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09 14:21:14

하일식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
하일식
河日植|Ha Il-sik
파일:eclipse ha.jpg
<colbgcolor=#002957><colcolor=#ffffff> 출생 1961년 ([age(1961-04-10)]세)
부산직할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역사학자, 교수
학력 해운대초등학교 ( 졸업)
해운대중학교 ( 졸업)
연세대학교 ( 사학 /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사학 / 석사· 박사)
소속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외부 링크 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일생3. 성향
3.1. 사회참여
4. 어록5. 여담6. 논문7. 저역서

[clearfix]

1. 개요

파일:HAIL SIK.jpg
"지금 바로 스스로 시작하라"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대학교수. 한국 고대사를 전문 분야로 연구하고 있다.

2. 일생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사학과에 진학하였고,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신라사를 전공하여 1998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0년에 모교인 연세대학교 사학과에 교수로 부임하여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한국사학회, 한국역사연구회, 한국고대사학회 회장과 남북역사학자협의회 기획총괄위원장을 역임했다.

3. 성향

3.1. 사회참여

파일:하일식발표.jpg
2013년 국정원 대선 개입 규탄 기자회견
파일:하일식v박근혜.jpg
2015년 박근혜 정부 한국사 국정 교과서 반대 회견

4. 어록

“정치권은 역사학계에 이런저런 요구를 하지 말고, 아예 바라보지도 말라”
화면 안키고, 다른 장소나 다른 일하려면 나가야지. 왜 화면 꺼고[1] 그러나? 우리는 시간이 남아서 여기 들어왔는지 아나?

5. 여담

6. 논문

  • 1989. 신라의 지방통치방식에 대하여
  • 1991. 남북한의 '우리역사 시기구분'을 둘러싼 쟁점 노예제사회는 존재하였나
  • 1991. 「나말여초 연구반」의 글을 읽고
  • 1991. 6세기 신라의 지방지배와 외위제
  • 1992. 《한국역사》가 나오기까지 19개월간
  • 1993. 신채호-투쟁 속에 살다간 민족주의자
  • 1993. 조선봉건사회경제사의 전형적 봉건사회론
  • 1993. 6세기 말 신라의 역역동원체계-남산신성비의 기재양식에 대한 재검토
  • 1994. 조선사회경제사의 원시노예제 사회론
  • 1996. 신라정치체제의 운영원리
  • 1996. 창녕 인양사비문의 연구-8세기 말~9세기 초 신라 지방사회의 단면
  • 1997. 창녕 관룡사의 석불대좌명과 '관룡사사적기'
  • 1997. 해인사 전권과 묘길상탑비
  • 1997. 신라 통일기의 왕실 직할지와 (直轄地) 군현제 (郡縣制) - 청제비 (菁堤妃) 정원명 (貞元銘) 역역운영 (力役運營) 사례 분석
  • 2000. 당 중심의 세계질서와 신라인의 자기인식
  • 2000. 삼국시대 관등제의 특성에 대하여
  • 2001. 三國統一後 新羅 支配體制의 推移
  • 2002. (서평) 고대텍스트론과 동아시아 세계론
  • 2002. <조선봉건사회경제사> 전형적 봉건사회론
  • 2002. <조선사회경제사>의 원시,노예제사회론
  • 2002. 관등제와 신분제
  • 2003. 삼국통일 전후 신라 지배체제의 추이
  • 2003. 신라 경위 관련 사료와 경위의 기원
  • 2003. 新羅 統一期의 貴族私領과 郡縣制-關門城 築城時의 力役編成 事例 分析
  • 2003. 신라 통일기의 귀족사령과 군현제 -관문성 축성시의 역할편성 사례 분석
  • 2005. 신라 왕실 직할지의 초기 형태에 대하여 -청제비(菁堤碑) 병진명(丙辰銘)의 정밀판독과 분석
  • 2007. 무술오작비 추가 조사 및 판독 교정
  • 2009. 포항중성리신라비와 신라 관등제
  • 2010. 신라 말, 고려 초의 지방사회와 지방세력 -향촌 지배세력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
  • 2011. 신라 왕경인의 지방 이주와 編籍地
  • 2011. 중학교 역사』의 통일신라·발해 서술 검토-검정 교과서(2011년) 8종의 내용과 시각 자료
  • 2013. <삼국유사> 파른본과 임신본의 비교 검토
  • 2013. 역사 교과서 논란, 전도된 가치관과 인식
  • 2014. 특집 논문 : 고교 ‘국사’의 발행제 변천과 전근대 서술 ―권력의 의도와 교과서 서술
  • 2016. 신라의 得難 신분과 阿? 重位制
  • 2018. 울진 봉평비의 ‘오(五)’자 논란에 대해
  • 2019. 한국 고대 금석문의 발견지와 건립지
  • 2019. 포항 중성리비에서 ‘奪’·‘還’의 대상 -토지 문제와 관련하여
  • 2020. 감악산비 논란과 감악신사에 대하여
  • 2020. 한국 고대사 연구 33년간의 발자취
  • 2021. 중국 산동성에 남은 신라 사신의 흔적- 제남시 장천구 효당산석사의 새김글
  • 2022. 천전리 서석 명문과 생활사의 실마리

7. 저역서

  • 1991. 휘편(백남운전집4)
  • 1993.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의 역사 1
  • 1993. 조선봉건사회경제사2
  • 1994. 문답으로 엮은 한국고대사 산책
  • 1994. 조선사회경제사
  • 1995. 우리가 일본에 전해준 고대 하이테크 100가지
  • 1995. 한국역사입문1
  • 1998. 남북역사학의 17가지 쟁점
  • 1998. 연표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사
  • 1999. 경주역사기행
  • 1999. 역사의 길목에 선 31인의 선택
  • 2001. 한국생활사박물관(신라)
  • 2003. 강좌한국고대사4(고대국가의 대외관계)
  • 2003. 고대로부터의 통신
  • 2005. 경주역사기행(증보)
  • 2006. 신라 집권관료제 연구
  • 2007. 한중일 고대 수리시설 비교연구
  • 2007.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각
  • 2007. 한국 고대사연구의 새동향
  • 2008.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상)
  • 2012.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 2013. 韓國金石文集成(13)-新羅碑文9
  • 2013. 내일을 걷는 연세역사
  • 2016. 신라의 사회구조와 신분제
  • 2016. 신라사총론
  • 2016. 신라의 체제정비와 영토확장
  • 2017. 한국고대사산책
  • 2021. 마립간과 적석목곽분
  • 2021.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 2021. 백악산(북악산)의 자연환경과 역사문화 종합 학술보고서
  • 2021. 한국고대사와 창녕
  • 2022. 시민의 한국사 1,2[2]


[1] 끄고 [2] 편찬위원장