하다는 평을 받은 FUT을 상대로도 단 1세트도 따내지 못한 것은 이러니 저러니 해도 팀적인 플레이의 부재가 일으킨 결과였다. 그나마 FUT과는 연장전까지 가는 등 분전해봤지만 결국 조금이라도 조직적인 움직임을 보였던 FUT에 비해 게임을 이겨낼 결정타가 부족한 점이 발목을 잡았다.

지난 마스터스에 이어 이번에도 CN 지역 하위 시드팀이 무기력하게 탈락하면서 이번에도 CN 지역에 대한 저평가를 떨쳐내지 못했다. 이미 많은 시청자들이 추후 챔피언스에서 CN 지역에 4개의 시드를 주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1] +챔피언스 포인트 3점 [2] 2회 > 1회로 너프. [3] 2시드 : 최종 1위-2위-3위-스위스 스테이지 3라운드 탈락(평균 3.75-4위), 1시드 : 최종 4위-5/6위-7위-8위(평균 6-6.25위) [4] PRXvsG2, EDGvsTH, FNCvsGEN, 100TvsGEN, 100TvsTH [5] 최저 순위 8위(패자조 1라운드 탈락(EDG, FNC)), 최고 순위 4위(패자조 준결승전 탈락(100T)) [6] 본래 젠염병은 젠지 롤 팀에게 있던 밈으로 상성을 무시하고 상대를 패버린 결과 상대가 티어 정리에 혼선을 빚어 그 다음 경기에서 무력하게 패배한다는 의미였지만, 발로란트 팀의 경우 그러한 과정 없이 그냥 젠지에게 패배한 팀이 다음 경기에서 패배하여 탈락했다는 결과만을 밈화한 것이다. [7] 단독 지역 리그 출범 자체는 다른 종목에서도 그런 경우가 있으니 참작할 수 있었지만 시드권을 4장이나 준다는 것은 지금도 말이 나오는 것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