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19:35:50

헐크 시리즈

1. 개요2. 시리즈
2.1. 만화
2.1.1. 국내 출간작
2.2. 영화2.3. 드라마2.4. 애니메이션
2.4.1. The Marvel Super Heroes2.4.2. 인크레더블 헐크(1982년)2.4.3. 인크레더블 헐크(1996년)2.4.4. 헐크 VS.2.4.5. 플래닛 헐크2.4.6. 헐크와 스매쉬군단2.4.7. 헐크: 핼러윈 악당들
2.5. 게임
2.5.1. 퀘스트프로브: 헐크2.5.2. 헐크(1994년)2.5.3. 헐크: 판데온 사가2.5.4. 인크레더블 헐크(2003년)2.5.5. 헐크(2003년)2.5.6. 인크레더블 헐크: 얼티밋 디스트럭션2.5.7. 인크레더블 헐크(2008년)

1. 개요

헐크 주연의 코믹스 시리즈 및 미디어 믹스, 게임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시리즈

2.1. 만화

2.1.1. 국내 출간작

  • 헐크 : 그레이
  • 센트리 : 오리진[1]
  • 헐크 : 플래닛 헐크
  • 헐크 : 월드 워 헐크
  • 웨폰스 오브 뮤턴트 디스트럭션[2]
  • 이모털 헐크 Vol. 1 : 아니면 둘 다인가?
  • 이모털 헐크 Vol. 2 : 지옥에 간 헐크
  • 이모털 헐크 Vol. 3 : 우리는 브루스 배너를 믿는다
  • 앱솔루트 카니지 vs. 마블 유니버스[3]
  • 이모털 헐크 Vol. 4 : 문을 지키는 자
  • 이모털 헐크 Vol. 5 : 지옥과 사망의 열쇠

2.2. 영화

2.2.1. 헐크 실사영화 시리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영화에 대한 내용은 헐크 실사영화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드라마

2.3.1. 두 얼굴의 사나이 헐크

한국에서는 1980년대 초반에 KBS에서 방영된 "두 얼굴의 사나이"라는 제목으로 방송된 드라마 시리즈가 유명하다. 미국에서는 1978년부터 1982년까지 방영.

2.4. 애니메이션

2.4.1. The Marvel Super Heroes

<colcolor=#fff>
파일:헐크(1966).jpg
첫 애니메이션 등장은 1966년에 방영한 The Marvel Super Heroes에서였다.

2.4.2. 인크레더블 헐크(1982년)

지구-8107 세계관 배경의 마블 코믹스 애니메이션
스파이더맨
(1981-1982)
스파이더맨과 놀라운 친구들
(1981-1983)
인크레더블 헐크
(1982-1983)

<colcolor=#fff>
파일:헐크1.jpg
단독으로 애니메이션이 나온 것은 The Incredible Hulk (1982~83년) 13부작으로 한국에선 1989년에 대우 붐붐 비디오로 헐크란 제목으로 더빙되어 비디오로 발매되었다.

2.4.3. 인크레더블 헐크(1996년)

지구-534834 세계관 배경의 마블 코믹스 애니메이션
판타스틱 4
(1994-1996)
아이언맨
(1994-1996)
인크레더블 헐크
(1996-1997)

<colcolor=#fff>
파일:헐크6.jpg
1996년에도 21부작 애니메이션으로도 만들어졌다.

원작으로 삼은 연재분이 피터 데이비드 작가의 초기 연재분과 겹치기 때문에 유치하기는 해도 피터 데이비드 런 헐크에 입문하기 전에 참고용으로 봐도 좋은 작품이다.

2.4.4. 헐크 VS.

지구-8096 세계관 배경의 마블 코믹스 애니메이션
울버린과 엑스맨
(2009)
어벤져스: 지구 최고의 영웅들
(2010-2012)
헐크 vs 울버린
헐크 vs 토르

(2009)
토르: 테일스 오브 아스가드
(2011)

<colcolor=#fff>
파일:헐크vs.jpg
2009년에 OVA형식으로 헐크 VS 울버린과 헐크 VS 토르가 나왔다.

2.4.5. 플래닛 헐크

<colcolor=#fff>
파일:헐크5.jpg
2010년에 OVA형식으로 나왔다.

