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ㄱ
斝 옥잔 가 |
葭 갈대 가 멀 하 |
檟 가나무 가 |
哿 가할 가: |
珈 머리꾸미개 가 |
桷 서까래 각 |
卻 물리칠 각 |
蕑 난초 연밥 간 |
玕 옥돌 간 |
榦 줄기 간 우물난간 한 |
瞯 엿볼 간 곁눈질할 한: |
衎 즐길/곧을 간 |
秸 볏짚 갈 |
矙 엿볼 감: |
欿 서운할 감: |
减 덜 감:[1] |
酣 술즐길 감 |
歛 바랄 감 |
橿 참죽나무 강 |
杠 깃대 강 |
湝 물흐를 개 |
喈 새소리/빠를 개 |
槩 평미레 개:[2] |
玠 큰홀 개 |
嘅 탄식할 개[3] |
鏗 금석소리 갱 |
賡 이을 갱 |
硜 돌소리 갱 |
秔 메벼 갱 |
臄 순대 갹 |
虡 쇠북걸이틀 거[4] |
籧 대자리 거[5] |
筥 광주리 거 / 밥통 려: |
蘧 패랭이꽃 거 |
莒 감자 거 |
琚 패옥 거 |
秬 검은기장 거 |
袪 소매 거: |
椐 느티나무 거 |
褰 걷을 건 |
朅 떠날 걸 |
跲 엎드러질 겁 |
愒 쉴 게 / 탐할 개 |
綌 굵은갈포 격[6] |
繳 주살 격 동일 교 |
鵙 왜가리 격 |
鴃 왜가리 격 |
豣 돼지/노루 견 |
睊 흘겨볼 견 |
獧 뛸 견 급할 현: |
岍 산이름 견 |
蠲 덜/정결할 견 |
繾 곡진할 견: |
畎 밭고랑 견 |
狷 고집스러울 견 |
袺 옷섶잡을 결 |
闋 마칠 결 |
觼 쇠고리 결 |
歉 흉년들 겸: |
蒹 갈대 겸 |
罄 다할 경: |
睘 놀라서볼 경 |
鶊 꾀꼬리 경 |
牼 소정강이뼈 경 |
冂 멀 경 |
黥 자자할 경 |
褧 홑옷 경 |
熲 빛날 경 |
焭 외로울 경 |
煢 외로울 경 |
檠 등잔걸이 경 |
惸 근심할 경 |
冏 빛날 경 |
駉 살찌고큰 경 |
笄 비녀 계 |
雞 닭 계 |
烓 화덕 계 |
翶 노닐 고 |
楛 거칠 고 나무이름 호 |
槀 마른나무 고 |
櫜 칼집 고 |
盬 짠못/마실 고 |
瞽 소경 고 |
罟 그물 고: |
羖 염소 고: |
栲 북나무 고 |
杲 밝을 고 |
刳 가를 고 |
鼛 큰북 고 |
稾 원고/볏짚 고 |
罛 큰물고기그물 고 |
觚 술잔 고 |
酤 단술 고 |
熇 말릴 고 |
觳 곱송그릴 곡 비교할 각 |
轂 수레바퀴통 곡 |
牿 외양간 곡 |
髡 머리깎을 곤 |
棞 문지방 곤 |
錕 붉은쇠 곤 |
緄 띠 곤 오랑캐이름 혼 |
鯀 큰물고기 곤 |
悾 정성 공 |
邛 수고할 공 |
薖 너그러울 과 |
夸 사치할/자랑할 과 |
蜾 나나니벌 과[7] |
裹 쌀 과: |
霍 곽란 곽[8] |
躩 바삐갈 곽 |
鞹 가죽 곽 |
盥 낯씻을 관:[9] |
瘝 앓을 관 |
痯 병에지칠 관 |
鸛 황새 관 |
錧 비녀장 관 |
祼 강신제 관 |
丱 쌍상투 관 |
綰 얽을 관 |
栝 전나무 괄 |
佸 모일 괄 |
聒 떠지껄일 괄 |
纊 고운솜 광: |
誑 속일 광 |
桄 광랑나무 광 |
迋 속일 광 / 갈 왕 |
蕢 흙덩이 괴 삼태기 궤 |
瑰 옥돌 괴 |
虢 나라이름 괵[10] |
觥 뿔잔 굉 |
鞃 고삐 굉 |
儌 갈 교 |
敽 맬 교 |
荍 당아욱 교 |
磽 자갈땅 교 |
茭 마른꼴 교 풀뿌리 효 |
蹻 발들 교 짚신 갹 |
嘐 깨물 교 클 효 |
