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정년이| |
||
윤정년 | 허영서 | 권부용 |
<nopad> | <nopad> | <nopad> |
강소복 ❀
문옥경 ❀
서혜랑 ❀
백도앵 ❀
홍주란 그 외 등장인물은 문서 참고. |
<colbgcolor=#80c8b2><colcolor=#0b424b> 허영서 | |
출생 | 1940년 4월 17일 (작중 17세~) |
가족 |
어머니
한기주[1], 아버지 허인성[2] 언니 허영인 |
소속 | 매란국극단 |
존경하는 사람 | 어머니 |
비밀 | 없음 (단것을 좋아한다) |
MBTI | ISTJ |
키 | 165cm[3] |
이미지 컬러 |
[[초록색| 에메랄드빛 초록 ]]
|
배우 |
창극 왕윤정[[정년이(드라마)| 드라마 ]]
신예은
|
[clearfix]
1. 개요
정년이의 주연. 배우는 창극판은 왕윤정, 드라마판은 신예은.2. 특징
부모 모두 성악가인 음악가 집안 출신의 성골로, 본인도 출중한 실력을 자랑하는 연구생 중의 에이스 격이다. 예술의 세계를 다루는 작품에서 흔히 등장하는, '가난하고 배운 것 없지만 천재인 주인공'과 대립하는 '부유한 명문가 출신의 수재 라이벌' 포지션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본인의 국극은 집안 내에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열등감이 있다. 영서의 어머니는 집에서 소프라노로 활동하는 언니의 음반을 틀어놓고서 영서의 면전에서 국극은 여공들이 즐겨 본다지 않냐며 비꼴 정도다.혜랑이 제대로 된 남한산성을 들려주려 할 때 영서에게 노래를 부르게 한 데다 정년은 그걸 들으며 감탄한 일과, 연구생 자선 공연 춘향전에서 남역 주연인 몽룡을 맡은 일로 볼때 뛰어난 실력이 널리 인정받고 있으며[4], 연구생 자선 공연 연습에서 방자 역할을 '어떻게 해야 되는 거냐' 고 따지는 정년이 앞에서 자신의 배역이 아님에도 방자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해 기를 죽이기도 했다.
다만, 잘 부탁한다는 상대역 배우의 인사를 무시하고 돌아서고서 무대는 혼자서 서는 것이라고 독백하는 장면이나, 도앵이 연구생 공연 도중 영서의 연기를 보며 '무대를 제 물건으로 여기니 단장님이 아직도 촛대[5]로 두는 것이다' 라고 생각하는 것을 보아, 실력은 뛰어나지만 자신이 돋보이는 것만을 중요하게 여길 뿐, 함께 공연하는 다른 배우들과의 협력을 하찮게 여기는 마음가짐이 흠이 되어 중요한 역에 발탁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6]
3. 작중 행적
3.1. 1부
2부에서 자명고 오디션 결과 고미걸을 맡게 된다. 기존에 고미걸을 맡았던 도앵의 연기를 참고해서 연습을 하는데 스타일의 차이로[8] 고전하던 중 도앵의 조언과 주란의 도움으로 자신만의 고미걸을 찾게 된다.
4. 드라마
자세한 내용은 허영서/드라마 문서 참고하십시오.5. 기타
- 스토리 담당인 이레 작가가 말하길 외형은 안소희를 참고했으며, 고양이상의 신경질적인 모범생 이미지로 구상했다고 한다.
- 숏컷인 다른 남역들과 다르게 특이하게 여역처럼 머리가 매우 길다. 전통극 특성상 장발 헤어를 자주 해야 하므로 굳이 자를 필요가 없어서인 듯하다.
[1]
소프라노이다.
[2]
바리톤이다.
[3]
현대인을 기준으로 아주 큰 키는 아니지만 당시 시대배경이 1956년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장신이다.
[4]
이몽룡 역할에
만장일치로 뽑혔다.
[5]
대사없이 얼굴만 비추는 단역
[6]
사실 무대 공연을 하는 공연자라면 함께 공연하는 사람(독창회라면 반주자, 배우라면 상대 역할에 음악, 조명, 무대 전환까지)과의 합은 상당히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이다. 차후 전개에서 영서가 단순히 악역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국극 배우로서 성장하게 된다면 분명 한 번쯤은 이 문제를 짚고 넘어가게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7]
이때 1인 2역 연기를 선보였는데, 매우 훌륭한 연기에 혜랑마저도 박수를 아끼지 않았다.
[8]
도앵은 우렁찬 성량을 바탕으로 씩씩한 느낌의 연기를 해내지만 영서는 음색이 맑은 편이라 장수 역할에 어려움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