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22:39:49

희망황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문서 존치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문서 존치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희망황
<colbgcolor=#fdd907> 한국판 명칭 희망황
일본판 명칭 [ruby(希望皇, ruby=きぼうおう)]
영어판 명칭 -[1]
1. 개요2. 특징3. 효과 몬스터4. 엑시즈 몬스터5. 관련 카드
5.1. 엑시즈 몬스터5.2. 마법 카드

[clearfix]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 테마.

"유토피아" 몬스터를 제외하면, 대충 유토피아 관련 몬스터중 유토피아 지원을 못받는 카드들이 이 시리즈에 모여있다고 보면 된다.[2]

2. 특징

희망황 테마는 일종의 카드 시리즈일뿐, 카드군 지정받은 적은 없다. 유토피아와 호프 카드군의 존재로 인해 카드군화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만약 카드군화가 된다면 아무래도 호프가 엑시즈 몬스터들 지원하고 있어 또 여기서 희망황 엑시즈 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불필요한 일이기 때문에, 메인 덱의 효과 몬스터들을 위한 카드군화[3]일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혹은 "희망황" 또는 "호프" 엑시즈 몬스터 같은 식으로 둘다 포함시키는 것이라면 가능할지도 모른다.

효과 몬스터와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하며, 효과 몬스터는 이름에 희망황만 포함되어 있으나, 엑시즈 몬스터는 이름에 희망황과 호프가 둘다 포함되어 있다. 다만 "유토피아" 몬스터를 제외하면 그 사이에 다른 단어가 끼어서 유토피아[4] 지원을 못받는다.

효과 몬스터의 경우 레벨 4의 빛속성 / 전사족에 공격력 수비력이 동일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가장 큰 특징은 효과가 No.39 유토피아와 관련된 4가지 카드군을 지원하는 효과라는 것이다.[5]

엑시즈 몬스터의 경우 빛 속성 몬스터라는 점은 동일하나, 크게 통일된 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희망황룡은 용 디자인이라 그런지 드래곤족이라서 종족 통일마저 되지 않았다. 아마도 주로 진화형 이름을 짓는 과정에서 희망황과 호프가 떨어지게 되면서 희망황 이름이 지어진 것일 뿐인 듯하다.

이름은 유토피아의 일본판 이름인 '희망황 호프'에서 희망황 부분이다. 뒷쪽의 호프 부분도 따로 카드군화되어있다.

국내에서는 희망황 호프가 유토피아로 번역되어 희망황 시리즈를 볼 수 없을 것이라 생각되었으나, 유토피아 이외의 희망황 몬스터들이 나오면서 이들의 이름은 그대로 희망황으로 번역하게 되었기 때문에 희망황이라는 번역도 국내판 카드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영문판에서는 아예 희망황 부분을 삭제하고 번역했기 때문에 전혀 볼 수 없게 되었다. 그나마 오노마토피아 같은 경우 "Utopic Onomatopoeia"로 비슷한 식으로 번역되었는데, 정작 앞에 들어간 Utopic은 호프 카드군에 대응하는 이름이다. 재밌는 사실은 정작 이름에 호프가 들어가는 아스트랄 호프는 그냥 "Astraltopia"로 번역되었다. 사실 크게 문제는 없는 게 이 두 몬스터는 메인 덱의 효과 몬스터인데, "호프(Utopic)"는 엑시즈 몬스터만 지정하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그냥 "호프"를 지정하는 효과가 나오는 날엔 에라타 확정이겠지만.

관련 시리즈로 기망황이 있다. 기망황의 일본어 발음이 きぼうおう로 희망황과 완벽히 같고 의미도 같다.[6] 빛 속성 / 전사족인 점도 동일하다. 사실상 아스트랄 세계의 반대 위치인 바리안 세계의 힘을 쓰는 대척점이라고 볼 수 있다. 희망황의 관련 마법 카드인 희망향-오노마토피아-의 대척인 기망향-바리언-이라는 카드도 등장했다.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4

3.1.1.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

3.1.2. 희망황 오노마토피아

4. 엑시즈 몬스터

4.1. 랭크 6

4.1.1. No.39 희망황 비욘드 더 호프

4.2. 랭크 10

4.2.1.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

4.3. " 유토피아" 몬스터

유토피아의 일본어 원문이 "[ruby(希望皇, ruby=きぼうおう)]ホープ"로, 유토피아 몬스터는 희망황이 무조건 포함된다.

4.3.1. 랭크 1

4.3.2. 랭크 4

4.3.3. 랭크 5

4.3.4. 랭크 12

5. 관련 카드

5.1. 엑시즈 몬스터

5.2. 마법 카드



[1] 이름에서 희망황 부분이 아예 삭제되었다. 궁극보옥신과 비슷한 케이스인데, 이쪽은 카드군화되자, 나중에 "Ultimate Crystal"로 취급한다는 텍스트가 붙었다. [2] 다만, 비욘드 더 호프같은 경우는 원작과 달리 OCG에서 유토피아 카드로도 지원한다는 텍스트가 추가되어 예외이다. [3] ex)레벨 4의 "희망황" 몬스터 같은 식으로. [4] 일본판 기준 '희망황 호프'라서. [5] 오노마토피아는 " 주바바", " 가가가", " 고고고", " 도도도" 카드이며, 아스트랄 호프는 " 엑시즈" 마법 / 함정 카드, " 오노마토" 마법 / 함정 카드, " 제알" 마법 / 함정 카드, " 넘버즈" 마법 / 함정 카드이다. [6] 그럴 일은 없겠지만 만약 히라가나로 카드군 지정된다면 이 카드군에 아예 소속되는 셈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