2.4.6. 헐크와 스매쉬군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헐크와 스매쉬군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7. 헐크: 핼러윈 악당들

지구-12041 세계관 배경의 마블 코믹스 애니메이션
얼티밋 스파이더맨
(2012-2017)
어벤져스 어셈블 (시즌 1-4)
(2013-2018)
헐크와 스매쉬 군단
(2013-2015)
헐크: 핼러윈 악당들
(2016)

<colcolor=#fff>
파일:헐크:할로윈.jpg

2.5. 게임

2.5.1. 퀘스트프로브: 헐크

<colcolor=#fff>
파일:퀘스트프로브:헐크.jpg

2.5.2. 헐크(1994년)

<colcolor=#fff>
파일:인크레더블헐크(1994).jpg

2.5.3. 헐크: 판데온 사가

<colcolor=#fff>
파일:헐크:판데온사가.png

2.5.4. 인크레더블 헐크(2003년)

<colcolor=#fff>
파일:인크레더블헐크(2003).jpg

2.5.5. 헐크(2003년)

<colcolor=#fff>
파일:헐크(2003).jpg
헐크(영화)를 원작으로 한 유니버설사의 게임.

웨이코스에서 한글화하여 PC판과 구엑박판을 정발하였다. 영화 기반 게임답게 영화와 별개의 독자적 스토리라인이 존재하는데 이 게임은 그중 꽤 자주 보이는 영화 시점에서 1년 정도 후가 배경인 게임이다. 민간인 박사 시절 배너의 지인 크로포드 교수가 잠적 중인 배너에게 연락하여 헐크를 없앨 치료 기계를 만들었지만 미군이 없애려고 한다며 브루스를 연구실로 잠입하게 하고는 헐크의 감마 에너지 일부를 자신에게 전송하여 래비지라는 감마 괴물이 되어 달아나고, 이로 인해 미군, 헐크, 리더를 주축으로 한 감마 괴물들의 삼파전으로 전개된다. 인간 브루스로서 스텔스 플레이를 하거나 해킹을 하는 부분은 상대들의 AI가 멍청하고 판정이 등대에 걸리지 않기, 엎드려 걷기 등으로 상당히 기계적임에도 고정 시점인 특성상 카메라에 보이지 않는 영역이나 시점 전환 시 갑자기 나오는 장애물 때문에 난이도가 꽤 있는 편이다. 인간 상태 브루스는 늘 매우 약한 상태이다.[4] 물론 스텔스 성공 후에 헐크로 변해서 주변의 모든 것을 부수는 쾌감은 이루 말하기 힘들다. 하프라이프[5], 매드맨, 래비지, 기타 필드몹 감마 괴물들, 최종보스로 원작에서 헐크의 숙적인 리더가 보스로 등장하고[6] 출시 당시에 액션과 오브젝트 파괴 묘사는 상당한 수준이었다. 아무도 모르게 세계를 구하고 집으로 돌아가려 히치하이킹을 시도하나 실패하고 엔딩에서 외롭게 석양을 향해 걸어가는 브루스의 그림자는 헐크인데 연출이 좋다. 액션은 당시 기준으로 보면 꽤 호쾌하지만 고정 시점 스테이지 액션 게임이고 뒤로 갈수록 보스전을 제외하면 점점 단조롭게 반복되고 2000년대 초 게임답게 불친절한 부분이 꽤 있다. 한국어 PC판은 윈도우 10에서 호환성 XP 모드로 구동되며, 해외에서 제작된 미국판 와이드스크린 핵이 한국어판에도 작동한다. 추가로 GlosSI라는 툴과 Steam의 스팀 인풋을 병용하면 현대 게임패드로도 정상 플레이 가능하다.

