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6:48:13

극야

흑주에서 넘어옴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 자전 주기) · 공전( 공전 주기) · 중력( 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 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 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 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 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 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 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 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 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 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남극의 극야 현상을 9달 동안 기록한 영상[1]
1. 개요2. 특징3. 생활4. 극야 시간/지역 확인하기5. 기타 동음이의어

1. 개요

極夜 / Polar Night

극지방이나 극지방과 가까운 지역에서 겨울을 중심으로 하루 종일 해가 뜨지 않아 어두운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2]이어야 할 시간까지 이 계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백야(白夜)의 반대라 하여 흑주(黑晝), 흑야(黑夜)라고도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한국에서 쓰던 단어가 아닌 중화권에서 쓰는 단어다. 일본의 경우 한국과 동일하게 극야(極夜/きょくや)로 칭한다.

2. 특징

발생 원리는 백야와 정확히 반대이다. 백야가 여름 내내 태양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지 않아서 하루 종일 날이 밝았다면, 극야는 그 반대 현상으로 겨울 내내 태양이 지평선 위로 올라오지 않아서 하루 종일 날이 어둡게 된 것이다. 백야와 극야는 양반구에서 교차적으로 번갈아가며 발생하는데, 북반구에서 백야가 발생하는 동안 남반구에서 극야가 발생하고, 북반구에서 극야가 발생하는 동안에는 남반구에서 백야가 발생한다. 원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백야 문서 참조.

교과서나 사전에는 동지 무렵 태양이 지평선 0°로 올라오지 않는 지역(위도 66.5°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태양이 지평선 아래 −6° 이내로 걸쳐있다면 상용 박명[3]이 발생하므로 완전히 어둡지는 않다. 정말 빛 한점 없는 (단어 그대로의) 극야는, 태양이 지평선 −6° 이상으로 올라오지 않는 위도 72.5° 이상 지역에 해당된다.

3. 생활

노르웨이 트롬쇠 지역의 극야 생활 (22분 43초부터)

극야가 일어나는 곳은 겨울에 하루 종일 어둠과 오로라 때문에 몽환적인 분위기가 되어 기분이 우울해지며, 밤에도 즐길거리가 많은 한국과 달리 극야가 일어나는 고위도 국가는 밤에 즐길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 따라서 몇 달 동안 집 안에 갇혀 지내다시피 하므로 우울증에 걸리기 쉽다고 한다.

그래서 노르웨이 트롬쇠 같이 대학교까지 있는 도시는 인공 햇빛을 쪼이는 카페도 존재하며, 극야 중에도 상점가에 불을 밝혀서 낮 시간대의 야경을 연출하기도 한다.

4. 극야 시간/지역 확인하기

파일:temp-image-53269258636978434592483.gif
캐나다 북부 누나부트의 최북단인 얼러트(Alert)의 날짜에 따른 극야 및 백야의 주기. 진한 주황색이 낮, 짙은 남색이 밤이며 사이에 보이는 옅은 주황색들은 옅은 순서대로 각각 시민, 항해, 천문박명이다.[4]

극야가 언제 생기는지 궁금하다면 여기로. 러시아의 무르만스크 같은 북극권 안의 도시를 입력하고, 날짜를 6월이나 12월로 맞춰보자.[5] 해지는 시각/해 뜨는 시각이 'Up all day'로 표기되면 백야, 'Down all day'로 표기되면 극야이다.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날짜 및 위도 경도별 낮/밤 시간과 박명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5. 기타 동음이의어

5.1. 블랙스타 -Theater Starless- 소속 팀B의 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極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웹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극야(웹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소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극야(소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Agust D의 음원 극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DAY(Agust D) 문서
4.7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3월 말경 일몰이 일어나고, 박명을 거쳐 점차 완전한 으로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월에는 완전히 어두워지지 않는 모습으로 미루어보아 박명 기간으로 추정되며, 오로라가 시작되는 5월부터는 완전한 밤이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특이한 점은, 아주 맑은 날에는 달빛이 한낮으로 착각될 정도로 밝게 비춰진다. [2] 때문에 영미권에선 Down all day라고도 표현한다. [3] 햇빛이 대기권의 공기에 의해 산란하는 현상으로 햇빛이 직선으로 닿지 않는 곳도 대기권의 산란에 의해 빛이 닿는 것이다. 한국에서도 소위 "동 트기 전에" 태양은 안 보이는데 살짝 밝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박명은 한자로 얇을 박, 밝을 명이다. 얇은 밝음 = 약한 밝음이라는 뜻이다. [4] 동지 무렵에는 천문박명과 완전한 밤 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하루종일 어둡다는 의미. 보통 사람의 눈으론 천문박명과 완전한 밤 하늘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5] 언급한 무르만스크 외에도 트롬쇠(Tromso), 롱위에아르비엔(Longyearbuen), 레이캬비크, 얼러트(Alert) 등을 검색해도 괜찮다. 남극권 지역이 궁금하다면. 우수아이아 세종기지, 보스토크 기지, 남극점(South Pole) 등을 검색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