佼 예쁠/업신여길 교 |
鷮 꿩 교 |
曒 밝을 교 |
姣 아름다울/아양부릴 교 |
屨 신 구: |
嫗 할미 구 |
俅 공순할 구 |
劬 수고할 구 |
姤 만날 구 |
糗 미숫가루 구: |
雊 장끼울 구 |
觩 뿔굽을 구 |
艽 변방 구 진교 교 |
笱 통발 구 |
韭 부추 구 |
遘 만날 구 |
媾 겹혼인/화친할 구 |
裘 갖옷 구 |
彀 활당길 구: |
窶 가난할 구 기울어진땅 루: |
疚 오랜병 구 |
璆 옥경쇠 구 |
漚 물거품 구 |
搆 얽을 구 |
捄 흙파올릴 구 |
扣 두드릴 구 |
覯 만나볼 구 |
匊 움큼 국 |
詘 말막힐 굴 내칠 출 |
棬 나무그릇 권 |
睠 돌아볼 권: |
綣 정다울 권 |
鬈 머리고울 권 |
垝 무너질 궤 |
匱 갑[匣]/다할 궤: |
氿 구멍샘 궤: |
簋 제기이름 궤:[11] |
跪 꿇어앉을 궤: |
餽 먹일 궤: |
匭 상자 궤 |
簣 삼태기 궤: |
宄 간악할 귀 |
闚 엿볼 규 |
糺 살필 규 |
戣 창 규 |
頍 머리들 규 |
睽 어그러질/반목할 규 |
樛 휠 규 |
刲 찌를/벨 규 |
騤 말건장할 규 |
頄 광대뼈 규 광대뼈 구 |
麕 노루 균 |
箘 죽순 균 |
殛 귀양보낼 극 |
亟 빠를 극 자주 기 |
郤 틈 극 |
襋 옷깃 극 |
漌 맑을 근 |
墐 묻을 근 |
岌 산높을 급 |
亙 뻗칠 긍:[12] |
歧 두갈래길 기 |
棊 바둑 기 |
曁 미칠 기 |
暣 볕 기 |
旂 용대기 기[13] |
覊 굴레/나그네 기[14] |
跂 육발이/발돋움할 기 |
蘷 조심할 기[15] |
墍 흙바를 기 |
屺 민둥산 기 |
忮 사나울 기 |
軝 수레굴통대 기 |
頎 헌걸찰 기[16] |
芑 흰차조 기 |
掎 당길 기 |
僛 비틀거려춤출 기 |
羇 굴레/나그네 기[17] |
綦 들메끈 기[18] |
姞 삼갈 길 |
[1]
減의
간화자다.
[2]
말[斗\]이나 되[升\]에 곡식을 담아 평평하게 밀어 고르게 하는 방망이다.
[3]
광동어에서 표준중국어의 的과 같은 용법으로 사용되어 아주 흔하게 쓰인다.
[4]
말 그대로 종을 다는 틀이다.
[5]
그냥 대나무로 된 돗자리라 생각하면 된다.
[6]
갈포(葛布)는 칡으로 짠 베다.
[7]
나나니벌 항목 참조.
[8]
곽란 항목 참조.
[9]
일본어 훈독이 꽤 유명한데 '다라이'라고 하면 어디선가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10]
천자문의
가도멸괵 부분에서 이 한자가 쓰였다.
[11]
여기서 제기는 '제기차기'할 때 제기가 아니라 제사할 때 쓰는 그릇이란 뜻의 제기(祭器)다.
[12]
亘의 본자다.
[13]
교룡기(蛟龍旗)라고도 하며 임금이 움직일 때 행렬 앞에 세우는 깃발이다.
[14]
羈(1급, 부수가 罒)와 覊(특급, 부수가 襾)는 통자이다.
[15]
夔(준특급, 중간 부분이 止+自+㔾)와 虁(특급, 중간 부분이 止+百+㔾)는 동자(同字)다.
[16]
의기가 당당하다는 뜻이다.
[17]
羈(1급, 오른쪽이 馬)와 羇(특급, 오른쪽이 奇)는 동자이다.
[18]
신발이 안 벗겨지게 신을 발에다 매는 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