2.5.6. 인크레더블 헐크: 얼티밋 디스트럭션

<colcolor=#fff>
파일:얼티밋디스트럭션.jpg
래디컬 엔터테인먼트는 해당 게임을 XBOX, PS2, 게임큐브 콘솔 한정으로 발매하였다. 이 게임은 GTA 3 스파이더맨 2(게임) 등에 영향 받은 오픈 월드 슈퍼히어로 게임으로, 메타크리틱 평점 84점의 매우 고평가를 받은 게임이다. 그러한 평가를 받을 수 있던 이유는 전작에서 훨씬 발전한 오픈 월드 특화 헐크 전용 액션 덕이 크다. 오픈 월드에 적합하지 않은 배너 파트는 완전 삭제되었으며, 달리기 능력이 생기고 점프 능력이 원작이나 2003년 영화처럼 축지법급으로 대폭 강화된 데다가 헐크의 압도적인 스피드와 완력으로 벽달리기, 벽점프도 구현되어 거의 스파이더맨 급으로 이동이 신속하고 재미 있다. 주먹질은 시원시원했지만 콤보는 애매했던 전작에 비해 제대로 된 콤보 스킬들이 생겨났으며, 주변 사물로 무기를 제조하는 능력, 더 정확해진 타깃 록온 기능 덕분에 액션의 자유도가 크게 늘어났다. 스토리는 원작에서 헐크의 조력자 설정인 레너드 샘슨 박사의 도움으로 잠적을 이어나가는 브루스가 미군에 특수 부대 소속으로 새롭게 등장한 에밀 블론스키(추후 어보미네이션이 되는 인물)를 주시하며 그들의 연구 파일로 헐크를 없애려 하는 흔한 헐크 스토리다. 이안 감독의 영화와는 거리가 더 멀어졌고 배너의 얼굴도 에릭 바나의 얼굴에서 탈피하여 더더욱 영화와는 관계가 없다. 리더와 더불어 원작에서 헐크의 숙적으로 가장 유명한 어보미네이션(마블 코믹스)이 메인 보스 빌런이다. 머시나 마왕 헐크처럼 80~90년대 고전에서 나오는 캐릭터 보스도 여전히 있다.[7] 한국어판이 정발되지 않았지만 영어는 엄청 어려운 수준은 아니라서 청음이 안 돼도 수능 영어만 어느 정도 하고 자막만 잘 읽을 수 있다면 크게 언압이 크지는 않다.

2.5.7. 인크레더블 헐크(2008년)

<colcolor=#fff>
파일:인크레더블헐크(2008).jpg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 인크레더블 헐크(2008)을 원작으로 한 동명의 게임으로, 상기한 ‘얼티밋 디스트럭션’의 개발사 래디컬 엔터테인먼트가 다른 마블 캐릭터 라이선스를 얻으려는 계획이 실패해 얼티밋 디스트럭션의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오리지널 게임 프로토타입 개발을 하고 있었기에 개발사가 완전 교체되었다. 평가는 시대가 지나고 콘솔 세대가 바뀌어 그래픽이 개선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얼티밋 디스트럭션에 비해 평이 매우 나쁘다. 호평 받았던 얼티밋 디스트럭션의 액션을 완전히 다른 개발사에서 영화 개봉 시기에 억지로 맞추면서 맨땅부터 재현하다 보니 물리가 자연스러우면서도 과장된 헐크만의 이동이 물리가 없고 스크립트로 반복되는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퇴보했다. 일례로 벽으로 점프[8] > 벽달리기 또는 벽점프로 자연스럽게 이어져 건물을 타고 속도를 붙이기 좋았던 얼티밋 디스트럭션과 달리 벽에 점프 후 잡기 > 무조건 잡기 버튼 누르면서 위로 이동[9] 방식으로 바뀌어 부자연스럽고 불편해졌다. 그밖에도 달리기 속도와 점프 비거리가 너프되어 기본 이동 속도가 느려졌고 화면에서 헐크를 크게 잡아주지 않아 헐크의 크기나 압도적인 괴력이 덜 부각된다. 콤보는 새로 생긴 것도 있지만 없어진 것이 많아 전편과 겉보기에 유사해 보여도 실제로 플레이해보면 느낌이 매우 다르다. 그밖에 PC판이 당시 세가 게임즈에사 유통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게임들이 그렇듯 7세대 콘솔판이 아니라 6세대 콘솔판의 구세대 그래픽을 기반으로 이식하여 PC판 플레이 시 시대에 비해 그래픽도 많이 뒤쳐져 장점이 더 퇴색되는 것도 있다.


[1] 센트리/헐크 #1 수록. [2] 「토탈리 어썸 헐크(2015)」 #20-22 수록. [3] 앱솔루트 카니지: 이모털 헐크 수록. [4] 치트 코드로 무적 모드를 해방하지 않으면 사실상 들키면 죽는 수준이다. [5] 에너지 뱀파이어라고 묘사되듯 에너지 흡수가 능력이라 물건을 던지는 등 비접촉 방식으로 공격해야 한다. [6] 리더를 제외하면 보스들은 고전 좀 파봤다는 팬들이 아니면 원작에서도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7] 마왕 헐크 같은 경우는 나중에 2010년대 후반 이모털 헐크의 메인 헐크 인격으로 재등장하여 매우 유명해졌다. [8] 벽점프보다 벽달리기를 안정적으로 하고 싶다면 잡기 버튼을 누를 수 있지만 필수가 아니다. [9] 버튼을 꾹 누르고 있는 동안 벽에 접촉하기 전 가속과는 무관하게 스크립트로 미리 계산된 거리 만큼 흐느적흐느적 위로 올라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6 ( 이전 역사)
문서의 r138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